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第十40

409. 惢 의심할 솨, 실망하는 모양 우 《說文》 心疑也。从三心。讀若《易》旅瑣瑣。 o 마음 속으로 의심하다. o 心心心, 즉 세 개의 心 마음 심을 따른다. o 惢 꽃술 쇄, 꽃술 예로도 쓴다. o 주역에서 이르는 여쇄쇄(旅瑣瑣)의 瑣 자질구레할 쇄와 같게 발음한다. o 蕊 [ruǐ] 꽃술 예 橤 꽃술 예 蘂 꽃술 예와 동음동의이다. o 강희자전에서는 부수가 아니고, 惢의 부수는 心(마음심)이다. [惢部] 繠 드리워질 예 《說文》 垂也。从惢糸聲。 o 드리워지다, 아래로 늘어지다. o 惢 꽃술 예를 따르고, 糸 가는 실 멱은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English] ruǐ suǒ a heart of the flower flower buds unopened flowers 2021. 9. 17.
408. 心 마음 심 《說文》 人心,土藏,在身之中。象形。博士說以為火藏。 o 사람의 마음(mind)이고, 심장(heart)이다. o 심장은 오행(五行)에서는 토장(土藏)이라고 본다. 《尚书》 脾,木也; 肺,火也; 心,土也; 肝,金也; 肾,水也。 《상서》 비,목야; 폐,화야; 심,토야; 간,금야; 신,수야。 o 박사(博士)는 심장을 화장(火藏)이라고 본다. 《尚书》 肝,木也; 心,火也; 脾,土也; 肺,金也; 肾,水也。 《상서》 간,목야; 심,화야; 비,토야; 폐,금야; 신,수야。 o 몸의 가장 중앙에 있다. o 상형문자이고, 사람의 심장을 상형한다. o 몸속에 있는 심장을 따른 글자로 생각할 수 있으나, 당시 몸속의 심장을 정확히 알기는 어려울 수 있으므로, 몸통(torso)을 본뜬 모양으로도 볼 수 있다. o 心은 丿乚丶丶, .. 2021. 9. 17.
407. 思 생각할 사 《說文》 容也。从心囟聲。 o 얼굴을 가리킨다. o 心 마음 심을 따르고, 囟 정수리 신은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o 혹설은 心 마음 심을 따르고, 囟 정수리 신을 따르는 회의문자라고 보기도 한다. o 생각은 가슴(心 heart)과 머리(囟 田 head)로 한다 혹은 가슴과 머리가 서로 합작하여 생각을 한다는 의미이다. o 금문 이후부터 囟 정수리 정이 田 밭 전으로 변한 서체가 나타나지만, 田 밭 전이 밭을 의미하지는 않고, 여전히 머리(head, fontanel)를 의미한다. o 恖 생각할 사가 본자(本字 original form)이다. o 思 수염 많을 새로도 쓰고, 얼굴에 수염이 길게 많이 난 모양(heavily bearded)을 나타낸다. o 우사(于思)는 수염이 더부룩하다, 수염이 텁수룩하.. 2021. 9. 17.
406. 囟 정수리 신 《說文》 頭會,匘蓋也。象形。 o 머리 위의 숫구멍이 있는 자리이다. o 상형문자이다. o 䏤 정수리 신 䪿 정수리 신 顖 정수리 신은 같은 글자이다. o 강희자전에서는 부수가 아니고, 囟의 부수는 囗(큰입구)이다. [囟部] 巤 목 갈길 렵(엽) 《說文》 毛巤也。象髮在囟上及毛髮巤巤之形。此與籒文子字同。 o 짐승의 목덜미에 난 긴 털을 가리킨다. o 설문해자는 정수리 위에 난 털 혹은 모발이 숱이 많고 길게 자란 모양을 상형한다고 본다. o 巛 내 천은 모발을 나타내고, 머리를 길게 기른 아이를 본뜬 상형문자이다. o 주문(籒文)에서는 子 아들 자와 같은 글자로 쓴다. o 주문을 보면 子 아들 자는 머리(囟)에 머리카락이 무성하게 자란 아이를 상형한다. 𣬈 밝을 비 《說文》 人臍也。从囟,囟,取气通也;从比聲。 .. 2021. 9. 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