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第七57

263. 麻 삼 마 《說文》 與𣏟同。人所治,在屋下。从广从𣏟。 o 𣏟 삼베 패와 같다. o 사람이 생마(林 𣏟 hemp primitive)를 손질하고 삼베를 짜는 작업을 집안( 广 shed)에서 한다는 의미이다. o 广 집 엄을 따르고, 𣏟 삼베 패를 따른다. o 회의문자이다. o 麻는 广林, 즉 广 집 엄과 林 수풀 림으로 구성된다고 볼 수도 있다. o 소전(小篆) 이전에는 厂 기슭 엄을 쓰고, 소전에서부터 广 집 엄으로 쓴다. o 麻 삼 마의 안에 들어가는 글자는 나라마다 약간 차이가 있고, 경희자전과 한국, 대만, 홍콩에서는 𣏟 삼배 패와 같이 최후로 쓰는 획이 乚처럼 낙시바늘과 비슷한 글자를 두 개 나란하게 합쳐 사용하며 일본이나 중국에서는 林 수풀 림을 사용한다. o 蔴 삼 마도 같은 글자이다. o 대마초(大麻草)는.. 2021. 8. 15.
262. 𣏟 삼베 패 《說文》 葩之總名也。𣏟之為言微也,微纖為功。象形。 o 화려한 모양(magnificent, resplendent)에 대한 총칭이다. o 삼베를 짤 때에는 말소리를 약하게 하여야 하고, 세심하게 짜면 치사를 받는다. o 상형문자이이고, 삼밭에서 자라는 삼을 상형한다. o 𣏟는 朩朩, 즉 2개의 朩 삼줄기 껍질 빈으로 구성된다. o 삼베란 삼의 껍질에서 뽑아낸 실(삼실, 대마사, 베실)로 짠 천을 말한다. o 강희자전에 의하면 부수가 아니고, 𣏟의 부수는 木(나무목)이다. [𣏟部] 檾 어저귀 경 《說文》 枲屬。从𣏟,熒省。《詩》曰:衣錦檾衣。 o 어저귀이다. o 달리 경마(苘麻), 백마(白麻), 오작이, 모싯대, 청마라고도 부른다. o 본래는 옷을 만들 수 있는 섬유작물(grassy plant with fibres.. 2021. 8. 15.
261. 朩 삼줄기 껍질 빈 《說文》 分枲莖皮也。从屮,八象枲之皮莖也。讀若髕。 o 삼대의 껍질을 벗기다. o 屮 싹날 철을 따르고, 八 여덟 팔은 삼대의 줄기를 상형한다. o 朩은 一小, 즉 一 한 일과 小 작을 소로 구성된다. o 朩는 十八, 즉 十 열 십과 八 여덟 팔로 구성된다고 볼 수도 있다. o 髕 [bìn] 종지뼈 빈과 같게 발음한다. o 생삼대에서 껍질을 벗기고 남은 줄기를 겨릅대라 한다. o 汖 삼 껍질 쨀 파는 같은 의미이다. o 강희자전에 의하면 부수가 아니고, 朩의 부수는 木(나무목)이다. [朩部] 枲 모시풀 시 《說文》 麻也。从朩台聲。 o 모시풀(male nettle-hemp)을 가리킨다. o 저마(苧麻)로도 불린다. o 朩 삼줄기 껍질 빈을 따르고, 台 별 태는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o 䢄 모시풀 시 葈.. 2021. 8. 15.
260. 凶 흉할 흉 《說文》惡也。象地穿交陷其中也。 o 나쁘다는 뜻이다. o 땅을 파서 그 구덩이 안으로 빠뜨린 모양을 상형한다. o 凶은 凵㐅, 즉 凵 입 벌릴 감과 㐅 다섯 오로 구성된다. o 지사문자로 보면 凵은 땅에 파인 구덩이를 나타내고, 㐅는 구덩이의 존재를 알리는 표시로 볼 수 있다. o 상형문자로 보면 凵은 땅에 파인 구덩이를 나타내고, 㐅는 구덩이 안에 있는 시체나 바위, 흙덩이 등을 가리킨다고 볼 수 있다. o 㐫 흉할 흉, 㓙 흉할 흉, 兇 흉악할 흉은 같은 글자(alternative form)이다. o 吉 길할 길은 반대되는 글자이다. o 강희자전에서는 부수가 아니고, 凶의 부수는 凵(위튼입구)이다. [凶部] 兇 흉악할 흉 《說文》 擾恐也。从人在凶下。《春秋傳》曰:曹人兇懼。 o 참략하여 두려워 떨게 하다... 2021. 8.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