전체 글1135 畵虎類狗(화호유구) 호랑이를 그리려다 개와 비슷하게 되다. 호랑이를 그리려다 개를 닮게 되다. 섣불리 훌륭한 사람의 언행을 모방하려고 하다가 도리어 경박한 사람이 되다. 서투른 솜씨로 어려운 일을 하려고 하다가 도리어 잘못되다. "호랑이 그리려다 고양이 그린다"고 하는 속담이 있고, 과욕을 부리다가 엉뚱한 결과를 초래한다는 의미이다. 畵虎類犬(화호류견)이라고도 한다. 畵虎不成反類狗(화호불성반류구), 畵虎不成(화호불성)이라고도 한다. 畵虎成狗(화호성구), 畵虎成犬(화호성견)은 호랑이를 그리려다 개가 되다는 의미이다. 刻鵠類鶩(각곡유목), 刻鵠不成終類鶩(각고불성종류목)은 고니를 조각하다가 실패하더라도 집오리와 비슷하게는 된다, 즉 큰 뜻을 가지고 노력하다 보면 작은 성과라도 이루게 된다는 의미이다. try to draw a t.. 2024. 3. 14. 烏鴉笑猪黑(오아소저흑) 까마귀가 돼지를 보고 검다고 비웃다. 자기의 결점을 생각하지 않고 다른 사람의 잘못을 비난하다. 자기의 잘못은 덮어두고 다른 사람만 나무라다. 피차일반이다. 막상막하이다. 고만고만하다. 피장파장이다. 三跤貓笑一目狗(삼교묘소일목구), 즉 "다리가 셋인 고양이가 외눈의 개를 비웃다"(three-legged cat laughs at one-eyed dog)도 같은 의미이다. 釜底笑鼎底(부저소정저)는 가마솥 밑이 노구솥 밑을 비웃다는 표현이고, 같은 의미이다. 龜笑鱉無尾(귀소별무미)는 거북이가 자라더러 꼬리가 없다고 비웃다는 의미로 같은 표현이다. 五十步笑百步(오십보소백보)는 오십보를 도망간 사람이 백보를 도망간 사람을 비웃다는 의미로 같은 표현이다. 半斤笑八兩(팔근소팔량)은 8근을 가진 사람이 8량을 가진 사.. 2024. 3. 13. 錦囊妙計(금낭묘계) 비단주머니 속에 담긴 기묘한 계략을 가리킨다. 제때에 긴급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묘책을 가리킨다. 오나라의 장수 주유가 야심이 큰 유비와 책략가인 제갈공명을 제거하려는 음모를 꾸며 유비를 오나라의 왕 손권의 여동생과 결혼시켜 준다고 속여 오나라로 유인하고, 주유의 음모를 알아챈 제갈공명이 조자룡에게 유비의 신변을 잘 보호하라고 맡긴 후에 세 가지의 계책이 담긴 비단주머니를 주며 유비가 곤란에 처할 때마다 꺼내 위기를 면하라고 한 고사에서 유래하고, 나관중(羅貫中)이 지은 「삼국연의」(三國演義)에 나온다. 靈丹妙藥(영단묘약)은 영험하고 효력 있는 신기한 영약(靈藥), 즉 모든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방법을 가리킨다. brilliant scheme in a silk brocade bag tricks in.. 2024. 3. 12. 二桃殺三士(이도살삼사) 두 개의 복숭아로 세 명의 장사를 죽이다. 모략으로 체면을 중시하는 상대방을 꾀어 자멸시키다. 제나라 경공(景公)의 곁에서 위세를 자랑하며 관원에게 오만방자한 태도를 보이는 공손첩, 고야자, 전개장이라는 세 명의 무사를 제거하기 위하여 재상 안영이 세 명의 무사를 궁궐으로 오게 한다. 재상 안영은 쟁반에 두 개의 복숭아를 놓고는 잘 익은 복숭아가 두 개뿐이라 공로가 많은 사람이 먹으면 된다고 한다. 공손첩이 먼저 나서면서 사냥하던 경공에게 달려드는 호랑이를 맨손으로 쳐 죽여 위기에서 구한 공로를 자랑하며 복숭아를 먼저 가져가 먹는다. 공손첩에 이어 고야자가 나서면서 경공이 황하에서 괴물같은 커다란 교룡(蛟龍)의 습격을 받은 때에 괴물을 잡아 죽여 경공을 위기에서 구한 자랑을 하며 다른 복숭아를 가져가 먹.. 2024. 3. 11. 이전 1 ··· 10 11 12 13 14 15 16 ··· 28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