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第九46

333. 文 글월 문, 무늬 문 《說文》 錯畫也。象交文。 o 무늬를 그린 그림을 가리킨다. o 무늬가 서로 교차하는 모양을 상형한다. o 사람이 옷을 입고 그 가슴에 가문의 문양을 새긴 모양(a man with a painted or tattooed chest)을 나타낸다. o 사람이 정면을 보고 서 있는 모습이고, 가슴에는 문신(文身)이 새겨져 있다고 보는 주장도 있다. o 후에는 문양이나 문신(tattoo)이 없어지고, 간단하게 사람의 윤곽(머리, 옆으로 펼친 팔, 다리, 가슴)만 나타나 있다. o 역시 사람의 모습을 상형하는 大 큰 대와 비교하면 大 큰 대에는 가슴(chest)이 없다. o 지사문자(指事文字)이다. o 文은 亠乂, 즉 亠 돼지해머리 두와 乂 벨 예로 구성된다. o 紋 무늬 문의 본자(original form)이다... 2021. 9. 5.
332. 彣 문채 문 《說文》 㦽也。从彡从文。 o 벌겋고 퍼런 빛이 난다는 뜻이다. o 彡 터럭 삼을 따르고, 文 글월 문을 따른다. o 회의문자이다. o 강희자전에서는 부수가 아니고, 彣의 부수는 彡(삐친석삼)이다. [彣部] 彥 선비 언 《說文》 美士有文,人所言也。从彣厂聲。 o 훌륭한 선비(learned)는 문장이 뛰어나고, 사람에게 좋은 말씀을 전한다. 《爾雅 釋訓》 美士爲彥。 《이아 석훈》 미사위언。 《疏》 國有美士,爲人所言道。 《소》 국유미사,위인소언도。 o 彣 문채 문을 따르고, 厂 기슭 엄은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o 彥은 文厂彡, 즉 文 글월 문과 厂 기슭 엄, 彡 터럭 삼으로 구성된다. o 彦 선비 언을 동음동의이다. [English] wén a set of intricate lines [참고한자] 紋 무.. 2021. 9. 5.
331. 彡 터럭 삼 《說文》 毛飾畫文也。象形。 o 모발을 장식하는 문양을 의미한다. o 상형문자이고, 세 가닥의 머리카락을 상형한다. o 戔 해칠 잔의 약자인 㦮이나, 壽 목숨 수의 약자인 寿와 같이 복잡한 획수를 간략화할 때에 쓰이는 경우도 있다. o 부수명칭은 「삐친석삼」, 「터럭삼」이다. o 부수명칭을 일본에서는 さんづくり(彡旁), かみかざり(髪飾り)라 하고, 중국에서는 三撇(삼별)이라 하며 영어로는 radical bristle이라 한다. [彡部] 形 형상 형, 모양 형 《說文》 象形也。从彡幵聲。 o 형상(shape, form)을 가리킨다. o 彡 터럭 삼을 따르고, 幵 평평할 견은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o 하늘에서 상(象)을 이루고, 땅에서 형(形)을 이룬다. 《礼记 乐记》 在天成象,在地成形。 《예기 악기》 .. 2021. 9. 5.
330. 須 수염 수 《說文》 面毛也。从頁从彡。 o 얼굴에 난 털, 즉 수염을 가리킨다. o 頁 머리 혈(head)을 따르고, 彡 터럭 삼(hair)을 따른다. o 회의문자이다. o 갑골문이나 금문을 얼굴에 긴 수염이 난 사람이 서 있는 모양을 상형한다. o 상형문자라고 볼 수 있다. o 須 모름지기 수로도 쓰고, 湏 모름지기 수와 같은 글자이다. o 鬚 수염 수도 같은 의미이다. o 须는 간체자이다. o 강희자전에서는 부수가 아니고, 須의 부수는 頁(머리혈)이다. [須部] 頿 윗 수염 자, 코밑 수염 자 《說文》 口上須也。从須此聲。 o 입 위에 있는 수염을 가리킨다. o 須 수염 수를 따르고, 此 이 차는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o 갑골문이나 금문을 보면 사람의 입 위에 수염이 난 모양을 타나낸다. o 髭 윗 수염 자.. 2021. 9.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