第七57 251. 克 이길 극 《說文》 肩也。象屋下刻木之形。 o 이기다. 이겨내다. o 지붕과 그 아래에서 지붕을 바치는 각목을 상형한다. o 갑골문이나 금문을 보면 아래는 사람의 어깨를 나타내며, 물건을 어깨에 짊어진 모양을 상형하고, 즉 맡은 직책이나 임무 따위를 능히 감당할 수 있다(be competent)는 의미이다. o상형문자이다. o 克은 古儿, 즉 古 예 고와 儿 어진 사람 인으로 구성된다. o 克은 十兄, 즉 十 열 십과 兄 맏 형으로 구성된다고 볼 수도 있다. o 剋 이길 극은 본자(本字)이다. o 尅 이길 극은 같은 글자이다. o 강희자전에서는 부수가 아니고, 克의 부수는 儿(어진사람인발)이다. [English] kè be competent 胜任 [shèngrèn] can, be able to, be capable .. 2021. 8. 14. 250. 鼎 솥 정 《說文》 三足兩耳,和五味之寶器也。昔禹收九牧之金,鑄鼎荆山之下,入山林川澤,螭魅蝄蜽,莫能逢之,以協承天休。《易》卦 : 巽木於下者為鼎,象析木以炊也。籒文以鼎為貞字。 o 세 개의 발과 두 개의 귀를 가지고 다섯 가지의 맛을 조화롭게 하는 귀한 보기(寶器 large, three-legged bronze caldron)를 가리킨다. o 옛날 구목(九牧)으로부터 쇠붙이를 모아 형산(荆山) 아래에서 처음 솥을 만들고 세상(山林川澤 산과 숲과 내와 못)에 들여 놓아 사용하게 한 사람은 우(禹)왕이다. o 솥은 하늘의 아름다운 도리(天休)를 이어받아 만든 물건이므로, 도깨비도 감히 범접할 수 없다. o 《역경》에서는 정괘(鼎卦 육십사괘의 쉰 번째 괘)라 하며, 정괘(The Caldron)는 화풍정(火風鼎), 즉 ☲(離 불 화).. 2021. 8. 14. 249. 片 조각 편 《說文》 判木也。从半木。 o 쪼개진 나무를 가리킨다. o 木 나무 목의 반쪽을 따른다. o 지사문자이다. o 爿 나뭇조각 장이 거울에 비쳐 생긴 모양(鏡像 mirror image)이다. o 木 나무 목을 두 조각으로 쪼갠 경우에 좌측의 절반(left half of tree trunk)은 爿 나뭇조각 장이라 하고, 우측의 절반(right half of tree trunk)은 片 조각 편이라 한다. o 鼎 솥 정을 보면 위는 솥(目)이 있고, 아래에는 나무(木)를 쪼개 불을 때는 모양을 나타내며, 좌측에 爿 나뭇조각 장이 있고, 우측에 片 조각 편이 있다. o 片은 丿丄𠃍, 즉 丿 삐침 별과 丄 위 상, 𠃍 미상으로 구성된다. o 부수명칭은 「조각편」이다. o 부수명칭을 일본에서는 かた, かたへん(片偏)이라.. 2021. 8. 14. 248. 가시 자 《說文》 木芒也。象形。讀若刺。 o 나무의 가시를 가리킨다. o 상형문자이다. o 나무에 가시가 달린 모양을 상형한다. o 刺 찌를 자와 같게 발음한다. o 朿는 木冂, 즉 木 나무 목과 冂 멀 경으로 구성된다. o 刺 [cì] 찌를 자와 같게 발음하고, 같은 글자(variant form)이다. o 강희자전에서는 부수가 아니고, 朿의 부수는 木(나무목)이다. [朿部] 棗 대추나무 조, 대추 조 《說文》 羊棗也。从重朿。 o 대추나무(jujube, Chinese date tree)를 가리킨다. o 위와 아래로 겹쳐 쓴 朿 가시 자를 따른다. o 회의문자이다. o 갑골문이나 금문을 보면 대추나무를 나타낸다. o 枣 대추나무 조 栆 대추나무 조는 동음동의이다. 棘 가시나무 극, 가시 극 《說文》 小棗叢生者。从並朿.. 2021. 8. 14. 이전 1 ··· 7 8 9 10 11 12 13 ··· 1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