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사성어531 他山之石(타산지석) 다른 산의 돌을 가리킨다. 다른 산에서 나는 나쁜 돌을 가져다가 숫돌로 쓸 수 있고, 자기가 가지고 있는 거친 옥을 다듬어 아름다운 옥으로 만들 수도 있다. 다른 사람의 잘못된 언사나 행동, 허물과 실수, 실패를 교훈삼아 자기의 지덕을 연마하며 인격을 수양할 수 있고, 자기의 인생을 바르게 설계할 수 있다. 他山之石 可以攻玉(타산지석 가이공옥)은 같은 의미이다. 他山之石 可以爲錯(타산지석 가이위착)이라고도 한다. the stones of other hills The stones of those hills, may be used to polish gems. the other mountain's stone can polish jade Stones from other hills may serve to poli.. 2023. 2. 4. 君舟民水(군주민수) 군주는 배와 같고, 백성은 강물과 같다. 강물이 화가 나면 배를 뒤집는다. 백성이 분노하면 군주를 몰아낸다. 水能載舟 亦能覆舟(수능재주 역능복주), 水可載舟 亦可覆舟(수가재주 역가복주), 載舟覆舟(재주복주)는 물은 배를 띄울 수도 있고, 또한 배를 전복시킬 수도 있다는 표현으로 같은 의미이다. 《교수신문》에서 국내의 대학교수가 선정한 2016년 사자성어라 한다. The emperor is like the boat, people are like water. The water that bears the boat is the same that swallows it. If something is used correctly, it will be of benefit but if used incorrectly, it.. 2023. 2. 3. 青梅竹馬(청매죽마) 푸른 매실과 대말을 가리킨다. 푸른 매실을 가지고 공기놀이를 하며 노는 여자아이와 대말, 즉 대나무로 만든 말을 타며 노는 남자아이를 의미하며, 남녀소꿉동무를 가리킨다. 남녀 아이가 천진난만하게 소꿉장난하다. 이백(李白)이 지은 《장간행》(長干行)에 나오는 郎騎竹馬來 繞床弄青梅(낭기죽마래 요상롱청매), 즉 사내는 죽마를 타고 나타나고, 우리는 우물가에서 아직 푸른 매실을 가지고 논다(On hobby horse you came upon the scene, and around the well we played with plums still green)는 구절에서 유래한다. 兩小無猜(양소무시)도 역시 같은 의미이고, 역시 이백의 《장간행》에 나오는 兩小無嫌猜(양소무혐시 carefree and innocent,.. 2023. 2. 2. 口中雌黄(구중자황) 입 속에 자황이 있다. 입에서 나오는 대로 함부로 지껄이다. 즉흥적으로 말하다. 시뻘건 거짓말을 하다. 信口雌黄(신구자황)도 같은 의미이다. "말은 청산유수 같다"고 하는 속담은 말을 막힘 없이 아주 잘 한다는 의미이다. "언던에 둔던 대듯 한다"고 하는 속담은 말을 이리저리 둘러 대어 거짓말한다는 의미이다. "거짓말이 외삼촌보다 낫다", "거짓말도 잘 하면 오려논 닷 마지기보다 낫다"고 하는 속담이 있고, 거짓말도 경우에 따라서는 처세에 이롭다는 의미이다. orpiment in the mouth make irresponsible remarks make a malicious remark carelessly talk sheer nonsense be free with one's tongue make stat.. 2023. 2. 1. 이전 1 ··· 111 112 113 114 115 116 117 ··· 13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