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서당상식

출생에서 100세까지 나이를 나타내는 한자표현

by kimlaw 2023. 2. 28.

▯ 출생 - 弄璋(농장), 弄瓦(농와)
득남을 농장(弄璋)이라고 하고, 득녀를 농와((弄瓦)라 한다. 농장(弄璋)은 구슬을 가지고 논다는 의미이며, 예전에 아들을 낳으면 구슬(璋)을 장난감으로 주어 놀게 한 풍습에서 유래하고, 농와(弄瓦)는 딸을 낳으면 실패(瓦)를 장난감으로 주어 놀게 한 풍습에서 유래한다. 아들을 낳은 경사를 농장지경(弄璋之慶)이라 하고, 딸을 낳은 경사를 농와지경(弄瓦之慶)이라 한다.
 
▯ 0세 - 赤子(적자) 
영아가 막 태어나면 적색(赤色)을 띠므로, 갓 태어난 영아(初生的嬰兒)를 적자(赤子)라고 한다.
 
▯ 0-1세 - 襁褓(강보)
이불(swadding clothes)에 쌓여 있는 아기라는 의미로 1세 미만의 아기를 강보(襁褓 swaddle)라고 한다. 강보(襁保), 강보(繦緥), 강보(襁葆)라고도 쓴다.
 
▯ 2-3세 - 孩提(해제), 孩兒(해아)
주위에 있는 물건을 만지거나 손을 들 수 있고, 천진난만하고 해맑게 웃는 두세 살 난 아이를 가리킨다. 해제지동(孩提之童)이라고도 한다.
《孟子 盡心》 孟子曰 : 孩提之童 無不知愛其親.
《맹자 진심》 맹자왈 : 해제지동 무부지애기친.

Children carried in the arms all know to love their parents.
두세 살 난 아이라 할지라도 그 부모의 사랑(은덕)을 안다.
 
▯  3-4세에서 8-9세까지의 사내아이 - 垂髫(수초)
사내아이의 땋아 늘어뜨린 머리를 수초(垂髫)라 하며, 옛날 아직 갓을 쓰지 않는 사내아이는 머리를 땋아 길게 늘어뜨리므로, 나이가 어린 사내아이를 수초(垂髫)라 한다.

수초

 
▯ 8세(남자) - 童齔(동츤)
동츤(童齔)은 아이가 젖니를 간다는 의미이다. 남자의 경우에 태어나 8개월이 되면 이가 나고, 8세가 되면 젖니를 갈므로, 남자아이의 나이가 8세되는 때를 동츤(童齔)이라 한다.
齠齔(초츤)은 이를 가는 나이인 7-8세의 어린아이(남여)를 가리킨다.  
《韩诗外传》 男八月生齿,八岁而龆齿;女七月生齿,七岁而龆齿。
《한시외전》 남팔월생치,팔세이초치; 여칠월생치,칠세이초치。
 
▯ 8-9세에서 12-13세의 사내아이 - 总角(총각)
고대중국에서는 아직 갓을 쓰지 않는 사내아이(中国古时少儿男未冠)를 총각이라고 하고, 머리를 양쪽으로 갈라 빗어 올려 귀 뒤에서 뿔같이 묶어 맨 남자아이의 머리(头发梳成两个发髻, 如头顶两角 child's hair twisted into a knot)를 가리킨다.

총각

보통 8-9세에서 12-13세의 사내아이를 총각(总角)이라 한다.
여자아이가 두 갈래로 묶어 맨 머리를 총각(总角)이라고 하기도 한다.
《禮記  拂髦,总角。
《예기 내칙》 불모,총각。
 
▯ 10대 - 沖年(충년), 幼沖(유충)
열 살 안팎의 어린 나이
유년(幼年)과 같은 의미이다.
《魏书 李孝伯传》 高宗冲年纂运,未及追叙。
《위서 이효백전》 고종충년찬운,미급추서。
 
▯ 10세 - 三尺童子(삼척동자)
키가 석 자에 지나지 않는 아이
1척(尺)은 두 살 조금 지난 아이의 키를 가리키며, 3척이면 열 살이 채 안된 아이를 가리킨다.
 
