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第七57

279. 网 그물 망 《說文》 庖犧所結繩以漁。从冂,下象网交文。今經典變隸作䍏。 o 처음 노끈이나 새끼 따위로 매듭을 지어 그물을 만들고, 그 그물로 고기를 잡는 방법을 가르친 사람은 포희(庖犧 복희씨)이다. o 冂 멀 경을 따르고, 아래는 서로 교차하여 짜인 그물코(그물에 뚫려 있는 구멍)를 상형한다. o 상형문자이다. o 冖 덮을 멱을 따르고, 그물코를 나타내는 두 개의 㐅 다섯 오를 따르는 회의문자(會意文字)로 보기도 한다. o 경전에서는 䍏 그물 망을 쓰기도 한다. o 网, 𦉪, 罓, 罒, 䍏, 㓁, 𦉫은 모두 같은 글자이다. o 부수로는 罒이 가장 많이 사용되고, 罒은 주로 머리(top radical)에 부수로 사용된다. o 예를 들어 罪 허물 죄 詈 꾸짖을 리 罰 죄 벌 罵 꾸짖을 매 罷 방면할 파는 모두 처벌(pun.. 2021. 8. 22.
278. 㒳 두 량, 냥 냥 《說文》 再也。从冂,闕。《易》曰:參天㒳地。 o 두(two, a pair, a couple, both), 두 번 o 冂 멀 경을 따른다. o 금문을 보면 冂 멀 경을 종선(丨)으로 나누고, 그 양쪽에 ㅅ이 들어가 있는 모양을 나타낸다. o 㒳은 冂丨入入, 즉 冂 멀 경과丨 뚫을 곤, 두 개의 入 들 입으로 구성된다. o 주역에 이르기를 삼천양지(參天㒳地), 즉 천수(天数)는 3(三 参)이고, 지수(地数)는 2(二 两)라고 한다(天数为三, 地数为二). 《周易 说卦》 参天两地而倚数。 《주역 설괘》 삼천량지이의수。 o 兩 두 량의 고문(古文 ancient form)이다. o 현재는 사용되지 않는 생피한자이다. o 강희자전에서는 부수가 아니고, 㒳의 부수는 入(들입)이다. [㒳部] 兩 두 량(양), 양 량(양),.. 2021. 8. 22.
277. 冃 쓰개 모 《說文》 小兒蠻夷頭衣也。从冂;二,其飾也。 o 어린 아이나 오랑캐가 머리에 쓰는 두의(頭衣)이다. 《玉篇》 冃,小兒、蠻夷頭衣也。 《옥편》 모,소아、만이두의야。 o 冂 멀 경을 따르고, 중앙에 있는 二는 장식을 뜻한다. o 冃는 冂二, 즉 冂 멀 경과 二 두 이로 구성된다. o 帽 모자 모의 고자(古字 ancient form)이다. o 쓰개는 머리를 보호하고 장식하기 위하여, 또는 신분이나 의례에 따라 격식을 갖추기 위하여 머리에 쓰는 물건을 가리킨다. o 강희자전에서는 부수가 아니고, 冃의 부수는 冂(멀경몸)이다. [冃部] 冕 면류관 면 《說文》 大夫以上冠也。邃延、垂瑬、紞纊。从冃免聲。古者黃帝初作冕。 o 대부 이상이 쓰는 관(冠 royal crown, diadem, ceremonial cap)이다. o 옥으.. 2021. 8. 22.
276. 𠔼 겹쳐 덮을 모 《說文》 重覆也。从冂、一。讀若艸苺之苺。 o 거듭 덮다. o 冂 멀 경, 一 한 일을 따른다. o 아래에 一 한 일이 덮고 있고, 위에 冂 멀 경이 또 덮고 있으므로, 겹쳐 덮고 있다는 의미가 된다. o 회의문자이다. o 艸苺(초매)라고 할 때의 苺 [méi] 딸기 매와 같게 발음한다. [𠔼部] 同 한가지 동 《說文》 合會也。从𠔼从口。 𡉉 휘장모양 강 《說文》 幬帳之象。从𠔼;㞢,其飾也。 冡 덮어쓸 몽, 무덤 총 《說文》 覆也。从𠔼、豕。 2021. 8. 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