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說文解字9

설문해자(說文解字) 중국 후한시대(後漢時代 25-220)에 허신(許愼)이라는 학자가 편저하여 121년에 출간된 중국역사상 최초의 자전(字典)이다. 《설문해자》(說文解字)는 약칭하여 《설문》(說文)이라고 하며, 한자의 부수를 총 540부수로 나누어 각 부수에 속하는 글자를 분류하고, 각 글자에 대한 설해(說解)를 덧붙이고 있다. 《설문해자》에 수록된 한자는 총 9,353자이고, 그 이외에 중문(重文 고문(古文)이나 주문(籀文), 속자(俗字), 기자(奇字)와 같은 이체자) 1,163자가 수록되어 있고, 해설에 사용된 글자는 총 133,441자이다. 《說文解字序》 此十四篇,五百四十部,九千三百五十三文,重一千一百六十三,解說凡十三萬三千四百四十一字。 《설문해자서》 차십사편,오백사십부,구천삼백오십삼문,중일천일백육십삼,해설범십삼만삼천사백사.. 2022. 12. 21.
16. 八 여덟 팔 《說文》 別也。象分別相背之形。 o 나누다(part, leave each other). o 여덟(七加一的和)을 가리킨다. 《玉篇》 八,数也。 《옥편》 팔,수야。 o 나누어 서로 등지고 있는 모양을 상형한다. o 상형문자이다. o 丿 삐침 별과 乁 흐를 이가 서로 반대편으로 갈아진 모양(two lines indicating separation)으로 서로 나뉘어 등지고 있다는 의미이다. o 八은 丿乀, 즉 丿 삐침 별과 乀 파임 불로 구성된다고 볼 수도 있다. o 후에 八 여덟 팔이 8(eight)를 의미하는 글자로 가차되고, 본래의 의미인 나누다는 의미를 가진 글자로 分 나눌 분 別 나눌 별이 만들어져 사용되게 된다. o 捌 여덟 팔은 같은 글자이다. o 兰 난초 란 龹 밥 뭉칠 권 养 기를 양 㒸 드디어 .. 2021. 6. 13.
14. 茻 잡풀 우거질 망, 무성한 풀 망 《說文》 眾艸也。从四屮。讀與冈同。 o 무성하게 자라는 풀을 가리킨다. o 네 개의 屮 싹날 철을 따른다. o 상형문자이다. 《六書正譌》 衆草也,象形。 《육서정와》 중초야,상형。 o 잡풀이 무성하게 많이 난 모양을 상형한다. o 冈 산등성이 강과 같게 발음한다. o 茻은 艸艸, 즉 두 개의 艸 풀 초로 구성된다고 볼 수도 있다. o 설문해자에서는 葬(从死从茻) 장사지낼 장과 같이 茻이 들어가는 글자가 있으므로, 부수로 삼는다. o 강희자전에서는 부수가 아니고, 茻의 부수는 艸(풀초)이다. [茻部] 莫 저물 모, 고요할 맥, 없을 막 《說文》 日且冥也。从日在茻中。 o 해가 막 저물고 있다(dusk, sunset)는 의미이고, 잠시 후에는 어둡게 된다. 《广雅》 莫,夜也。 《엄아》 막,야야。 o 日 해 일을 .. 2021. 6. 12.
13. 蓐 요 욕, 깔개 욕 《說文》 陳艸復生也。一曰蔟也。 o 묵은 풀이 다시 살아난다(grow aftergrass)는 의미이고, 확대해석하여 짚으로 만든 방석(草垫子 straw mat)을 가리킨다. 《尔雅》 蓐谓之兹。 《이아》 욕위지자。 o 일설은 蔟 섶 족과 같은 글자이고, 누에섶(蠶蔟)을 의미한다고 본다. o 艸 풀 초를 따르고, 辱 욕도리 욕은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o 갑골문에 의하면 손(又)으로 농기구(辰)를 잡고 김(艸)을 매는 모양을 상형한다. o 주문(籒文)에서는 茻 잡풀 우거질 망 안에 辱 욕될 욕이 있는 모양을 따른다. o 蓐은 艸辰寸, 즉 艸 풀 초와 辰 별 진, 寸 마디 촌으로 구성된다고 볼 수도 있다. o 요는 사람이 누울 때에 방바닥에 까는 침구를 가리킨다. o 강희자전에서는 부수가 아니고, 蓐의 부.. 2021. 6.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