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說文》 米一斛舂為八斗也。从䊆从殳。
o 벼(米)를 절구(臼)에 넣고 공이(殳)로 찧다.
o 벼 한 곡(斛 휘 곡, 곡식을 되는 그릇으로 그 용량은 10말 十斗曰斛)을 찧으면 8말(斗)이 된다.
o 䊆 미숫가루 구를 따르고, 殳 창 수를 따른다.
o 회의문자이다.
o 穀 곡식 곡은 같은 의미이다.
o 「쓿다」는 찧어서 껍데기를 벗기고 깨끗하게 한다는 의미이다.
o 강희자전에서는 부수가 아니고, 毇의 부수는 殳(갖은등글월문)이다.
[毇部]
糳 방아 찧고 난 쌀 착 《說文》 䊪米一斛舂為九斗曰糳。从毇丵聲。
o 현미 1곡(斛)을 찧어 속겨를 벗기면 쌀이 9두(斗)가 되고, 일컬어 糳 방아 찧고 난 쌀 착이라 한다.
o 毇 쓿을 훼를 따르고, 丵 풀 무성할 착은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English] huǐ
grind in a mortar
grind or husk rice with a mortar and pestle
grain, corn, cereals
lucky, happy, favorable, good
live, while alive
eight dou (斗) of rice
alternate 糓
'第七' 카테고리의 다른 글
260. 凶 흉할 흉 (0) | 2021.08.15 |
---|---|
259. 臼 절구 구 (0) | 2021.08.15 |
257. 米 쌀 미 (0) | 2021.08.14 |
256. 香 향기 향 (0) | 2021.08.14 |
255. 黍 기장 서 (0) | 2021.08.1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