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第九46

341. 卯 절제할 경 《說文》 事之制也。从卩、纯。闕。 o 일을 절제하다. o 卩 병부 절을 따른다. o 설문해자는 자세한 내용은 소실되어 없다(闕 missing)고 한다. o 갑골문을 보면 두 사람이 입을 벌리고 앉아 마주 보고 있는 모습을 상형한다. o 생피한자이다. o 卯는 𠂎卩, 즉 𠂎 미상과 卩 병부 절로 구성된다. o 강희자전에서는 부수가 아니고, 卯의 부수는 卩(병부절)이다. [卯部] 卿 벼슬 경 《說文》 章也。六卿:天官冢宰、地官司徒、春官宗伯、夏官司馬、秋官司寇、冬官司空。从卯皀聲。 o 드러나다. o 벼슬(a minister or a high official in ancient times)을 가리킨다. o 천지춘하추동(天地春夏秋冬)의 육상(六象)에 따라서 6경(六卿)이 있다 : 국정의 전반을 총괄하는 천관(天官)은 총.. 2021. 9. 6.
340. 色 빛 색 《說文》 顔气也。从人从卪。 o 얼굴의 표정을 의미한다. o 人 사람 인을 따르고, 卪 병부 절(a kneeling man)을 따른다. o 한 사람이 무릎을 꿇고 다른 사람을 위에 업고 있는 모양이고(一个人驮另一个人 a person 刀 人 and a kneeling person 巴 卪), 남녀 사이의 애정행각을 나타낸다고 볼 수도 있다. o 설문해자는 色 빛 색을 人 사람 인(person, human)과 卪 병부 절(a kneeling person)로 구성된다고 보나, 갑골문이나 금문을 보면 爪 손톱 조(nail, hand)와 卪 병부 절(a kneeling person)로 구성된다. o 색정(色情)과 관련이 있고, 애정표현(hand-kissing)을 하고 있는 모습으로 볼 수 있다. o 회의문자이다. o.. 2021. 9. 6.
339. 印 도장 인 《說文》 執政所持信也。从爪从卪。 o 집정관리가 지니는 신표를 가리킨다. o 爪 손톱 조(hand)를 따르고, 卪 병부 절(a kneeling man)을 따른다. o 회의문자(會意文字)이다. o 갑골문이나 금문으 보면 무릎을 꿇은 사람을 손으로 누르며 억압하는 모양을 나타낸다. o 현재는 抑 누를 억(suppress)이 같은 의미로 사용된다. o 신하가 무릎을 꿇고 손을 받쳐 허락을 청하는 모양을 나타내기도 한다. o 현재 사용하는 印은 卬一, 즉 卬 나 왕과 一 한 일로 구성된다. o 강희자전에서는 부수가 아니고, 印의 부수는 卩(병부절)이다. [印部] 抑 누를 억 《說文》 按也。从反印。 o 누르다. o 印 도장 인을 반대로 한 모양을 따른다. o 회의문자이다. o 抑는 手卬, 즉 手 손 수와 卬 나 앙.. 2021. 9. 6.
338. 卩 병부 절 《說文》 瑞信也。守國者用玉卪,守都鄙者用角卪,使山邦者用虎卪,土邦者用人卪,澤邦者用龍卪,門關者用符卪,貨賄用璽卪,道路用旌卪。象相合之形。 o 부절(符卪) 혹은 부신(符信)을 가리킨다. o 나라를 지키는 사람은 옥절(玉卪), 도시와 시골을 지키는 사람은 각절(角卪), 산림을 가꾸는 사람은 호절(虎卪), 토지를 경작하는 사람은 인절(人卪), 연못을 관리하는 사람은 용절(龍卪), 성문을 통과하는 사람은 부절(符卪), 장사를 하는 사람은 새절(璽卪), 도로를 사용하는 사람은 정절(旌卪)을 사용한다. o 설문해자는 서로를 합치는 모양을 상형한다고 본다. o 갑골문이나 금문을 보면 무릎을 꿇고 있는 사람(a kneeling man)의 모습을 상형한다. o 상형문자이다. o卪 병부 절은 동음동의이다. o 㔾은 卩 병부 절 혹.. 2021. 9.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