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1135 一魚濁水(일어탁수) 한 마리의 물고기가 온 강물을 흐린다. 한 사람의 잘못으로 여러 사람이 그 피해를 입게 된다. 한 사람의 못된 행동이 사회에 큰 해독을 끼친다. 一魚混全川(일어혼전천)이라고도 한다. 一鰌濁堰(일추탁언)은 "한 마리의 미꾸라지가 온 웅덩이를 흐린다"는 의미이다. "조그만 실뱀이 온 바닷물을 흐린다", "조그만 실뱀이 온 강물을 다 휘젓는다"는 속담도 같은 의미이다. "한 갯물이 열 갯물 흐린다"는 속담도 있다. 외국속담에서는 "한 개의 썩은 사과가 한 상자의 사과를 망친다"고 한다. One rotten apple spoils the barrel. 2023. 11. 16. 十目十手(십목십수) 열 사람의 눈과 열 사람의 손을 가리킨다. 열 사람이 눈을 뜨고 지켜보고, 열 사람이 손가락으로 가리킨다. 여기저기 보는 눈이 많고, 많은 사람이 손가락질을 한다. 보는 사람과 손가락질하는 사람이 많다. 지켜보는 사람이 많다. 十目所視 十手所指(십목소시 십수소지)도 같은 의미이다. "낮말은 새가 듣고 밤말은 쥐가 듣는다"고 하는 속담이 있고, 아무리 비밀스럽게 한 말도 남의 귀에 들어가기 쉬우니 항상 말조심하여야 한다는 의미이다. "벽에도 귀가 있다"는 속담도 있다. with many people watching one cannot do wrong without being seen Walls have ears. Fields have eye, and woods have ears. 《禮記 大學》 曾子曰: ".. 2023. 11. 15. 言十妄九(언십망구) 열 마디의 말을 하면 아홉 마디는 쓸데없는 말이다. 말을 조심하여야 한다. "말이 많으면 쓸 말이 적다", "말이 많으면 실언이 많다", "말이 앞서지 일이 앞서는 사람 본 일 없다"는 속담은 말이 많으면 실언하기 쉬우므로 말은 될수록 적게 하여야 좋다는 의미이다. "하고 싶은 말은 내일하라"는 속담이 있고, 하고 싶은 말이 있으면 충분히 생각하고 나서 하여야 실수가 없다는 의미이다. "입을 다물 줄 모르는 사람은 대문이 없는 집과 같다", "새장에서 도망친 새는 붙잡을 수 있으나 입에서 나간 말은 붙잡을 수 없다"는 속담도 같은 의미이다. "혀에는 뼈가 없다", "입보다 귀를 상석에 앉혀야 한다"고도 한다. "인간은 말하는 방법을 태어나면서 바로 배우나 입을 다무는 방법은 좀처럼 배우기 어렵다"는 속담.. 2023. 11. 14. 頭痛醫頭 脚痛醫脚(두통의두 각통의각) 머리가 아프면 머리만 치료하고, 다리가 아프면 다리만 치료한다. 일의 근본적인 문제를 해결하려 하지 아니하고, 지엽적인 문제만을 해결하려 한다. 頭痛灸頭, 腳痛灸腳(두통구두, 각통구각)이라고도 한다. 頭痛治頭, 足痛治足(두통치두, 족통치족)이라고도 한다. treat the head when the head aches, treat the foot when the foot hurts adopt sporadic and piecemeal steps as the physician who treats the head when the head aches, and treat the foot treat symptoms but not the disease take stopgap measures rather than get.. 2023. 11. 13. 이전 1 ··· 40 41 42 43 44 45 46 ··· 28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