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第十二36

442. 𠂿 등골뼈 괴 《說文》 背呂也。象脅肋也。 o 등뼈를 뜻한다. o 등뼈의 모양을 상형한다. [𠂿部] 脊 등골뼈 척, 등마루 척 《說文》 背呂也。从𠂿从肉。 [English] guāi spine spinal column ridge [참고한자] 髓 골수 수 bone marrow / essences, substances 2021. 9. 25.
441. 手 손 수 《說文》 拳也。象形。 o 손을 가리킨다. o 다섯 손가락을 본뜬 상형문자이다. o 손을 쥐면 拳 주먹 권이고, 손을 펼치면 掌 손바닥 장이며, 각 손가락은 指 손가락 지이며, 손톱은 爪 손톱 조이다. o 다른 글자에 들어간 爫, ⺕, 扌, 又는 모두 손을 의미하며, 보통 爫는 머리, ⺕는 중간, 扌는 옆(변), 又는 발(밑)에 들어간다. o 手 손 수가 부수로 변에 들어갈 때에는 扌로 변하고, 부수명칭은 자형(字形)이 才 재주 재와 닮아서 「재방변」이라 하며, 혹은 「손수」라고도 한다. o 부수명칭을 일본에서는 て(手), てへん(手偏)이라 하고, 중국에서는 수자저(手字底), 제수방(提手旁)이라 하며, 영어로는 radical hand라고 한다. [手部] 掌 손바닥 장 《說文》 手中也。从手尚聲。 o 손바닥(.. 2021. 9. 25.
440. 𦣝 턱 이, 턱 애 《說文》 頷也。象形。 o 턱을 가리킨다. o 상형문자이다. o 頤 턱 이는 전문(篆文)이고(頤,篆文𦣝), 𦣝 턱 이는 고문이다(先古文後篆文). o 주문에서는 首 머리 수를 따른다(籒文从首). o 𦣝는 匚丨𠃑一丨, 즉 匚 상자 방과 丨 뚫을 곤, 𠃑 미상, 一 한 일, 丨 뚫을 곤으로 구성된다. o 頷 턱 함은 같은 의미이다. o 강희자전에서는 부수가 아니고, 𦣝의 부수는 臣(신하신)이다. [𦣝部] 巸 아름다운 이, 넓을 이 《說文》 廣𦣝也。从𦣝巳聲。 o 넓은 턱을 가리킨다. o 𦣝 턱 이를 따르고, 巳 뱀 사는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𦣝(턱 이)가 자부로 들어간 글자] 姬 성 희 巸 아름다운 이, 넓을 이, 즐거워할 희 頤 턱 이 賾 깊숙할 색 宧 방구석 이 熙 빛날 희 [English] yí c.. 2021. 9. 25.
439. 耳 귀 이 《說文》 主聽也。象形。 o 청각을 주관하는 기관이다. o 상형문자이고, 사람의 귀를 상형한다. o 금문에서는 귀의 내부를 더 자세하게 묘사한 글자도 있다. o 부수명칭은 「귀이」라고 한다. o 부수명칭을 일본에서는 みみ(耳), みみへん(耳偏)이라 하고, 영어로는 radical ear라 한다. [耳部] 𦔮 늘어진 귀 의 《說文》 耳垂也。从耳下垂。象形。《春秋傳》曰 「秦公子輒」者,其耳下垂,故以為名。 𦕒 조금 늘어진 귀 점 《說文》 小垂耳也。从耳占聲。 耽 즐길 탐, 즐길 담 《說文》 耳大垂也。从耳冘聲。《詩》曰 : 士之耽兮。 o 귀가 아래로 길게 늘어지다. o 耳 귀 이를 따르고, 冘 망설일 유는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o 《시경》에서 이르기를 사지탐혜(士之耽兮)라 한다. 《詩經》 士之耽兮, 猶可說也。女之耽.. 2021. 9. 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