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1135

一言既出 駟馬難追(일언기출 사마난추) 한 번 내뱉은 말은 네 필의 말이 끄는 사두마차(四頭馬車)로도 따라잡을 수 없다. 한 번 한 말은 다시 되돌릴 수 없다. "좁은 입으로 한 말 넓은 치맛자락으로도 못 막는다"고 하는 속담이 있고, 말은 입 밖에 나가면 널리 퍼져 막기 어렵다는 의미이다. "한 번 한 말은 다시 주워 담기가 어렵다", "새장에서 도망친 새는 붙잡을 수 있으나 입에서 나간 말은 붙잡을 수 없다", "화살은 쏘고 주워도 말은 하고 못 줍는다", "쌀은 쏟고 주워도 말은 하고 못 줍는다"고 하는 속담과 같은 의미이다. 약속은 반드시 지켜야 한다(pacta sunt servanda). 君子一言 駟馬難追(군자일언 사마난추), 君子一言 快馬一鞭(군자일언 쾌마일편)도 같은 의미이다. 駟不及舌(사불급설)은 사두마차도 사람의 혀를 따라잡을.. 2023. 11. 4.
泰山不讓土壤(태산불양토양) 태산은 작은 흙도 마다하지 않는다. 도량이 넓고 큰 사람은 누구라도 포용한다. 마음을 크고 넓게 가져 어떠한 사람이라도 받아들여야 큰 인물이 될 수 있다. 河海不擇細流(하해불택세류), 즉 강과 바다는 작은 물줄기를 가리지 않는다고 한다. 海不讓水(해불양수)는 바다는 어떠한 물도 마다하지 않는다, 즉 모든 사람을 차별하지 않고 포용한다는 의미이다. 長江不拒細流, 泰山不擇細土(장강불거세류, 태산불택세토)는 장강은 작은 물줄기를 거절하지 않고, 태산은 작은 흙을 가리지 않는다는 의미이다. 泰山不拒微塵, 黃河不擇細流(태산불거미진, 황하불택세류)는 태산은 미세한 티끌도 거절하지 않고, 황하는 작은 물줄기도 가리지 않는다고 한다. Mount Tai does not allow soil, so it can become.. 2023. 11. 3.
不識泰山(불식태산) 태산을 알아보지 못하다. 태산을 몰라보다. 인재를 알아보지 못하다. 식견이 좁다. 시야가 좁다. 분명한 사실을 이해하지 못하다. 有眼不識泰山(유안불식태산)은 눈이 있으나, 태산을 몰라보다(have eyes but fail to recognize Mount Tai), 즉 눈 앞에 태산을 두고도 태산을 알아보지 못한다는 의미로 같은 표현이다. 태산은 산(山)을 지칭하지 않고, 죽공예의 비조(鼻祖)로 불리는 태산(泰山)이라는 사람을 가리킨다고 보기도 한다. 세공(細工)분야에서 이름난 장인(匠人)으로 알려진 노반(魯班)이 태산이라는 제자가 목공예를 배우기를 게을리하고 실력이 부족하다는 이유로 쫓아내나, 10여년 후 노반은 시장에서 대나무로 만든 아주 훌륭한 가구를 발견하게 되고, 그 가구를 만든 사람이 바로 실.. 2023. 11. 2.
螞蟻搬泰山(마의반태산) 개미가 태산을 옮기다. 여러 사람이 서로 힘을 합치면 어떤 일이든 해낼 수 있다. 한국속담에서는 "백지장도 맞들면 낫다"고 한다. 人心齊, 泰山移(인심제, 태산이)는 "사람의 마음이 같으면 태산도 옮길 수 있다"는 의미이다. 愚公移山(우공이산)은 "어리석은 노인이 산을 옮긴다", 즉 어떤 일이든 꾸준하게 열심히 하면 반드시 이룰 수 있다는 의미이다. 제 주제를 모른다는 의미로도 쓴다. 제 분수도 모르고 무모하게 덤비다. ants can move Mount Taishan the united efforts of the masses can accomplish mighty projects In unity there is strength. 2023. 11.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