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1135 安如泰山(안여태산) 태산처럼 안정적이다. 태산과 같이 든든하고 꿈쩍도 안 하다. 매우 안정하다. 흔들리지 않고 듬직하다. 安若泰山(안약태산)이라고도 한다. 穩如泰山(온여태산)도 같은 의미이다. 堅如磐石(견여반석), 安如磐石(안여반석)은 반석처럼 든든하다는 의미이고, 같은 표현이다. 固若金湯(고약금탕)는 금성탕지(金城湯池)처럼 견고하다는 의미이다. 태산(泰山)이 들어간 사자성어로 恩重泰山(은중태산)은 은혜가 태산처럼 무겁다, 즉 은혜가 매우 크다는 의미이고, 泰山北斗(태산북두)는 태산과 북두성, 즉 비유적으로 덕망이 높고 탁월한 업적을 쌓은 사람을 가리키고, 重于泰山(중우태산)은 태산보다 무겁다, 즉 한 사람의 희생이 매우 가치가 있다는 의미이고, 泰山鴻毛(태산홍모)는 태산과 기러기의 깃털, 즉 태산처럼 무겁고 기러기의 깃털.. 2023. 11. 8. 冰寒於水(빙한어수) 얼음은 물에서 생기나 물보다 차갑다. 제자가 스승보다 훌륭하다. 冰寒于水(빙한우수)라고도 한다. 靑出於藍(청출어람), 青出于藍(청출우람)과 같은 의미이다. 雛鳳淸於老鳳聲(추봉청어노봉성)은 어린 새끼봉황의 울음소리가 늙은 봉황의 울음소리보다 한결 청아하다는 표현으로 비유적으로 자제가 뛰어나게 훌륭하다는 의미이다. 後生可畏(후생가외)는 뒤에 난 사람이 경외할 만하다, 즉 젊은 후배가 학문을 계속 닦고 덕을 쌓아 선배를 능가하는 경지에 이르게 된다는 의미이다. "나중 난 뿔이 우뚝하다", "뒤에 난 뿔이 우뚝하다", "먼저 난 머리보다 나중 난 뿔이 무섭다"는 속담은 후배가 선배보다 나을 때에 하는 표현이다. ice is more cold than water the student has surpassed hi.. 2023. 11. 7. 內憂外患(내우외환) 나라의 안에 있는 근심과 나라의 밖으로부터 닥치는 환란을 가리킨다. 안팍으로 어려운 일과 근심거리, 걱정거리가 차고 넘치다. 사방에 온통 걱정거리뿐이다. troubles at home and abroad internal and external troubles internal upheaval and external invasions internal disorder and foreign invasions 管仲 《管子 戒》 君外舍而不鼎馈,非有内忧,必有外患。 관중 《관자 계》 군외사이불정궤,비유내우,필유외환。 2023. 11. 6. 左顧右眄(좌고우면) 왼쪽을 돌아보며 오른쪽을 곁눈질하다. 이쪽을 돌아보고, 저쪽도 돌아보다. 바로 결정를 하지 못하고 이리저리 생각하며 망설이다. 결단을 내리지 못하고 주저하다. 좌면우고(左眄右顧), 좌우고면(左右顧眄), 좌고우시(左顧右視), 좌우고시(左右顧視), 좌첨우고(左瞻右顧)라고도 한다. glance right and left look right and left look around hesitation wavering vacillate 洪迈(宋) 《夷坚丁志 奢侈报》 信自僦一斋,好絜其衣服,左顾右眄,小不整即呼匠治之。 홍매(송) 《이견정지 사치보》 신자추일재,호혈기의복,좌고우면,소불정즉호장치지。 2023. 11. 5. 이전 1 ··· 42 43 44 45 46 47 48 ··· 28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