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고사성어531

竹馬故友(죽마고우) 옛적에 대나무를 두 다리 사이에 끼고 말처럼 타며 놀던 소꼽친구를 가리킨다.어릴 때부터 같이 놀며 자란 친한 친구, 즉 불알친구를 지칭한다. 竹馬之友(죽마지우)라고도 한다. 30cm 정도의 길이로 된 대나무에 발판을 붙여 사람이 딛고 설 수 있게 만든 놀이기구도 죽마(竹馬 stilts)라고 한다.friend of bamboo horse old friend who played with riding horses made from bamboo trees friend of stilts old friend on stilts an old playmate childhood friend 青梅竹馬(청매죽마)푸른 매실과 대말을 가리킨다. 푸른 매실을 가지고 공기놀이를 하며 노는 여자아이와 대말, 즉 대나무로 만든 말을 타.. 2023. 2. 23.
父子無隔宿之仇(부자무격숙지구) 아버지와 아들 사이에는 하룻밤을 넘기는 구원(仇怨 사무쳐 용서할 수 없는 원한)이 없다. 無仇不成父子, 無怨不成夫妻(무구불성부자, 무원불성부처)라고도 한다. 夫妻無隔宿之仇(부처무격숙지구)는 부부 사이에는 밤을 넘기지 원한이 없다, 즉 “부부싸움은 칼로 물베기”라는 속담과 같은 표현이다. Father and son should never let the sun set on a quarrel. Father and son’s quarrels are soon mended. 2023. 2. 23.
反求諸己(반구저기) 잘못을 자기에게서 찾다. 行有不得, 反求諸己(행유부득, 반구저기), 즉 "행하고도 원하는 결과를 얻지 못하게 되면 오히려 자신에게서 원인을 찾다"는 의미이다. 反躬自問(반궁자문), 反躬自省(반궁자성)도 같은 의미이다. 閉門思過(폐문사과)는 "문을 닫아걸고 잘못을 생각하다"는 의미로 같은 표현이다. 嚴于律己(엄우률기)는 "자신에게 매우 엄격하다"는 의미로 같은 표현이다. 怨天尤人(원천우인), 怨天怨地(원천원지), 즉 "하늘을 원망하고 남을 탓하다", "하늘을 원망하고 땅을 원망하다"는 잘못에 대하여 자기를 탓하지 않고 남을 탓한다는 의미로 반대되는 표현이다. 어떤 일이 잘못되더라도 절대로 남을 탓하지 아니하며, 자신을 돌이켜 반성하고, 자기 안에서 잘못의 원인을 찾는다는 의미이고, 바로 「내 탓이오」(me.. 2023. 2. 22.
竹林七賢(죽림칠현) 중국 진(晉)나라 초기에 노장(老莊)의 무위사상(無爲思想)을 숭상하며 죽림에 모여 청담(淸談)으로 세월을 보낸 일곱 명의 선비를 가리킨다. 산도(山濤), 왕융(王戎), 유령(劉伶), 완적(阮籍), 완함(阮咸), 혜강(嵆康), 향수(向秀)를 죽림칠현이라 한다. the Seven Sages of the Bamboo Grove The Seven Sages are Ji Kang (嵇康) (aka Xi Kang), Liu Ling (刘伶), Ruan Ji (阮籍), Ruan Xian (阮咸), Xiang Xiu (向秀), Wang Rong (王戎) and Shan Tao (山涛). Seven Worthies of Bamboo Grove group of Chinese scholars, writers and musi.. 2023. 2. 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