▯ 10세 - 幼学(유학)
《예기 곡례》에서 10세가 되면 처음 학교에 들어가 배운다고 하여 10세를 유학(幼学)이라 한다.
《禮記 曲禮》 人生十年曰幼,学。
《예기 곡례》 인생십년왈유,학。
When one is ten years old, we call him a boy; he goes (out) to school. 
10세가 되면 유(幼)라 하고 학교에 가서 배운. 
 
▯ 13-14세(소녀) - 豆蔻(두구)
본래는 백두구(白豆蔻) 혹은 초도구(草豆蔻)라고 하는 식물을 가리키나, 13-14세의 꽃다운 처녀(豆蔻年华 teenage of girls)를 두구(豆蔻)라고 한다.
 
▯ 15세(여자) - 及笄(급계)
여자가 15세가 되어 시집을 보낼 나이가 된 경우를 급계(及笄)라 하고, 머리를 묶어 비녀로 쪽을 지는 나이(At fifteen, the girl assumed the hair-pin)라는 의미이다.

급계

《禮記 内則》 十有五年而笄。
《예기 내칙》 십유오년이계。
 
▯ 15세(남자) - 束发(속발), 志學(지학)
고대중국에서는 남자가 15세가 되면 흐트러진 머리를 묶는 관습이 있으므로, 15세(남자)를 속발(束发)이라 한다.

속발

15세가 되면 학문에 뜻을 둔다고 하여 15세를 지학이라고도 한다.
《大戴礼记 保傅》 束发而就大学,学大艺焉,履大节焉。
《대대예기 보부》 속발이취대학,학대예언,이대절언。
공자(孔子)가 학문에 뜻을 둔 때가 열다섯 살이라 하므로, 15세는 학문에 뜻을 두는 나이라는 의미에서 지학(志學)이라 한다.
《論語 爲政》 吾十有五而志于學。
《논어 위정》 오십유오이지우학。
At fifteen, I had my mind bent on learning.
열다섯에 학문에 뜻을 두다  
 
▯ 16세 - 瓜年(과년), 破瓜之年(파과지년)
瓜 오이 과라는 글자의 자획을 풀어서 나누면 八八이 되므로, 八 두 개를 더하여(八+八) 16세를 혼기에 이른 처녀로 보아 과년(瓜年)이라 한다. 파과지년(破瓜之年)이라고도 한다.

破瓜之年

 
▯ 20대(남자) - 弱冠(약관), 弱年(약년), 弱齡(약령), 弱歲(약세)
약관은 《예기 곡례》(禮記 曲禮)에서 "스무 살은 아직 약(弱)하기는 하나 비로소 갓(冠)을 쓴다"(二十曰弱,冠)고 하는 표현에서 유래하며, 20세가 관례(冠禮 사내아이가 비로소 갓을 쓰며 어른이 되는 예식)를 올리는 나이라는 의미이다.

약관

《禮記 曲禮》 二十曰弱,冠。
《예기 곡례》 이십왈약,관。
When he is twenty, we call him a youth; he is capped. 
20세가 되면 아직 약(弱)하기는 하나 드디어 갓(冠)을 쓴다. 
  

幼 弱 壯 强 艾 耆 老 耄 期(유 약 장 강 애 기 노 모 기)

《禮記 曲禮》 人生十年曰幼,學。二十曰弱,冠。三十曰壯,有室。四十曰強,而仕。五十曰艾,服官政。六十曰耆,指使。七十曰老,而傳。八十九十曰耄,七年曰悼,悼與耄,雖有罪,不

hanzischool.tistory.com

 
▯ 20대(여자) - 芳年(방년), 芳齡(방령), 妙年(묘년), 妙齡(묘령)
방년은 꽃이 화사하게 피는 좋은 때라는 의미로, 20세 전후의 한창 젊은 여자의 나이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표현이다.
 
