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1135

請君入甕(청군입옹) 어서 그대가 항아리에 들어가라. 당장 발갛게 달궈진 항아리 안으로 들어가 죄를 자백하라. 중국역사상 유일한 여황제인 측천무후(則天武后)가 반발하는 세력을 탄압할 때에 가장 악명이 높은 혹리(酷吏 혹독한 관리)로 이름을 떨친 주흥(周興)이 모반을 꾀하고 있다는 밀고를 접한 측천무후는 역시 혹리로 유명한 내준신(來俊臣)에게 주흥을 처리하라고 맡기고, 내준신은 서로 절친한 사이인 주흥이 쉽게 죄를 자백하지 않으리라 여겨 여러 생각을 한 끝에 주흥을 초대하여 술자리를 함께 하면서 내준신이 짐짓 주흥에게 어떤 죄인이 어찌 교활한지 온갖 방법을 다 써 보아도 죄를 자백을 하지 않을 때에는 무슨 좋은 방법이 없는가 하고 묻자 주흥은 숯불을 피워 큰 항아리를 뜨겁게 달군 후에 죄인을 항아리 안으로 밀어 넣으면 다 자백.. 2024. 4. 7.
狗尾續貂(구미속초) 개의 꼬리가 담비를 대신하다. 담비의 꼬리가 모자라서 개의 꼬리로 대신 잇다. 고대중국에서 관직을 받은 관리가 쓰는 관모에 장식하는 담비의 꼬리를 개의 꼬리로 덧붙이다. 진나라 사마륜(司馬倫)이 군사를 일으켜 당시 황제이던 혜제(惠宰)를 폐위시키고 스스로 황제가 된 후 자신이 신임할 수 있는 친인척이나 심지어 노비와 하인에게까지 마구 벼슬을 내려 기용하면서 관직을 받은 관리가 너무 많아 관모에 장식할 담비의 꼬리가 부족하게 되고, 결국은 관모의 장식을 담비의 꼬리 대신에 비슷한 개의 꼬리로 올린 고사에서 유래한다. 좋은 물건이나 훌륭한 작업 뒤에 하찮은 물건이나 작업이 뒤따르는 경우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표현이다. 벼슬을 함부로 주다. add a dog tail to a sable write a bad s.. 2024. 4. 6.
針賊爲大牛賊(침적위대우적) 바늘을 도적질하면 큰 소를 도적질하게 된다. 사소한 나쁜 버릇도 자꾸 되풀이하게 되면 나중에는 큰 잘못을 저지를 수 있다. 작은 나쁜 짓도 자꾸 반복해서 버릇이 되면 결국은 큰 죄를 저지르게 된다. "바늘 도둑이 소 도둑 된다"고 하는 속담과 같은 의미이다. "바늘 쌈지에서 도둑이 난다"고 하는 속담도 있고, 자그마한 나쁜 일도 반복하다 보면 후에는 큰 죄를 저지르게 된다는 의미이다. "등겨 먹던 개가 말경에는 쌀을 먹는다"고 하는 속담도 있고, 처음에는 나쁜 짓을 조금씩 하다가 차차 더 크게 하게 된다는 의미이다. 針盜盜牛(침도도우)라고도 한다. Steal a needle, and steal a cow next time. A bad habit ever grows worse. 2024. 4. 5.
鷄鳴狗盜(계명구도) 닭이 울고, 개가 훔치다. 닭처럼 울고, 개처럼 훔치다. 비열하게 다른 사람을 속이는 하찮은 재주를 가리킨다. 천한 재주로 다른 사람을 속이는 사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표현이다. 하찮은 재주라도 경우에 따라서는 어딘가에 쓸모가 있다는 의미로도 쓴다. 제(薺)나라 맹상군(孟嘗君)이 진(秦)나라 소왕(昭王)에게 잡혀 옥에 갇힌 때에 개의 흉내를 잘 내는 식객이 개처럼 몰래 궁중의 창고로 숨어 들어가 맹상군이 이미 소왕에게 준 호백구(여우의 흰 겨드랑이 털로 만든 옷)를 훔쳐 소왕의 후궁에게 바치고 옥에서 빠져나오고, 도성을 빠져나가려 할 때에 이른 새벽이라 아직 성문이 열리지 않아 닭의 울음소리를 잘 흉내내는 식객이 닭의 울음소리를 내자 수문장이 성문을 열어 제나라로 무사히 돌아온 고사에서 유래한다. chi.. 2024. 4.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