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第八36

315. 𠑹 쓰개 고 《說文》 廱蔽也。从人,象左右皆蔽形。讀若瞽。 o 가리다. o 人 사람 인을 따르고, 좌우가 모두 가려진 모양이다. o 瞽 소경 고와 같게 발음한다. o 강희자전에서는 부수가 아니고, 생피한자로 거의 사용되지 아니한다. [𠑹部] 兜 투구 두, 도솔천 도 《說文》 兜鍪,首鎧也。从𠑹,从皃省。皃象人頭也。 o 두무(兜鍪), 수개(首鎧), 즉 투구(helmet)를 가리킨다. o 𠑹 쓰개 고를 따르고, 皃 모양 모의 생략형을 따른다. o 회의문자이다. o 皃 모양 모는 사람의 머리를 나타낸다. o 兠 투구 두 㿡 투구 두는 같은 글자이다. o 도솔천(兜率天 dōu lǜ tiān] Tuṣita)은 불교에서 천상(天上)의 욕계(慾界) 중 넷째 하늘나라를 가리키고, 수미산(須彌山) 정상으로부터 12만유순(由旬 고대 인도에서.. 2021. 9. 4.
314. 皃 얼굴 모 《說文》 頌儀也。从人,白象人面形。 o 겉으로 드러난 모습이다. o 人 사람 인을 따르고, 白 흰 백은 사람의 얼굴을 상형한다. o 皃는 白人, 즉 白 흰 백과 儿 어진 사람 인으로 구성된다. o 皃 모양 모, 모사할 막으로도 쓰이고, 㹸 모양 모, 모사할 막 貌 모양 모, 모사할 막과 같은 글자이다. o 강희자전에서는 부수가 아니고, 皃의 부수는 白(흰백)이다. [皃部] 覍 고깔 변 《說文》 冕也。周曰覍,殷曰吁,夏曰收。从皃,象形。 o 고깔을 가리킨다. o 주(周)나라에서는 覍 고깔 모라 하고, 은(殷)나라에서는 吁 부를 우라 하며, 하(夏)나라에서는 收 거둘 수라 한다. o 皃 얼굴 모를 따르고, 상형문자이다. o 고깔은 중이나 무당, 풍물패 등이 머리에 쓰는 모자이고, 세모진 모양으로 끝이 뾰족하다. .. 2021. 9. 4.
313. 兂 비녀 잠 《說文》 首笄也。从人,匕象簪形。 o 머리에 꽂는 비녀를 뜻한다. o 人 사람 인을 따르고, 匕 비수 비는 비녀를 따른 모양이다. o 簪 비녀 잠, 簮 비녀 잠과 같은 글자이다. o 비녀란 쪽을 진 머리가 풀어지지 않게 하기 위하여, 혹은 관(冠)이나 가체를 머리에 고정시키기 위하여 꽂는 장신구를 말한다. o 강희자전에서는 부수가 아니고, 兂의 부수는 儿(어진사람인발)이다. [兂部] 兓 날카로울 침 《說文》 朁朁,銳意也。从二兂。 o 참참(朁朁)을 가리키고, 날카롭다는 의미이다. o 두 개의 兂 비녀 잠을 따른다. o 회의문자이다. o 尖 뾰족할 첨은 같은 의미이다. [English] zān a rod-like hairpin an ornamental hairpin clasp wear in hair [疊字] .. 2021. 9. 4.
312. 兄 맏 형 《說文》 長也。从儿从口。 o 나이가 많다. o 儿 어진 사람 인( person)을 따르고, 口 입 구(mouth)를 따른다. o 회의문자(ideogrammic compound)이다. o 강희자전에서는 부수가 아니고, 兄의 부수는 儿(어진사람인발)이다. [兄部] 兢 떨릴 긍 《說文》 競也。从二兄。二兄,競意。从丯聲。讀若矜。一曰兢,敬也。 o 굳세다. o 두 개의 兄 맏 형을 따른다. o 형이 두 명이므로, 굳세다는 의미가 된다. o 丯 산란할 개는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o 矜 자랑할 긍과 같게 발음한다. o 일설은 敬 공경할 경과 같은 글자라고 본다. [兄(맏 형)이 자부로 들어간 글자] 兌(兑) 바꿀 태, 기쁠 태, 날카로울 예, 기뻐할 열 況(况) 상황 황, 하물며 황 祝 빌 축, 저주할 주 貺(贶.. 2021. 9.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