30세 - 而立(이립), 室(장실)
《논어 위정》에서 공자가 이르기를 30세를 이립(而立)이라 한다.
論语 爲政 三十而立。
《논어 위정》 삼십이립。
At thirty, I stood firm. 
삼십에 똑바르게 서다. 
《예기 곡례》에서는 30세를 아내를 얻어 가정을 꾸리는 나이라 하여 장실(室)이라 한다.
《禮記 曲禮》 三十曰壯,有室。
《예기 곡례》 삼십왈장,유실。
When he is thirty, we say, 'He is at his maturity;' he has a wife. 
30세는 장(壯)이라 하여 아내(室)를 얻어 가정을 가진다.
 
▯ 32세 - 二毛(이모)
32세가 되면 중년이 되어 검은 머리카락에 더하여 흰 머리카락을 보게 되므로, 희끗희끗하게 흰 머리카락이 나는 32세를 이모(二毛)라 한다. 혹은 이모지년(二毛之年)이라 한다.
《秋興賦序》 余春秋三十有二, 始見二毛.
《추흥부서》 여춘추삼십유이, 시견이모.
나이 서른둘이 되니 검은 머릿속에 흰머리가 보이기 시작한다.

▯ 40세 - 强仕(강사), 不惑(불혹)
《예기 곡례》에서 "마흔 살은 강(强)이라 하여 벼슬길(仕)에 나아간다"(四十日强 而仕)고 한 표현에서 유래하여 40세를 강사(强仕)라 한다.
《禮記 曲禮》 四十曰強,而仕。
《예기 곡례》 사십왈강,이사。
When he is forty, we say, 'He is in his vigour;' he is employed in office. 
40세는 강(強)이라 하여 봉사하기 위하여 벼슬길에 나간다. 
《논어 위정》에서는 공자가 이르기를 40세를 불혹(不惑)이라 한다.
論语 爲政 四十而不惑。
《논어 위정》 사십이불혹。
At forty, I had no doubts. 
사십에 미혹이 되지 않다. 

▯ 48세 - 桑年(상년)
桑 뽕나무 상의 속자(俗字)인 桒은 위에 𠦄 서른 삽이 있고 아래에 木 나무 목이 있으므로, 다시 𠦄은 자획을 풀어서 나누면 十이 세 개(十十十), 木은 파자하면 十八이 되어 모두 十十十十八, 즉 48이 되므로 48세를 상년(桑年)이라 부른다.
 
▯ 50세 - 知命(지명)
《논어 위정》에서 공자가 이르기를 50세를 지명(知命) 혹은 지천명(知天命)이라 한다.
論语 爲政 五十而知天命。
《논어 위정》 오십이지천명。
At fifty, I knew the decrees of Heaven. 
오십에 하늘의 뜻을 알다. 

▯ 60세 - 六旬(육순), 耳顺(이순)
10년(旬 열흘 순)씩 여섯 번을 지나 60세가 된 해라는 의미이다.
《논어 위정》에서 공자가 이르기를 60세를 이순(耳顺)이라 하고, 상대방이 하는 말을 귀로 들으면 쉽게 드러나지 않는 깊고 미묘한 속뜻마저도 알게 된다(耳闻其言, 而知其微旨)는 의미이다.
論语 爲政 六十而耳顺。
《논어 위정》 육십이이순。
At sixty, my ear was an obedient organ for the reception of truth. 
육십에 듣는대로 따르게 되다. 

▯ 61세 - 回甲(회갑), 還甲(환갑), 華甲(화갑), 周甲(주갑), 還曆(환력), 望七(망칠)
회갑과 환갑(환력), 주갑은 육십갑자를 한 바퀴 다 돌고 다시 자기가 태어난 해의 간지(干支)로 되돌아온 해라는 의미이다.

六十甲子

華 꽃 화를 파자하면 十 열 십 여섯 개와 一 한 일이 되므로, 61세를 화갑(華甲)이라 한다
망칠(望七)은 이제 일흔을 바라보는 나이라는 의미로, 61세를 말한다.

▯ 62세 - 進甲(진갑)
환갑을 지나고 다음 해 생일을 맞으면 새로운 갑자(甲子)로 나아간다(進)는 의미에서 62세를 진갑(進甲)이라 한다.

▯ 64세 - 破瓜(파과)
남자의 경우에는 瓜 오이 과라는 글자의 자획을 풀어서 나누면 八 두 개가 되며, 八八을 곱하여 六十四(64), 즉 64세를 벼슬에서 물러나는 나이로 보아 파과(破瓜)라 한다. 파과지경(破瓜之慶)은 큰 과오 없이 벼슬을 마치고 물러나게 된 경사를 일컫는다.

