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1135 左右爲難(좌우위난) 왼쪽도 오른쪽도 곤란하다. 이러지도 못하고 저러지도 못하는 매우 난처한 상태에 빠지다. 딜레마에 빠지다. 左右兩難(좌우양난)이라고도 한다. 進退兩難(진퇴양난), 進退維谷(진퇴유곡)과 같은 의미이다. 束手無策(속수무책)도 손이 묶여 방법이나 수단이 없다는 표현으로 어찌할 도리나 방책이 없어 꼼짝 못하는 상황을 가리킨다. 一路順風(일로순풍), 一帆風順(일범풍순)은 반대되는 사자성어이다. have one's hands bound and have no solution be at a loss what to do feel helpless in the face of some difficulty be between a rock and a hard place be at a loss helplessly 杨显之(元) 《潇湘.. 2023. 12. 29. 左顧右盼(좌고우반) 왼쪽을 둘러보고, 오른쪽을 곁눈질하다. 이리저리 살피기만 할 뿐 무슨 일을 얼른 결정을 짓지 못하고 있는 모습을 비유적으로 일컫는 표현이다. 좌고우면(左顧右眄), 좌우고면(左右顧眄)이라고도 한다. 우반좌고(右盼左顧), 좌우고시(左右顧視), 좌면우고(左眄右顧)도 모두 같은 의미이다. glance right and left look right and left look around look around anxiously or smugly hesitation wavering vacillate 曹植(三国) 《与吴季重书》 左顾右盼;谓若无人;岂非君子壮志哉! 조식(삼국) 《여오계중서》 좌고우반;위약무인;기비군자장지재! 2023. 12. 28. 左衝右突(좌충우돌) 왼쪽에서 치고, 오른쪽에서 박다. 왼쪽을 부딪치며 덤비고, 오른쪽을 마구 난폭하게 찌르다. 이리저리 마구 치고받고 부딪치며 난폭하게 덤비다. 아무에게나 혹은 아무 일에나 함부로 맞닥뜨리다. 東衝西突(동출서돌)도 이리저리 닥치는대로 부딪치다, 아무 사람이나 구분하지 않고 함부로 맞닥뜨리다는 의미이다. charge to the left and dash to the right attack with speed and ferocity 2023. 12. 27. 燈下不明(등하불명) 등잔 아래는 밝지 않다. "등잔 밑이 어둡다"는 속담과 같은 의미이다. 너무 가까이 있으면 모른다. 가까이에서 일어난 일을 오히려 잘 모르는 경우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표현이다. 騎牛覓牛(기우멱우)는 소를 타고 있으면서 소를 찾는다는 표현으로 같은 의미이다. "눈이 눈썹을 못 본다", "가까운 제 눈썹 못 본다"는 속담도 아주 가까운 일을 잘 알지 못한다는 의미이다. 한국속담에서는 "업은 아이 삼 년 찾는다", "업은 아이 삼간(三間) 찾는다", "업은 아이 삼면(三面) 찾는다", "업은 아이 삼이웃 찾는다"고 하고, 가까운 데 있는 줄을 모르고 먼 데 가서 여기저기 찾아 다닌다는 의미이다. One has to go abroad to get news of home. The beacon does not sh.. 2023. 12. 26. 이전 1 ··· 29 30 31 32 33 34 35 ··· 28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