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第八

315. 𠑹 쓰개 고

by kimlaw 2021. 9. 4.

說文 廱蔽也从人象左右皆蔽形讀若瞽

o 가리다.

o 사람 인을 따르고, 좌우가 모두 가려진 모양이다.

설문해자

o 소경 고와 같게 발음한다.

o 강희자전에서는 부수가 아니고, 생피한자로 거의 사용되지 아니한다.

 

[𠑹]

兜 투구 두, 도솔천 도 《說文》 兜鍪,首鎧也。从𠑹,从皃省。皃象人頭也。

o 두무(兜鍪), 수개(首鎧), 즉 투구(helmet)를 가리킨다.

o 𠑹 쓰개 고를 따르고, 모양 모의 생략형을 따른다.

설문해자

o 회의문자이다.

o 모양 모는 사람의 머리를 나타낸다.

o 투구 두 투구 두는 같은 글자이다.

o 도솔천(兜率天 dōu lǜ tiān] Tuṣita)은 불교에서 천상(天上)의 욕계(慾界) 중 넷째 하늘나라를 가리키고, 수미산(須彌山) 정상으로부터 12만유순(由旬 고대 인도에서 거리를 잰 단위로, 소달구지로 하루에 갈 수 있는 거리를 1유순(약 11-15km)이라 한다) 떨어진 곳에 위치하며, 덕업을 쌓고 불심이 깊은 사람만이 죽어서 도솔천에서 다시 태어날 수 있다고 한다.

도솔천

 

[同意漢字]

[mào] 쓰개 모 hat

모자 모

투구 두

갓 관

'第八' 카테고리의 다른 글

317. 禿 대머리 독  (0) 2021.09.04
316. 先 먼저 선  (0) 2021.09.04
314. 皃 얼굴 모  (0) 2021.09.04
313. 兂 비녀 잠  (0) 2021.09.04
312. 兄 맏 형  (0) 2021.09.04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