▯ 66세 - 美壽(미수)
美 아름다울 미를 파자(破字)하면 六十六이 되므로, 66세를 미수(美壽)라 부른다.

▯ 70세 - 古稀(고희), 七旬(칠순), 稀年(희년), 稀壽(희수), 從心(종심)
두보(杜甫)가 지은 《곡강》(曲江)에 나오는 인생칠십고래희(人生七十古来稀)에서 유래하며, 예로부터 70세까지 장수하는 사람은 매우 드물다는 뜻에서 70세를 고희(古稀)라 한다.
 

古稀(고희)

본래는 “예로부터 드물다”는 의미이고, 사람의 나이 일흔 살 또는 일흔 살이 되는 때를 이르는 표현이다. 두보(杜甫)가 지은 《곡강이수》(曲江二首 Twisting River)에 나오는 인생칠십고래희(人

hanzischool.tistory.com

 

曲江二首(곡강이수)

曲江二首 곡강이수 杜甫 두보 朝回日日典春衣, 每日江頭盡醉歸. 조회일일전춘의, 매일강두진취귀. 酒債尋常行處有, 人生七十古來稀. 주채심상행처유, 인생칠십고래희. 穿花蛺蝶深深見, 點水蜻

hanzischool.tistory.com


희년(稀年)이나 희수(稀壽)도 매우 드문 나이라는 의미로 70세를 가리킨다.
칠순(七旬)은 10년씩 일곱 번을 지낸 해라는 의미로 70세를 말한다.
《논어 위정》에서 공자가 從心所欲, 不踰矩(종심소욕, 불유구), 즉 일흔 살이 되면 마음 내키는 대로 행동하여도 대도(大道)에 크게 어긋나지 아니한다고 하므로(At seventy, one could follow what one's heart desired, without transgressing what was right), 70세를 종심(從心)이라 한다.
《論语 爲政》  七十而從心所欲,不踰矩。
《논어 위정》  칠십이종심소욕,불유구。
At seventy, I could follow what my heart desired, without transgressing what was right.
칠십에 마음이 하고자 하는 대로 따라도 법도에 어긋나지 않게 되다.
 

從心(종심)

마음이 하고자 하는 대로 좇다. 從心所欲(종심소욕) 혹은 隨心所欲(수심소욕)이라고도 한다. 《논어 위정》에서 공자가 從心所欲, 不踰矩(종심소욕, 불유구), 즉 일흔 살이 되면 마음 내키는 대

hanzischool.tistory.com

 
▯ 70-80대 혹은 80-90대 - 耄耋(모질) [mào dié]
《禮記 曲禮》 八十九十曰耄,七年曰悼,悼與耄,雖有罪,不加刑焉。
《예기 곡례》 팔십구십왈모,칠년왈도,도여모,수유죄,불가형언。
At eighty or ninety, we say of him, 'He is very old.' When he is seven, we say that he is an object of pitying love. Such a child and one who is very old, though they may be chargeable with crime, are not subjected to punishment. 
80, 90세를 모(耄)라 하고, 7세는 도(悼)라 하여 죄가 있어도 형벌을 받지 않다시피, 모(耄)도 도(悼)와 마찬가지로 죄가 있어도 형벌을 받지 아니한다. 

耄耋圖(모질도, 중국)

 
▯ 71세 - 望八
이제 여든을 바라보는 나이라는 의미로 71세를 말한다.
 
▯ 77세 - 喜壽(희수)
喜 기쁠 희를 초서(草書)로 쓰면 七十七로 보이므로, 77세를 희수(喜壽)라 한다.

 
▯ 80세 - 傘壽(산수), 八旬(팔순), 杖朝(장조)
傘 우산 산을 약자로 쓰면 八 여덟 팔 아래 十 열 십이 되므로, 80세를 산수(傘壽)라 한다.

