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第七

266. 韭 부추 구

by kimlaw 2021. 8. 18.

《說文》 菜名。一穜而久者,故謂之韭。象形,在一之上。一,地也。此與耑同意。
o 채소의 이름이다.

부추

o 한 번 심으면 오래 살므로, 久 오랠 구와 운모가 같은 韭 부추 구라 한다.
o 상형문자이고, 一 한 일 위에서 자라는 모양이다.

설문해자

o 一 한 일은 땅이다.
o 耑 시초 단과 글자의 구성원리가 같다.
o 韭는 非一, 즉 非 아닐 비와 一 한 일로 구성된다.
o 韮 부추 구는 같은 글자이다.
o 일본에서는 韭 부추 구보다는 韮 부추 구가 일반적으로 사용된다고 한다.
o 부추는 情久持(정구지, 부부간의 정을 오래도록 유지시켜 준다), 溫腎固情(온신고정, 腎腸을 따뜻하게 하고 생식기능을 좋게 한다), 起陽草(기양초, 男子의 陽氣를 세운다), 越墻草(월장초, 집의 담을 넘을 정도로 힘이 생긴다), 破屋草(파옥초, 부추를 먹고 운우지정을 나누면 초가삼간이 무너진다 혹은 정력에 좋아 초가삼간을 부수고도 부추를 심는다), 破壁草(파벽초, 오줌줄기가 벽을 뚫는다) 등으로도 불린다.
o 한국에서는 지역별로 졸(충청), 정구지 또는 소풀(경상), 솔(전라), 부추(경기) 등으로 불리며, 표준어는 부추이다.
o 부수명칭은 「부추구」이다.
o 부수명칭을 일본에서는 にら(韮)라 하고, 영어로는 radical leek라 한다.

[韭部]
𩐌 나물 대 《說文》 齏也。从韭隊聲。
䪢 썰은 풋김치 제 《說文》 墜也。从韭,次、𠂔皆聲。
o 썰은 풋김치를 가리킨다.
o 韭 부추 구를 따르고, 次 버금 차, 𠂔 그칠 제는 모두 성부이다.

설문해자

o 형성문자이다.
o 풋김치는 봄이나 가을에 새로 나온 열무나 어린 배추로 담근 김치를 가리킨다.
䪥 염교 해 《說文》 菜也。葉似韭。从韭㕢聲。
o 나물이다.
o 입이 부추와 비슷하다.
o 韭 부추 구를 따르고, 㕢 견실할 개는 성부이다.

설문해자

o 형성문자이다.
韱 산부추 섬 《說文》 山韭也。从韭㦰聲。
o 산부추(wild onions or leeks)이다.
o 韭 부추 구를 따르고, 㦰 다할 첨은 성부이다.

설문해자

o 형성문자이다.
o 韯 부추 구, 부추 섬도 같은 글자이다.
䪤 달래 번 《說文》 小蒜也。从韭番聲。
o 작은 마늘, 즉 달래이다.
o 韭 부추 구를 따르고, 番 차례 번은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韭(부추 구)가 자부로 들어간 글자]
齑 회 제, 무침 제 齏 회 제, 무침 제 㔐 벨 첨

[English] jiǔ
scallions
leeks
Chinese chives

[유사한자] 韭菲韮
韭 부추 구
菲 나물 이름 비, 엷을 비, 짚신 비 淺學菲才(천학비재)
韮 부추 구

'第七' 카테고리의 다른 글

268. 瓠 표주박 호  (0) 2021.08.20
267. 瓜 오이 과  (0) 2021.08.20
265. 耑 시초 단  (0) 2021.08.18
264.  尗 콩 숙  (0) 2021.08.18
263. 麻 삼 마  (0) 2021.08.15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