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고사성어531

一葉障目, 不見泰山(일엽장목, 불견태산) 한 장의 나뭇잎이 눈을 가리면 눈 앞에 있는 거대한 태산도 볼 수 없다. 부분적이거나 일시적인 현상에 미혹되어 전체를 보지 못하다. 아주 사소한 장애에 막혀 근본적인 문제를 보지 못하다. 一葉蔽目, 不見泰山(일엽폐목, 불견태산)이라고도 한다. 一指蔽目, 不見泰山(일지폐목, 불견태산)은 "한 손가락으로 눈을 가리면 태산을 볼 수 없다"(a finger before the eye shuts out Mount Tai)는 의미이고, 같은 표현이다. 一葉障目(일엽장목) 혹은 一葉蔽目(일엽폐목), 一指蔽目(일지폐목)이라고도 한다. a leaf before the eye shuts out Mount Tai Cannot see the world due to one block in front of eyes. have o.. 2023. 3. 26.
讀書百遍, 其義自見(독서백편, 기의자현) 책을 백 번 읽으면 그 뜻이 저절로 드러난다. 아무리 어려운 글이라도 몇 번이고 읽고, 열심히 공부하면 이해할 수 있다. 讀書百遍而義自見(독서백편이의자현) 혹은 讀書百遍義自見(독서백편의자현)이라고도 한다. 一日不讀書口中生荊棘(일일부독서구중생형극)은 "하루라도 책을 읽지 않으면 입속에 가시가 돋는다"는 의미이고, 안중근의사의 유묵이 유명하다. 三日不讀書語言乏味(삼일부독서어언핍미) 혹은 三日不讀書面目可憎(삼일불독서면목가증), 즉 "사흘 동안 책을 읽지 않으면 말이 맛(아담하고 우아한 운치)을 잃게 된다"(not studying for three days, speech becomes dull), "사흘 동안 책을 읽지 않으면 얼굴이 밉살스럽게 된다"(not studying for three days, look.. 2023. 3. 26.
鳳毛麟角(봉모인각) 봉황의 깃털과 기린의 뿔을 가리킨다. 아주 희귀한 물건을 비유적으로 의미한다. 여러 세대에 걸쳐 드물게 나타나는 아주 뛰어나고 훌륭한 인물 혹은 세상에 드문 인재를 가리킨다. 麟角鳳毛(인각봉모)라고도 한다. 鳳毛(봉모 phoenix fur)는 조상보다 글재주가 뛰어난 후손(a fine son taking after his father and grandfather)을 가리키기도 한다 伏龍鳳雛(복룡봉추)는 "숨어 있는 용과 봉황의 새끼", 즉 아직 세상에 잘 알려지지 않은 숨은 재사나 준걸, 지략이 뛰어난 젊은 인재를 가리키고, 복룡(伏龍)은 제갈량, 봉추(鳳雛)는 방사원(龐士元)을 지칭한다. 多如牛毛(다여우모)는 소털처럼 많다는 의미로 반대되는 표현이다. phoenix feathers and unicorn.. 2023. 3. 25.
以小人之心, 度君子之腹(이소인지심, 도군자지복) 소인의 마음으로 군자의 배를 재다. 소인의 마음으로 군자가 마음속에 품고 있는 심정을 판단하다. 저속한 사람의 생각으로 고상한 사람의 심정을 평가하다. 다른 사람의 고상한 마음이나 진실을 본인의 저열한 생각으로만 판단하여 냉소적으로 보다. 본래 원전에서는 以小人之腹, 爲君子之心(이소인지복, 위군자지심)으로 나오나, 후에는 以小人之慮, 度君子之心(이소인지려, 도군자지심)으로도 쓰고, 지금은 주로 以小人之心, 度君子之腹(이소인지심, 도군자지복)으로 쓴다. 춘추시대에 뇌물을 받아 챙기려는 위서(魏舒 Wei Shu)에게 염몰(閻沒 Yan Mo)과 여관(女寬 Ru Kuan)이 願以小人之腹, 為君子之心, 屬厭而已(원이소인지복,위군자지심,속염이이)라고 하며 뇌물을 거절하기를 충고한 고사에서 유래한다. "돼지 눈에는 .. 2023. 3. 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