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1135 不撒大網 不得大魚(불살대망 부득대어) 큰 그물을 쓰지 않으면 큰 물고기를 잡을 수 없다. 많은 노력을 하지 않으면 큰 목표를 달성할 수 없다. 생각이 크고 넓어야 성공도 크다. 주로 몽골에서 쓰는 표현이라고 한다. without casting a big net how can a big fish be caught Need to think big if to succeed. 2024. 1. 10. 一切唯心造(일체유심조) 모든 일은 오직 마음이 지어낸다. 세상만사는 오로지 마음먹기에 달려있다. 사람은 마음먹은 만큼 행복하다. all is mind-created Everything is the creation of mind. The mind is the forerunner of all things. Mind is the creator of all phenomena. 《华严经》 若人欲了知,三世一切佛,应观法界性,一切唯心造。 《화엄경》 약인욕요지,삼세일체불,응관법계성,일체유심조。 2024. 1. 9. 易如反掌(이여반장) 손바닥을 뒤집는 경우와 같이 쉽다. 어떤 일을 다 이루어 끝내기가 아주 쉽다. 일이 매우 쉬운 경우를 비유적으로 나타내는 표현이다. 아주 간단하다. 너무 쉽다. 如反掌(여반장)이라고도 한다. 易過借火(이과차화)는 불을 빌리는 경우보다 쉽다(easier than borrowing fire)는 의미이고, 같은 표현이다. 小菜一碟(소채일접)은 작은 반찬 한 접시를 가리키고, 역시 같은 의미이다. 囊中取物(낭중취물)은 주머니 속에서 꺼내 가지다, 즉 아주 쉽게 얻을 수 있는 물건이나 매우 손쉽게 이룰 수 있는 일을 비유적으로 가리킨다. 話咁易(화감이), 話都冇咁易(화도유감이)도 매우 간단하고 쉽다는 의미이다. 한국속담에서는 "식은 죽 먹기", "누워서 떡 먹기", "땅 짚고 헤엄치기"라고 한다. "따 놓은 당상.. 2024. 1. 8. 不經一事 不長一智(불경일사 부장일지) 한번 일을 겪지 아니하면 한 가지의 지혜가 자라지 아니한다. 경험한 만큼 지혜가 생긴다. 경험을 통하여 배우고 성장한다. 吃一塹, 長一智(흘일참, 장일지)는 한번 좌절을 맛보면 그 만큼 지혜가 커진다는 의미이다. one cannot gain knowledge without practice knowledge is only gained in practice wisdom comes from experience wisedom does not come but from experience One thing, one wit. 曹雪芹(清) 《红楼梦》 俗语说: "不经一事,不长一智。’我如今知道了,你又该来支问着我了!" 조설근(청) 《홍루몽》 속어설: "불경일사,부장일지。’아여금지도료,니우해래지문착아료!" 2024. 1. 7. 이전 1 ··· 26 27 28 29 30 31 32 ··· 28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