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說文》 物初生之題也。上象生形,下象其根也。
o 식물이 처음 돋아날 때의 새싹을 가리킨다.
o 위는 새싹이 돋아나는 모양이고, 아래는 그 뿌리를 상형한다.
o 耑는 山而, 즉 山 뫼 산과 而 말 이를 이로 구성된다.
o 耑 [duān] 끝 단으로도 쓰이며, 端 끝 단의 고자(古字)이다.
o 耑 [zhuān] 오로지 전으로도 쓰이고, 專 오로지 전과 같은 글자이다.
o 강희자전에서는 부수가 아니고, 耑의 부수는 而(말이을이)이다.
[耑(시초 단)이 자부로 들어간 글자]
偳 적을 단 喘 숨찰 천 吳牛喘月(오우천월) 㙐 늘어질 타 媏 여자의 자 단 㟨 산 이름 단 惴 두려워할 췌, 꿈틀거릴 천 揣 헤아릴 췌, 헤아릴 취, 때릴 추, 뭉칠 단 湍 여울 단 性猶湍水(성유단수) 腨 장딴지 천 予所畜犬 迺噬我腨(여소축견 내서아천) 椯 종아리채 타 煓 불꽃 성할 단 猯 삵 단 瑞 상서 서 端 끝 단, 헐떡일 천, 홀 전 四端七情(사단칠정) 褍 풍신할 단 諯 서로 사양할 전 䝎 돼지 단 貒 오소리 단 踹 발꿈치 단 輲 통바퀴 수레 천 鍴 송곳 단 䵎 흑황색 단
剬 벨 단, 판가름할 제 㪜 헤아릴 취, 달 타 歂 숨찰 천 㼷 벽돌 전, 벽돌 천 顓(颛) 오로지 전 䳪 새 이름 전, 꼬리 짧은 새 단
遄 빠를 천
篅 대그릇 천
圌 둥근 대그릇 천
[English] duān
sprout - not 山 or 而
shoot
beginning
origin
[English] zhuān
specialized, concentrated
'第七' 카테고리의 다른 글
267. 瓜 오이 과 (0) | 2021.08.20 |
---|---|
266. 韭 부추 구 (0) | 2021.08.18 |
264. 尗 콩 숙 (0) | 2021.08.18 |
263. 麻 삼 마 (0) | 2021.08.15 |
262. 𣏟 삼베 패 (0) | 2021.08.1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