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고사성어531

亡羊補牢(망양보뢰) 양을 잃고서 우리를 고치다. "소 잃고 외양간 고친다"(lock the stable door after the horse is stolen), "말 잃고 외양간 고친다", "말 죽이고 외양간 고친다", "도둑 맞고 사립 고친다"는 속담과 같이, 어떤 일이 이미 실패한 뒤에는 뉘우쳐 보아야 소용이 없다는 의미로 쓴다. 본래는 망양이보뢰, 미위지야(亡羊而補牢, 未為遲也), 즉 "양을 잃고서야 우리를 고쳐도 늦지 않다"는 의미이다. 見兎顧犬(견토고견)은 토끼를 보고서야 개를 부르려고 돌아보다는 의미이고, 같은 표현이다. 늦더라도 안 하느니 보다는 낫다. 뒤늦게야 행동에 나서다. repair the pen after sheep are lost mend the pen after sheep are lost mend.. 2023. 2. 17.
一石二鳥(일석이조) 돌 하나로 두 마리의 새를 잡다. 한 가지의 일로 두 가지 또는 그 이상의 이득을 얻다. 一箭雙鵰(일전쌍조), 즉 "한 발의 화살로 두 마리의 수리를 잡다"(one arrow, two eagles)도 같은 의미이다. 더 강조할 때에는 一石三鳥(일석삼조 kill three birds with one stone) 혹은 一石四鳥(일석사조 kill four birds with one stone)라고도 한다. 一擧兩得(일거양득 one stroke, double gain)과 같은 의미이다. 買一開二(매일개이)도 같은 의미이다. 속담에서는 "원님도 보고 환자(還子)도 탄다", "원 보고 송사(訟事) 본다", "임도 보고 뽕도 딴다"고 하고, 한꺼번에 두 가지 일이 성사될 때에 하는 표현이다. "도랑치고 가재잡고", .. 2023. 2. 16.
三皇五帝(삼황오제) 고대중국의 신화에 나오는 세 명의 황제(皇帝)과 다섯 명의 제왕(帝王)을 가리킨다. 삼황오제는 중국역사상 가장 이상적인 정치를 펼친 전설 속의 임금과 제왕으로, 이상적인 임금이나 제왕 혹은 역사상 뛰어난 임금과 제왕을 일컫는다. 누구를 삼황이나 오제로 보는가는 문헌마다 약간 차이가 있다. the Three Sovereigns and Five Emperors in Chinese mythology three huang(皇 magnificent ones), five di(帝 lords of heaven) ▮ 삼황(三皇) 司馬遷(前漢) 《史記》 天皇, 地皇, 泰皇(人皇) 사마천(전한) 《사기》 천황, 지황, 태황(인황) Heavenly Sovereign, Earthly Sovereign, Tai Sovereig.. 2023. 2. 15.
齊人攫金(제인확금) 제나라에 사는 어떤 사람이 금을 움켜쥐다. 일확천금을 노리는 사람은 다른 사람을 보지 못한다. 명예나 욕심에 사로잡힌 사람은 오로지 눈 앞의 이익만을 생각하고, 멀리 보지를 못한다. 눈 앞의 이익을 쫓는 사람은 사람으로서의 도리를 생각하지 못하고, 앞뒤의 위험을 가리지 않고 욕심만 차린다. 속담에서는 "흰 술은 사람의 얼굴을 누르게 하고, 황금은 사람의 마음을 검게 한다"고 한다. "참새 방앗간이지", "참새가 방앗간을 그대로 지나랴", "참새가 방앗간을 거저 지나랴? "하는 속담이 있고, 욕심이 많은 사람은 이(利)를 보고 그냥 지나치지 못한다는 의미이다. 攫金者不見人(확금자불견인)이라고도 한다. 逐鹿者不見山(축록자불견산), 즉 "사슴을 쫓는 사냥꾼은 산을 보지 못한다"도 같은 의미이다.逐魚者不見海(축.. 2023. 2.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