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第七57

259. 臼 절구 구 《說文》舂也。古者掘地為臼,其後穿木石。象形。中,米也。 o 쌀을 찧다. o 절구를 가리킨다. o 옛날에는 땅을 파서 절구를 만들기도 하고, 그 후에는 나무나 돌에 구멍을 뚫어 절구를 만들기도 한다. o 상형문자이고, 절구(mortar)를 상형한다. o 절구 안에 있는 물건은 쌀을 상형한다. o 부수명칭은 「절구구」이다. o 부수명칭을 일본에서는 うす(臼)라 하고, 영어로는 radical mortar라 한다. [臼部] 舂 찧을 용 《說文》 擣粟也。从廾持杵臨臼上。午,杵省也。古者雝父初作舂。 o 곡식을 찧다. o 갑골문이나 금문을 보면 양손(廾)에 공이(杵)를 들고 절구(臼) 안에 있는 곡식을 찧는 모양을 상형한다. o 午 낮 오는 杵 공이 저의 생략형이다. o 고대에 방아를 처음 만들어 사용한 사람은 옹부(雝父).. 2021. 8. 15.
258. 毇 쓿을 훼 《說文》 米一斛舂為八斗也。从䊆从殳。 o 벼(米)를 절구(臼)에 넣고 공이(殳)로 찧다. o 벼 한 곡(斛 휘 곡, 곡식을 되는 그릇으로 그 용량은 10말 十斗曰斛)을 찧으면 8말(斗)이 된다. o 䊆 미숫가루 구를 따르고, 殳 창 수를 따른다. o 회의문자이다. o 穀 곡식 곡은 같은 의미이다. o 「쓿다」는 찧어서 껍데기를 벗기고 깨끗하게 한다는 의미이다. o 강희자전에서는 부수가 아니고, 毇의 부수는 殳(갖은등글월문)이다. [毇部] 糳 방아 찧고 난 쌀 착 《說文》 䊪米一斛舂為九斗曰糳。从毇丵聲。 o 현미 1곡(斛)을 찧어 속겨를 벗기면 쌀이 9두(斗)가 되고, 일컬어 糳 방아 찧고 난 쌀 착이라 한다. o 毇 쓿을 훼를 따르고, 丵 풀 무성할 착은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English] huǐ.. 2021. 8. 14.
257. 米 쌀 미 《說文》 粟實也。象禾實之形。 o 곡식의 열매를 가리킨다. o 쌀알을 상형한다. o 상형문자이다. o 米는 丷木, 즉 丷 구결자 하와 木 나무 목으로 구성된다. o 米는 十丷八, 즉 十 열 십과 丷 구결자 하, 八 여덟 팔로 구성된다고 볼 수도 있다. o 米는 丷十八, 즉 丷 구결자 하와 十 열 심, 八 여덟 팔로 구성된다고 볼 수도 있다. o 벼의 낱알은 대미(大米)라 하고, 조의 낱알은 소미(小米)라 하며 옥수수의 낱알은 옥미(玉米)라 한다. o 米 쌀 미를 파자(破字)하면 八十八(88 eighty-eight)이 되므로, 88세를 米壽(미수)라 한다. o 부수명칭은 「쌀미」이다. o 부수명칭을 일본에서는 こめ, こめへん(米偏)이라 하고, 중국에서는 米字旁(미자방), 米字底(미자저)라 하며 영어로는 ra.. 2021. 8. 14.
256. 香 향기 향 《說文》 芳也。从黍从甘。《春秋傳》曰:黍稷馨香。 o 향기를 가리킨다. o 갑골문이나 금문(seal script)을 보면 黍 기장 서(glutinous millet)를 따르고, 口 입 구(mouth)를 따른다. o 위는 기장이나 보리와 같은 곡식을 상형하고, 네 개의 작은 점(點)은 낱알이 익어 떨어진 모양을 나타내며, 밑에 있는 口 입 구는 곡식의 낱알을 담는 그릇을 나타낸다. o 후에 口 입 구가 향기와 관련이 있는 甘 달 감(sweet)으로 변하고, 설문해자는 黍 기장 서를 따르고, 甘 달 감을 따른다고 본다. o 회의문자이다. o 현재 사용되는 ⾹ 향기 향은 곡식(grain)을 나타내는 禾 벼 화와 입(mouth)을 의미하는 曰 가로 왈로 구성된다. o 香은 禾日, 즉 禾 벼 화와 日 날 일로 구성된.. 2021. 8.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