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說文》 錯畫也。象交文。
o 무늬를 그린 그림을 가리킨다.
o 무늬가 서로 교차하는 모양을 상형한다.
o 사람이 옷을 입고 그 가슴에 가문의 문양을 새긴 모양(a man with a painted or tattooed chest)을 나타낸다.
o 사람이 정면을 보고 서 있는 모습이고, 가슴에는 문신(文身)이 새겨져 있다고 보는 주장도 있다.
o 후에는 문양이나 문신(tattoo)이 없어지고, 간단하게 사람의 윤곽(머리, 옆으로 펼친 팔, 다리, 가슴)만 나타나 있다.
o 역시 사람의 모습을 상형하는 大 큰 대와 비교하면 大 큰 대에는 가슴(chest)이 없다.
o 지사문자(指事文字)이다.
o 文은 亠乂, 즉 亠 돼지해머리 두와 乂 벨 예로 구성된다.
o 紋 무늬 문의 본자(original form)이다.
o 현재는 주로 문장, 즉 글월이나 문자라는 의미로 사용된다.
《玉篇》 文章也。《疏》 文字也。
《옥편》 문장야。《소》 문자야。
o 부수명칭은 「글월문」이다.
o 부수명칭을 일본에서는 ぶん(文), ぶんにょう, ふみづくり라 하고, 영어로는 radical script라 한다.
[文部]
斐 아름다울 비, 문채 날 비 《說文》 分別文也。从文非聲。 《易》曰: 君子豹變,其文斐也。
o 서로 다른 여러 가지 문채(colorful)를 가리킨다.
o 文 무늬 문을 따르고, 非 아닐 비는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o 《주역》에서 이르기를 군자표변, 기문비야(君子豹變, 其文斐也), “군자가 표범처럼 변하여 그 무늬가 아름답다”고 한다.
辬 얼룩얼룩할 반 《說文》 駁文也。从文辡聲。
o 얼룩얼룩한 무늬를 가리킨다.
o 文 무늬 문을 따르고, 辡 따질 변은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𣁟 그을 이 《說文》 微畫也。从文𠩺聲。
[文(글월문)이 부수로 들어간 글자]
斑 얼룩 반 斐 오락가락할 비 斌 빛날 빈 斒 얼룩얼룩할 반 斕 문채 란(난)
[文(글월 문)이 자부로 들어간 글자]
伩 믿을 신 呅 웃을 매, 입술 문 坟 무덤 분 妏 낳을 문 㞶 산 이름 민 忟 힘쓸 민, 어지러울 문 抆 닦을 문, 어루만질 민 汶 물 이름 문, 산 이름 민 𤝋 미상 旼 화할 민, 하늘 민 𣐀 미상 炆 따뜻할 문 玟 아름다운 돌 민, 옥돌 민 盿 볼 민 砇 옥돌 민 紋(纹) 무늬 문 蚊 모기 문 鈫 화폐 단위 문 馼 털 색깔 화려한 말 문 䰚 어루만질 문 魰 문어 문 鼤 꼬리 알록진 쥐 문
刘 죽일 류(유) 対 대할 대 𦐑 미상 鳼 메추라기 새끼 문
这 이 저 𡲈 미상
彣 문채 문
㐎 음역자 글 齐 할 제, 재계할 재, 옷자락 자 吝 아낄 린(인) 忞 힘쓸 민, 어지러울 문 彥 선비 언 紊 어지러울 문, 문란할 문 蚉 모기 문 產 낳을 산 鴍 메추라기 새끼 문 螡 모기 문 䘇 모기 문
㞵 미끄러울 도 芠 범의귀 문 旻 가을 하늘 민 𦐐 미상 雯 구름 무늬 문
虔 공경할 건 𪊓 기린 린(인)
㓙 흉할 흉
閔(闵) 성씨 민, 위문할 민
辬 얼룩얼룩할 반
𣈝 미상
𨔉 미상
䝺 꿰뚫을 관
[English] wén
writing, literary composition, literature 文章 [wénzhāng] article, essay
(written) language 英文 [yīngwén] English
culture
education
official document
script, written form 甲骨文 [jiǎgǔwén] oracle bone script
liberal arts, humanities
elegant
cultured / polished
suave / polite / urbane / mild
of a government position, non-military / civilian or civil ( as opposed to military )
文官 [wénguān] civil official
文武 [wénwǔ] civilian and military
a former monetary unit
[유사한자] 文攴又𠬠
文 글월 문
攴(攵) 칠 복
又 또 우
𠬠 미상
[참고한자] 文大天
文 글월 문
大 큰 대 《說文》 天大,地大,人亦大。故大象人形。
o 하늘도 크고, 땅도 크고, 사람도 역시 크다.
o 大 큰 대는 사람의 모습을 본뜬 글자이다.
o 文 글월 문과 달리 大 큰 대에는 가슴(chest)이 없다.
天 하늘 천 《說文》 顚也。至高無上,从一、大。
[성어]
《禮記 禮器》 先王之立禮也,有本有文。忠信,禮之本也;義理,禮之文也。無本不立,無文不行。
《예기 예기》 선왕지립례야,유본유문。충신,례지본야;의리,례지문야。무본불립,무문불행。
The rules as instituted by the ancient kings had their radical element and their outward and elegant form. A true heart and good faith are their radical element. The characteristics of each according to the idea of what is right in it are its outward and elegant form: Without the radical element, they could not have been established; without the elegant form, they could not have been put in practice.
선왕이 세운 예법에는 뿌리와 무늬가 있다. 충신(忠信)은 예법의 뿌리이고, 의리(義理)는 예법의 무늬이다. 본래 뿌리가 없으면 제대로 설 수가 없고, 무늬가 없으면 제대로 된 실행이라고 할 수 없다.
'第九' 카테고리의 다른 글
335. 后 임금 후 (0) | 2021.09.05 |
---|---|
334. 髟 늘어질 표, 처마 삼 (0) | 2021.09.05 |
332. 彣 문채 문 (0) | 2021.09.05 |
331. 彡 터럭 삼 (0) | 2021.09.05 |
330. 須 수염 수 (0) | 2021.09.0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