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고사성어531

囊中之錐(낭중지추) 주머니 속의 송곳을 가리킨다. 뾰족한 송곳은 가만히 있어도 주머니를 뚫고 나온다. 재능이 남다르면 반드시 드러나기 마련이다. 뛰어난 사람의 재능은 숨어 있어도 저절로 드러나 다른 사람에게 알려진다. 한국속담에서는 "주머니에 들어간 송곳이라"고 하고, 어떤 사정이나 사물이 숨기려 하나 숨겨지지 않고 저절로 드러나게 되는 경우에 쓰는 표현이다. 커피를 추출할 때에 원두에서 나오는 크림(크리마)이 위로 뜨므로, 서양에서는 "크림은 위로 떠오른다"(Cream rises to the top)고 한다. 진(秦)나라의 공격을 받아 곤경에 빠진 조나라가 평원군을 초나라에 보내 구원군을 청하려고 할 때에 초나라에 급파할 외교사절로 자기 자신을 추천하며 나서는 모수(毛遂)라는 식객에 대하여 평원군이 본래 뛰어난 사람은 숨.. 2022. 12. 1.
毛遂自薦(모수자천) 모수가 자기를 추천하다. 자기를 자랑하거나 칭찬하면서 스스로를 추천하거나, 자진하여 나서다. 자화자찬(自畵自讚)하다. 自我吹嘘(자아취허)는 같은 의미이다. 진(秦)나라의 공격을 받아 수도 한단이 포위당하는 곤경에 빠진 조나라가 평원군을 초(楚)나라에 보내 구원군을 청하려고 할 때에 모수라는 전혀 낯선 식객이 자진하여 자기를 데려가 달라고 자천하고 나선 고사에서 유래한다. Mao Sui(BCE 3rd century) recommend himself. Mao Sui offering his services to king of Chu(楚) of the Warring states offer services as mao sui did recommend oneself nominate oneself put onesel.. 2022. 12. 1.
上善若水(상선약수) 최고의 선은 물과 같다. "물은 트는 대로 흐른다"고 하는 속담이 있고, 사람은 가르치는 대로 따라 교화(敎化)되고, 일은 사람이 주선하는 대로 된다는 의미이다. "물이 깊어야 고기가 모인다"고 하는 속담은 자기의 덕이 커야 남이 많이 따른다는 의미이다. "물이 깊을수록 소리가 없다"고 하는 속담은 덕망이 높고 생각이 깊은 사람일수록 잘난 체하거나 아는 체 떠벌이지 않는다는 의미이다. The highest good is like water. The highest excellence is like that of water. be perfectly virtuous and benevolent 《老子 道德經》 上善若水。 水善利萬物而不争, 處衆人之所惡, 故幾于道。 《노자 도덕경》 상선약수。 수선리만물이부쟁, 처중.. 2022. 11. 29.
海不讓水(해불양수) 바다는 어떠한 물도 사양하지 않는다. 바다는 바로 "다 받다"는 의미이다. 모든 사람을 차별하지 않고 포용한다. 海不辞水(해불사수)도 같은 의미이다. 江海不逆小流(강해불역소류)는 강과 바다는 작은 물줄기라도 물리치지 아니한다는 의미이다. 不積小流, 無以成江海(부적소류, 무이성강해), 즉 "작은 물줄기가 모이지 않으면 강과 바다를 이루지 못한다"고 한다. 泰山不讓土壤(태산불양토양), 즉 태산은 작은 흙도 마다하지 아니한다고도 한다. The sea does not dismiss the water. The sea can't make a difference. The ocean never turns away streams, so it becomes wide and deep. 《管子 形勢解》 海不辭水,故能成其大。山.. 2022. 11. 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