팔순(八旬)은 10년씩 여덟 번이 지나간 해라는 의미로 80세를 지칭한다.
옛날 주(周)나라에서는 80세가 되면 지팡이(杖)를 짚고 조정(朝廷)을 출입하여도 되는 나이(八十歲可拄杖出入朝廷)가 되어 80세를 장조(杖朝) 혹은 장조지년(杖朝之年)이라 한다.

장조지년


▯ 81세 - 半壽(반수), 望九(망구)
半 반 반을 파자하면 八十一이 되므로, 81세를 반수(半壽)라 한다.
망구(望九)는 80세를 넘기고 이제 81세가 되어 아흔(90)을 바라본다는 의미이다.
 
▯ 88세 - 米壽(미수)
米 쌀 미를 파자(破字)하면 八十八이 되므로, 88세를 미수(米壽)라 한다.
혹은 농부가 모를 심어 쌀을 수확할 때까지는 88번의 손질이 필요하다는 의미에서 88세를 미수(米壽)라 한다고도 한다.

▯ 90세 - 卒壽(졸수), 凍梨(동리), 鮐背(태배)
卒 군사 졸의 변체가 九 아홉 구 아래 十 열 십이므로, 90세를 졸수(卒壽)라 한다.

동리(凍梨)는 언 배라는 의미이며, 아흔이 되면 얼굴에 반점이 생겨 언 배처럼 된다고 하여 90세를 동리(凍梨)라 한다.

동리(凍梨)

얼굴이나 피부에 복어(혹은 고등어의 등)와 같은 반점이 생기는 나이라는 의미로 90세를 태배(鮐背)라고도 한다.
焦赣(汉) 《易林 震之比》 耋老鲐背,齿牙动摇,近地远天,下入黄泉。
초공(한) 《역림 진지비》 질로태배,치아동요,근지원천,하입황천。
《尔雅 释诂》 鲐背、耇老,寿也。
《이아 석고》 태배、구로,수야。

▯ 91세 - 望百(망백)
90세를 넘기고 이제 91세가 되어 100세까지를 바라보는 나이라는 의미이다.

▯ 99세 - 白壽(백수)
百 일백 백에서 하나(一)를 빼면 白 흰 백이 되므로, 百壽(백수)에서 한 살이 부족하다는 의미로 99세를 백수(白壽)라 부른다

구구팔팔


▯ 100세 - 上壽(상수), 期壽(기수), 期頤(기이), 百壽(백수)
상수(上壽)는 보통 사람보다 나이가 썩 많다는 의미이다. 보통 100세(centenarian)는 상수(上壽), 80세는 중수(中壽), 60세는 하수(下壽)라 한다(The greatest longevity man can reach is a hundred years; a medium longevity is eighty years; the lowest longevity is sixty). 상수여수(上壽如水)라는 표현은 100살까지 건강하고 오래 살기 위하여는 흐르는 물처럼 자연의 섭리에 따라 살아야 한다는 의미이다.
《莊子 盜跖》 人上壽百歲,中壽八十,下壽六十。
《장자 도척》 인상수백세,중수팔십,하수육십。
기이(期頤)는 《예기 곡례》에서 "백세를 기수(期壽)라 하니 잘 봉양하여야 한다"고 한 표현에서 유래하며, 100세를 기이(期頤)라 한다.
《禮記 曲禮》 百年曰期,頤
《예기 곡례》 백년왈기,이
At a hundred, he is called a centenarian, and has to be fed.
100세를 기(期)라 하며 몹시 늙어서 음식이나 기거를 모두 다른 사람에게 의지하므로, 잘 봉양하여야 한다.
  

파자(破字)하여 사람의 나이를 가리키는 한자

▮ 瓜年(과년), 破瓜之年(파과지년) o 瓜 오이 과의 자획을 풀어서 나누면 八八이 된다. o 八 여덟 팔이 두 개이므로 더하여(八+八) 16세를 가리키며, 16세이면 혼기에 이른 처녀라고 하여 과년(瓜年

hanzischool.tistory.com

 

'서당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중국역사상의 진나라  (0) 2023.04.11
十二地支(십이지지)  (1) 2023.03.06
八叠字(팔첩자)  (0) 2023.02.27
六叠字(육첩자)  (0) 2023.02.27
五叠字(오첩자)  (0) 2023.02.27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