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第七57

267. 瓜 오이 과 《說文》 㼌也。象形。 o 오이가 덩굴에 주렁주렁 열려 있다. o 상형문자이다. o 금문을 보면 오이가 덩굴(蔓)에 달린 모양을 상형한다. o 큰 오이를 瓜 오이 과라 하고, 작은 오이를 瓞 북치 질이라 한다. o 瓜는 𠂆厶㇏, 즉 𠂆 당길 예와 厶 사사 사, ㇏ 미상으로 구성된다. o 瓜 오이 과의 자획을 풀어서 나누면 八八이 되고, 八 여덟 팔이 두 개이므로 더하여(八+八) 16세를 가리키며, 16세이면 혼기에 이른 처녀라고 하여 과년(瓜年) 혹은 파과지년(破瓜之年)이라 한다. o 남자의 경우에는 瓜 오이 과의 자획을 풀어서 나누면 八 여덟 팔이 두 개가 되며, 八八을 곱하여 六十四(64), 즉 64세를 벼슬에서 물러나는 나이로 보아 파과(破瓜)라 하고, 파과지경(破瓜之慶)은 큰 과오 없이 벼슬을 마치.. 2021. 8. 20.
266. 韭 부추 구 《說文》 菜名。一穜而久者,故謂之韭。象形,在一之上。一,地也。此與耑同意。 o 채소의 이름이다. o 한 번 심으면 오래 살므로, 久 오랠 구와 운모가 같은 韭 부추 구라 한다. o 상형문자이고, 一 한 일 위에서 자라는 모양이다. o 一 한 일은 땅이다. o 耑 시초 단과 글자의 구성원리가 같다. o 韭는 非一, 즉 非 아닐 비와 一 한 일로 구성된다. o 韮 부추 구는 같은 글자이다. o 일본에서는 韭 부추 구보다는 韮 부추 구가 일반적으로 사용된다고 한다. o 부추는 情久持(정구지, 부부간의 정을 오래도록 유지시켜 준다), 溫腎固情(온신고정, 腎腸을 따뜻하게 하고 생식기능을 좋게 한다), 起陽草(기양초, 男子의 陽氣를 세운다), 越墻草(월장초, 집의 담을 넘을 정도로 힘이 생긴다), 破屋草(파옥초, 부추를.. 2021. 8. 18.
265. 耑 시초 단 《說文》 物初生之題也。上象生形,下象其根也。 o 식물이 처음 돋아날 때의 새싹을 가리킨다. o 위는 새싹이 돋아나는 모양이고, 아래는 그 뿌리를 상형한다. o 耑는 山而, 즉 山 뫼 산과 而 말 이를 이로 구성된다. o 耑 [duān] 끝 단으로도 쓰이며, 端 끝 단의 고자(古字)이다. o 耑 [zhuān] 오로지 전으로도 쓰이고, 專 오로지 전과 같은 글자이다. o 강희자전에서는 부수가 아니고, 耑의 부수는 而(말이을이)이다. [耑(시초 단)이 자부로 들어간 글자] 偳 적을 단 喘 숨찰 천 吳牛喘月(오우천월) 㙐 늘어질 타 媏 여자의 자 단 㟨 산 이름 단 惴 두려워할 췌, 꿈틀거릴 천 揣 헤아릴 췌, 헤아릴 취, 때릴 추, 뭉칠 단 湍 여울 단 性猶湍水(성유단수) 腨 장딴지 천 予所畜犬 迺噬我腨(여소축.. 2021. 8. 18.
264.  尗 콩 숙 《說文》 豆也。象尗豆生之形也。 o 콩을 가리킨다. o 콩의 줄기가 자라며 뻗어 올라가는 모양을 상형한다. o 상형문자이다. o 설문해자에서는 땅(一)과 그 위에는 콩의 줄기(l), 꼬투리(―)이며, 그 아래는 뿌리(小)를 나타낸다. o 尗은 上小, 즉 上 위 상과 小 작을 소로 구성된다. o 叔 콩 숙, 菽 콩 숙은 같은 글자이다. o 강희자전에서는 부수가 아니고, 尗의 부수는 小(작을소)이다. [尗部] 敊 몹시 앓을 축, 얻을 수, 뻐꾸기 시 《說文》 配鹽幽尗也。从尗支聲。 o 검은 콩에 소금을 배합하여 만드는 메주를 가리킨다. o 몹시 앓는 모양이다. 《廣韻 屋韻》 敊,病敊皃。 《광운 옥운》 축,병축모。 《類篇 攴部》 敊,痛至皃。 《유편 복부》 축,통지모。 o 尗 콩 숙을 따르고, 支 지탱할 지는 성부.. 2021. 8. 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