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고사성어

靑出於藍(청출어람)

by kimlaw 2023. 6. 28.

푸른색은 쪽에서 나온다.
푸른색은 쪽에서 나오지만, 푸른색이 쪽빛보다 더 푸르다,
제자가 스승보다 더 훌륭하게 되다.
靑出於藍靑於藍(청출어람청어람)이라고도 한다.
青出于藍, 而胜于藍(청출우람, 이성우람)이라고도 한다.
青出于藍(청출우람)이라고도 한다.
冰寒于水(빙한우수) 혹은 冰寒於水(빙한어수), 즉 "얼음은 물에서 생기나 물보다 차갑다"(ice is more cold than water)도 같은 의미이다. 
雛鳳淸於老鳳聲(추봉청어노봉성)은 어린 새끼봉황의 울음소리가 늙은 봉황의 울음소리보다 한결 청아하다는 표현으로 비유적으로 자제가 뛰어나게 훌륭하다는 의미이다.
한국속담에서는 "나중 난 뿔이 우뚝하다", "뒤에 난 뿔이 우뚝하다", "먼저 난 머리보다 나중 난 뿔이 무섭다"고 하고 , 후배가 선배보다 나을 때에 하는 표현이다.
The color blue is made out of indigo.
Blue comes from indigo, but is bluer.
Blue is better than blue.
A pupil excels his master.
the student has surpassed his or her teacher
surpass one’s master or teacher in learning

《史記 三王世家》 青采出於藍 而質青於藍.
《사기 삼왕세가》 청채출어람 이질청어람.
푸른색은 쪽에서 나오지만 쪽빛보다 더 푸르다.

《荀子 勸學》 學不可以已。青、取之於藍,而青於藍;冰、水為之,而寒於水。
《순자 권학》 학불가이이。청、취지어람,이청어람;빙、수위지,이한어수。
Learning must never cease. Blue is obtained from the indigo plant but is bluer than the plant itself; ice is made from water but is colder than water itself.
학문은 가히 그쳐서는 안 된다. 푸른색은 쪽에서 취하지만 쪽빛보다 더 푸르다. 또한 얼음은 물로 이루어지지만 물보다도 더 차다.

'고사성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百聞不如一見(백문불여일견)  (0) 2023.06.30
百家爭鳴(백가쟁명)  (0) 2023.06.29
糟糠之妻(조강지처)  (0) 2023.06.27
七去之惡(칠거지악)  (0) 2023.06.27
近朱者赤, 近墨者黑(근주자적, 근묵자흑)  (0) 2023.06.25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