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第十二

453. 我 나 아

by kimlaw 2021. 9. 27.

《說文》 施身自謂也。或說我,頃頓也。从戈从鈒。鈒,或說古垂字。一曰古殺字。
o 자신을 지칭한다.
o 혹설은 머리를 아래로 조아린다는 의미라고 설명한다.
o 戈 창 과를 따르고, 鈒 창 삽을 따른다.

설문해자

o 회의문자다.
o 鈒 창 삽에 대하여 혹설은 垂 드리울 수의 고자라 한다.
o 일설은 殺 죽일 살(kill)의 고자라 한다.
o 금문을 보면 본래는 고대병기(a weapon)를 가리킨다.

商代

o 我는 手戈, 즉 手 손 수와 戈 창 과로 구성되고, 자기를 지키기 위하여 손(手)에 무기(戈)를 잡고 있는 모양을 본뜬 글자로 볼 수 있다.
o 금문에서는 써레(a rake-like tool)를 본뜬 모양도 있다.

써레
써레질(기산 김준근)

o 강희자전에서는 부수가 아니고, 我의 부수는 戈(창과)이다.

[我部]
義 옳을 의 《說文》 己之威儀也。從我、羊。
o 몸을 움직이는 태도가 위엄이 있고, 예법에 맞다.
o 我 나 아, 羊 양 양을 따른다.

설문해자
秦-李斯 《峄山刻石》

o 회의문자이다.
o 갑골문이나 금문에서는 손에 무기를 들고 양을 찌르는 모양을 상형한다.

상-은허갑골문
商代

o 我 나 아는 병기를 의미하고, 羊 양 양은 병기에 붙인 장식을 나타내므로, 천자(天子)와 같이 지위가 높은 사람이 행차할 때에 위엄을 보이기 위하여 장식을 갖추어 세우는 병기(兵器)나 장기(仗器)를 가리킨다고 보는 주장도 있다.
o 예식(禮式), 법도(法度), 귀감(龜鑑), 위의(威儀), 예의(禮儀)를 의미하는 儀 거동 의와 같은 글자이다.
o 義 𦍌我, 즉 𦍌 양 양과 我 나 아로 구성된다.
o 羛 옳을 의(righteousness)는 같은 글자이다.
o 义는 간체자이다.
o 羲 숨 희와 혼동하기 쉬우나, 다른 글자이다.
o 예의염치(禮義廉恥)는 예절(propriety)과 정의(righteousness)와 청렴(integrity)과 수치(shame)를 아는 태도를 가리킨다.
《管子 牧民》 何謂四維?一曰禮、二曰義、三曰廉、四曰恥。禮不踰節,義不自進,廉不蔽惡,恥不從枉。
《관자 목민》 하위사유?일왈례、이왈의、삼왈렴、사왈치。예불유절,의불자진,염불폐악,치불종왕。
네 가지의 기본적인 가치는 무엇인가? 첫째는 예절이고, 둘째는 정의이고, 셋째는 청렴이고, 넷째는 수치이다. 예절은 절도를 넘지 아니하는 태도에 있고, 정의는 자신을 내세우지 아니하는 태도에 있고, 청렴은 자신의 허물을 감추지 아니하는 태도에 있고, 수치는 그릇된 줄 알면 따르지 아니하는 태도에 있다.
What are these four cardinal values? The first is propriety, the second is righteousness, the third is integrity, the fourth is a sense of shame. Propriety consists in not overstepping the bounds of proper restraint. Righteousness consists in not pushing oneself forward [at the expense of others]. Integrity consists in not concealing one's faults. Having a sense of shame consists in not following those who go away.
o 《논어 위정》에서는 견의불위, 무용야(見義不爲, 無勇也), 즉 “정의를 알고도 행하지 아니한다면 용기가 없는 사람이다”(To see what is right and not to do it is want of courage)고 한다.
o 《논어 헌문》에서는 견리사의, 견위수명(見利思義, 見危授命), 즉 “이익이 눈 앞에 보이면 의로운지를 생각하여야 하고, 위험이 눈 앞에 보이면 목숨을 바칠 준비가 되어 있어야 한다”(The man, who in the view of gain, thinks of righteousness; who in the view of danger is prepared to give up his life)고 한다.
o 《논어 이인》에서는 군자유어의, 소인유어리(君子喻於義, 小人喻於利), 즉 “군자는 정의와 친하고, 소인은 사리에 밝다”(The mind of the superior man is conversant with righteousness; the mind of the mean man is conversant with gain)고 한다.

[English] wǒ
I / me / my
we / our / us
self

[참고한자]
吾 나 오 《說文》 我,自稱也。从口五聲。
o 我 나 아와 같은 의미이고, 자기(I, my, me)를 가리킨다.
o 口 입 구를 따르고, 五 다섯 오는 성부이다.

胡澍
周-毛公鼎

o 형성문자이다.
o 吾 나 오가 들어가는 글자로 俉 맞이할 오 語(语) 말씀 어 捂 거스를 오 唔 글 읽는 소리 오 峿 어긋날 어 浯 강 이름 오 悟 깨달을 오 娪 예쁜 여자 오 㹳 짐승 이름 오 珸 옥돌 오 梧 오동나무 오 啎 만날 오, 거스를 오 牾 거스를 오 晤 총명할 오, 만날 오 焐 데울 오 䏸 고리눈말 어 䎸 들을 오 鋙(铻) 어긋날 어, 산 이름 오 齬(龉 𪘚) 어긋날 어 䮏 말 이름 오 鯃 고기 이름 우 鼯 날다람쥐오 郚 고을 이름 오 敔 막을 어 㐚(한국한자) 음역자 올 䦜 고을 이름 오 圄 옥 어 痦 사마귀 오 逜 깨우칠 오 衙 마을 아, 갈 어 䓊 풀 이름 오, 들깨 어 寤 잠 깰 오 窹 부엌 오가 있다.

[참고] 인칭대명사(중국어) Standard Mandarin Chinese personal pronouns
▮ 1인칭(1st)
我 [wǒ]
복수 我们 [wǒmen], 咱们 [zánmen]
▮ 2인칭(2nd)
남성(male) 你 [nǐ] 你们 [nǐmen]
여성(female) 妳 [nǐ] 妳们 [nǐmen]
격식(deity) 祢 [nǐ] 祢们 [nǐmen]
존경(polite) 您 [nín] 您们 [nínmen]
▮ 3인칭(3rd)
남성(male) 他 [tā] 他们 [tāmen]
여성(female) 她 [tā] 她们 [tāmen]
격식(deity) 祂 [tā] 祂们 [tāmen]
동물(animal) 它 [tā] 它们 [tāmen]

'第十二' 카테고리의 다른 글

455. 珡 거문고 금  (0) 2021.09.27
454. 亅 갈고리 궐  (0) 2021.09.27
452. 戉 도끼 월  (0) 2021.09.27
451. 戈 창 과  (0) 2021.09.27
450. 氐 근본 저, 낮을 저, 밑 저  (0) 2021.09.26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