反求諸己(반구저기)
잘못을 자기에게서 찾다. 行有不得, 反求諸己(행유부득, 반구저기), 즉 "행하고도 원하는 결과를 얻지 못하게 되면 오히려 자신에게서 원인을 찾다"는 의미이다. 反躬自問(반궁자문), 反躬自省(반궁자성)도 같은 의미이다. 閉門思過(폐문사과)는 "문을 닫아걸고 잘못을 생각하다"는 의미로 같은 표현이다. 嚴于律己(엄우률기)는 "자신에게 매우 엄격하다"는 의미로 같은 표현이다. 怨天尤人(원천우인), 怨天怨地(원천원지), 즉 "하늘을 원망하고 남을 탓하다", "하늘을 원망하고 땅을 원망하다"는 잘못에 대하여 자기를 탓하지 않고 남을 탓한다는 의미로 반대되는 표현이다. 어떤 일이 잘못되더라도 절대로 남을 탓하지 아니하며, 자신을 돌이켜 반성하고, 자기 안에서 잘못의 원인을 찾는다는 의미이고, 바로 「내 탓이오」(me..
2023. 2. 22.
竹林七賢(죽림칠현)
중국 진(晉)나라 초기에 노장(老莊)의 무위사상(無爲思想)을 숭상하며 죽림에 모여 청담(淸談)으로 세월을 보낸 일곱 명의 선비를 가리킨다. 산도(山濤), 왕융(王戎), 유령(劉伶), 완적(阮籍), 완함(阮咸), 혜강(嵆康), 향수(向秀)를 죽림칠현이라 한다. the Seven Sages of the Bamboo Grove The Seven Sages are Ji Kang (嵇康) (aka Xi Kang), Liu Ling (刘伶), Ruan Ji (阮籍), Ruan Xian (阮咸), Xiang Xiu (向秀), Wang Rong (王戎) and Shan Tao (山涛). Seven Worthies of Bamboo Grove group of Chinese scholars, writers and musi..
2023. 2. 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