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1135

成也蕭何, 敗也蕭何(성야소하, 패야소하) 성공도 소하에게 달려있고, 실패도 소하에게 달려있다. 출세도 죽음도 다 소하에게 달려있다. 성패 혹은 생사가 모두 한 사람에게 달려있다. 소하가 한신(韓信)을 유방에게 천거하여 대장군이 되게 하고, 후에는 한신이 소하의 계책에 속아 비록 병중에도 불구하고 궁으로 들어가다가 여후(呂后)가 보낸 무사에게 사로잡혀서 결국은 목을 베인 고사에서 유래한다. The success is from Xiao He, and the downfall is also from Xiao He. accomplished by Xiao He, but also lost by Xiao He the key to one's success is also one's undoing In the beginning of the Han Dynasty, .. 2024. 1. 14.
龍爭虎鬪(용쟁호투) 용과 호랑이가 서로 싸우다. 투쟁이 매우 치열하다. 시합이나 경기가 막상막하이다. bitter fight between a dragon and tiger an evenly matched big fight struggle between two equal leaders fierce struggle between two evenly-matched opponents 2024. 1. 13.
名實相符(명실상부) 이름과 실상이 서로 꼭 들어맞다. 이름과 실제가 서로 부합하다. 名副其實(명부기실)이라고도 한다. 表裏不一(표리불일)은 반대되는 표현이다. 紅不甘醬(홍불감장)은 간장이 빛깔은 붉으나 맛은 달지 않다, 즉 겉은 좋아 보여도 속은 신통치 않다는 의미이고, 반대되는 표현이다. 한국속담에서는 "붉고 쓴 장"이라고 하고, 홍불감장과 같은 표현이다. "빛 좋은 개살구", "허울 좋은 하눌타리", "속 빈 강정", "빈 수레가 요란하다", "소문난 잔치에 먹을 거 없다"와 같은 속담도 역시 겉으로 보기는 좋으나 내실이 없는 경우를 비유적으로 가리키고, 명실상부와는 상반되는 표현이다. be worthy of the name live up to one's reputation beyond all doubt indisput.. 2024. 1. 12.
挨一拳, 得一着; 挨十拳, 變諸葛(애일권, 득일착; 애십권, 변제갈) 한 대를 맞으면 한 가지를 얻고, 열 대를 맞으면 제갈량이 된다. 실패와 좌절을 겪으면서 제갈량처럼 많은 지혜와 재능을 가지게 된다(经历失败挫折能学到很多本领, 增长智慧). 고난과 역경을 겪으면 겪을수록 현명하게 된다. 속담에서는 "인내는 쓰고 그 열매는 달다"고 한다. "고생 끝에 낙이 온다"는 속담도 있다. 吃一塹, 長一智(흘일참, 장일지)도 같은 의미이다. no pain, no gain fall into a pit but learn from the experience gain wisdom from experience of setbacks learn from mistakes patience is bitter and fruit is sweet 王勤 《大江东去》 英雄人物也不是天生的常言道:"挨一拳,得一着;挨.. 2024. 1.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