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第二30

44. 冊 책 책 《說文》 符命也。諸矦進受於王也。象其札一長一短,中有二編之形。 o 부명(符命)을 가리킨다. o 부명은 제후가 왕으로부터 관직을 임명받을 때에 나아가 받는 책서이다. o 책서에는 긴 부분과 짧은 부분이 하나씩 이어져 있고, 중앙을 가로질러 두 번 묶은 모양을 나타낸다. o 冊은 冂卄, 즉 冂 멀 경과 卄 스물 입으로 구성된다. o 冊은 𦉫一, 즉 𦉫 그물 망과 一 한 일로 구성된다고 볼 수도 있다. o 함께 묶여있는 죽간(竹簡 bamboo slips strung together)을 상형한다. o 부명(符命)은 하늘이 제왕(帝王)이 될 만한 사람에게 내리는 상서로운 징조를 가리킨다. o 부명은 임금이나 천자의 명령을 가리키기도 한다. o 册은 간체자(simplified Chinese)이다. o 다른 글자의 일부.. 2021. 6. 15.
43. 龠 피리 약 《說文》 樂之竹管,三孔,以和眾聲也。从品侖。侖,理也。 o 대나무로 만든 목관악기(short flute)이다. o 구멍(口)이 셋이고, 그 구멍을 통하여 여러 소리가 조화를 이루게 된다. o 피리를 가리킨다. o 고문에서는 구멍(口)이 없거나, 두 개의 구멍과 피리의 대롱을 나타내는 모양을 따른 경우도 있다. o 설문해자에 의하면 品 물건 품, 侖 조리세울 륜을 따른다. o 品 물건 품은 악기(피리)에 있는 구멍(管孔)을 나타낸다. o 구멍에 대하여는 3구멍이라는 견해가 많으나, 6구멍이나 7구멍이라는 주장도 있다. 《尔雅 释乐》 龠,乐之竹管三孔,以和众声也。 《이아 석악》 약,악지죽관삼공,이화중성야。 《旧唐书》 管三孔曰龠。 《구당서》 관삼공왈약。 《风俗通》 龠,乐之器,竹管三孔。 《풍속통》 약,악지기,죽관삼공.. 2021. 6. 15.
42. 品 물건 품 《說文》 眾庶也。从三口 o 많다(numerous). o 품인(品人)은 많은 사람, 품물(品物)은 많은 물건을 가리킨다. o 세 개의 口 입 구를 따른다. o 회의문자이다. o 口은 어떤 물건, 아마도 항아리를 가리킨다. o 品은 口吅, 즉 口 입 구와 吅 부르짖을 훤으로 구성된다고 볼 수도 있다. o 설문해자에서는 喦 말 많을 녑, 喿 새 떼로 울 조와 같이 品이 들어가는 글자가 있으므로, 부수로 삼는다. o 강희자전에서는 부수가 아니고, 品의 부수는 口(입구)이다. [品部] 喦 말 많을 녑(엽) 《說文》 多言也。从品相連。《春秋傳》曰 : 次于喦北。讀與聶同。 o 말이 많다. o 세 개의 입(口)을 서로 연결시킨 모양을 따른다. o 《춘추전》(春秋傳)에서 이르기를 차우엽북(次于喦北), 즉 형(邢)나라를 구원.. 2021. 6. 15.
41. 疋 발 소, 짝 필 《說文》 足也。上象腓腸,下从止。《弟子職》曰 : 問疋何止。古文以為《詩經 大雅》字。亦以為足字。或曰胥字。一曰疋,記也。 o 사람의 다리를 가리킨다. o 무릎(膝)에서부터 그 아래에 있는 다리(脚)를 가리킨다. o 위에는 비장(腓腸), 즉 장딴지에 근육이 붙어 볼록하게 나온 부분을 본뜬 모양이고, 아래는 발을 의미하는 止 발 지를 따른다. o 疋는 乛止, 즉 乛 새 을과 止(龰) 발 지로 구성된다. o 관자(管子)가 쓴 《제자직》(弟子職)에서 이르기를 문필하지(問疋何止)라고 한다. 問疋何止 - 謂問尊長之臥。足當在何方也。內則曰 : 將衽。長者奉席。請何止。止一作趾。足也。 문필하지 - 위문존장지와,족당재하방야。내칙왈:장임,장자봉석,청하지。지일작지,족야。 o 고문에서는 《시경 대아》(詩經 大雅)에서의 雅 바를 아와 같은 .. 2021. 6.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