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1135 鄒魯之鄕(추로지향) 맹자와 공자의 고향을 가리킨다. 예절이 바르고 학문이 왕성하게 이루어지는 고장을 이르는 표현이다. 孔孟之鄕(공맹지향)이라고도 한다. 추(鄒)는 맹자가 태어난 고향을 가리키고, 노(魯)는 공자의 모국인 노나라를 가리킨다. 洙泗(수사), 洛閩(낙민)도 역시 예의가 바르고 학식이 높은 고장을 가리키고, 수사(洙泗)는 공자가 살던 고장이 수수(洙水)와 사수(泗水) 사이에 있다는 의미이고, 낙민(洛閩)은 정자(程子)와 주자(朱子)의 고향이 각각 낙수(洛水)와 민(閩)이라는 지방이라는 의미이다. 국내에서는 흔히 안동(安東)을 추로지향이라고 하고, 경북 안동에 있는 도산서원의 입구에는 공자의 77대 종손 공덕성(孔德成 1920-2008 ) 대만대학 교수가 1980년 12월 도산서원에 방문하여 직접 쓴 글씨를 새긴 비.. 2024. 1. 6. 桑田碧海(상전벽해) 뽕나무밭이 변하여 푸른 바다가 되다. 세상이 몰라볼 정도로 크게 변하다. 세상의 부침이나 변천이 덧없이 심하다. 세상사가 덧없다. 碧海桑田(벽해상전)이라고도 한다. 桑田滄海(상전창해), 滄海桑田(창해상전)도 같은 의미이다. 滄桑(창상)도 세상이 크게 변한 경우를 이르는 표현이다. "태산이 평지 된다"고 하는 속담이 있고, 세상의 변화가 많다는 의미이다. the mulberry fields turned into blue sea drastic changes in the world time brings drastic changes to the world great changes in the course of time complete transformations the vicissitudes of life 卢照.. 2024. 1. 5. 靑山流水(청산유수) 푸른 산에 흐르는 물을 가리킨다. 맑은 물이 콸콸 흐르듯 말을 막힘없이 썩 잘하다. 거침없이 말을 잘하다. "말은 청산유수 같다"는 속담은 말을 유려하게 잘한다는 의미이다. 한국속담에서는 "말 많은 집은 장맛도 쓰다", "말 단 집에 장 단 법 없다", "말 단 집에 장이 곤다"고 하고, 말 많은 집안은 살림이 잘 안 된다, 말 많은 사람이 실상은 좋지 못하다는 의미이다. "말이 많으면 실언이 많다", "말이 많으면 쓸 말이 적다"는 속담도 있다. 靑山綠水(청산녹수)는 푸른 산과 푸른 물(green hills and blue waters), 즉 아름다운 자연의 풍광(beautiful country scene, beautiful landscape)을 가리킨다. the clear stream water th.. 2024. 1. 4. 拔本塞源(발본색원) 뿌리를 뽑고 샘을 막다. 근본을 뽑고 원천을 막다. 좋지 않은 일의 근본적인 원인을 뽑고 막아 완전히 없애 버리다. 폐단이 되는 근원을 아주 뽑아버리다. 拔本塞原(발본색원)이라고도 쓴다. "풀을 없애려면 뿌리까지 뽑아야 한다", "풀을 베면 뿌리를 없이하라"고 하는 속담이 있고, 나쁜 일을 다시는 하지 못하도록 그 바탕까지 쓸어 버려야 한다는 의미이다. extirpate the root of an evil eradicate the source of an evil abandon the source clear up source and restore purity despise the source root out 左丘明(先秦) 《春秋左傳 昭公九年》 我在伯父,猶衣服之有冠冕,木水之有本原,民人之有謀主也。伯父若裂冠毀冕.. 2024. 1. 3. 이전 1 ··· 27 28 29 30 31 32 33 ··· 28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