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第十二36

454. 亅 갈고리 궐 《說文》 鉤逆者謂之亅。象形。讀若橜。 o 갈고리를 거꾸로 한 모양이다. o 상형문자이고, 끝이 뾰족하고 굽은 갈고리를 상형한다. o 橜 말뚝 궐과 같게 발음한다. [亅部] 𠄌 새 잡는 창애 궐 《說文》 鉤識也。从反亅。讀若捕鳥罬。 o 갈고리를 표시한다. o 亅 갈고리 궐을 반대로 한 모양을 따른다. o 상형문자이다. o 포조철(捕鳥罬)이라고 할 때와 같게 발음한다. o 창애는 짐승을 꾀어서 잡는 장치를 가리킨다. [English] jué hook contextual stroke 2021. 9. 27.
453. 我 나 아 《說文》 施身自謂也。或說我,頃頓也。从戈从鈒。鈒,或說古垂字。一曰古殺字。 o 자신을 지칭한다. o 혹설은 머리를 아래로 조아린다는 의미라고 설명한다. o 戈 창 과를 따르고, 鈒 창 삽을 따른다. o 회의문자다. o 鈒 창 삽에 대하여 혹설은 垂 드리울 수의 고자라 한다. o 일설은 殺 죽일 살(kill)의 고자라 한다. o 금문을 보면 본래는 고대병기(a weapon)를 가리킨다. o 我는 手戈, 즉 手 손 수와 戈 창 과로 구성되고, 자기를 지키기 위하여 손(手)에 무기(戈)를 잡고 있는 모양을 본뜬 글자로 볼 수 있다. o 금문에서는 써레(a rake-like tool)를 본뜬 모양도 있다. o 강희자전에서는 부수가 아니고, 我의 부수는 戈(창과)이다. [我部] 義 옳을 의 《說文》 己之威儀也。從我、羊.. 2021. 9. 27.
452. 戉 도끼 월 《說文》 斧也。从戈𠄌聲。《司馬法》曰 : 夏執玄戉,殷執白戚,周左杖黃戉,右秉白髦。 o 도끼를 가리킨다. o 戈 창 과를 따르고, 𠄌 새 잡는 창애 궐은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o 갑골문이나 금문을 보면 도끼를 나타내는 상형문자이다. o 설문해자를 보면 戉은 𠄌戈, 즉 도끼(𠄌)와 창(戈)이 합하여진 모양이다. o 《사마법》(司馬法)에서 이르기를 하(夏)나라에서는 검은 도끼를 잡고, 은(殷)나라에서는 흰 도끼를 잡고, 주(周)나라에서는 왼손에는 황금도끼, 오른손에는 흰 깃발을 잡는다고 한다. o 강희자전에서는 부수가 아니고, 戉의 부수는 戈(창과)이다. [戉部] 戚 겨레 척, 재촉할 촉, 친척 척, 근심할 척 《說文》 戉也。从戉尗聲。 o 도끼(a battle-axe)를 가리킨다. o 戉 도끼 월(scyt.. 2021. 9. 27.
451. 戈 창 과 《說文》 平頭戣也。从弋,一橫之。象形。 o 머리가 평평한 창이다. o 弋 주살 익을 따르고, 창날(一)을 창끝에 가로지른 모양이다. o 상형문자이다. o 창날이 위로 뾰족한 창은 戟 창 극이라 하며, 창날이 옆으로 달려 있는 창을 戈 창 과라 하고, 나무로 창끝을 뾰족하게 만든 창은 槍 창 창이라 한다. o 부수명칭은 「창과」이다. o 부수명칭을 일본에서는 ほこがまえ(戈構え), ほこづくり(戈旁), たすき, かのほこ라 하고, 중국에서는 과자방(戈字旁)이라 하며, 영어로는 radical halberd라 한다. [戈部] 肈 비롯할 조 《說文》 上諱。 o 이름의 첫 글자를 피휘(避諱)하다. o 戈 창 과를 따르고, 肁 비로소 조는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o 肇 비롯할 조는 같은 글자이다. 𢦦 병장기 융 《說.. 2021. 9. 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