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 나라에 세 임금이 있다.
한 나라에 군주가 삼인이 있다.
《춘추좌전》(春秋左傳)에 나오는 고사에서는 진(晋)나라의 헌공(獻公)과 공자 중이(重耳), 공자 이오(夷吾)를 가리킨다.
명령을 내리는 사람이 많다.
비유적으로 구구한 의견을 가리킨다.
한국속담에서는 "한 집에 감투장이 셋이 변"이라고 하고, 참견하는 사람이 많으면 일이 잘 안 된다는 의미이다.
"사공이 많으면 배가 산으로 간다", "사공 많은 배 산으로 올라 간다", "목수 많은 집이 기울어진다", "목수가 많으면 집을 무너뜨린다", "상좌중이 많으면 가마솥을 깨뜨린다"고 하는 속담이 있고, 무슨 일을 할 때에 간섭하는 사람이 많으면 일이 잘 안 된다는 의미이다.
"작사도방에 삼 년 불성이라(作舍道傍 三年不成)"는 속담이 있고, 길가에 집을 지으면 3년이 걸려도 완공하지 못한다, 즉 길을 가는 사람이 모두 이래라 저래라 하며 참견하므로, 하세월이 걸려도 집을 다 지을 수 없다는 의미이다.
"어느 장단에 춤추랴"라는 속담은 참견하는 사람이 많아 갈피를 잡을 수 없다는 의미이다.
"하늘에 두 해가 없다"고 하는 속담이 있고, 한 나라에 임금이 둘이 있을 수 없다는 의미이다.
狐裘尨茸(호구방용)은 여우가죽으로 만든 갖옷이 갈갈갈래 찢어져 있다, 즉 부귀한 대신(大臣)이 난폭하고 방자하여 나라가 문란하다는 의미이다.
a state with three rulers
three lords in a state
the power being not unified
too many leaders in a country
Too many cooks spoil the broth.
《春秋左傳 僖公五年》 晉侯使士蒍為二公子築蒲與屈,不慎,寘薪焉,夷吾訴之,公使讓之,士蒍稽首而對曰,臣聞之,無喪而慼,憂必讎焉,無戎而城,讎必保焉,寇讎之保,又何慎焉,守官廢命,不敬,固讎之保,不忠,失忠與敬,何以事君,詩云,懷德惟寧,宗子惟城,君其脩德而固宗子,何城如之,三年將尋師焉,焉用慎,退而賦曰,狐裘尨茸,一國三公,吾誰適從。
《춘추좌전 희공오년》 진후사사위위이공자축포여굴,불신,치신언,이오소지,공사양지,사위계수이대왈,신문지,무상이척,우필수언,무융이성,수필보언,구수지보,우하신언,수관폐명,불경,고수지보,불충,실충여경,하이사군,시운,회덕유녕,종자유성,군기수덕이고종자,하성여지,삼년장심사언,언용신,퇴이부왈,호구방용,일국삼공,오수적종。
춘추시대 진(晋)나라의 군주 헌공(獻公)이 사위에게 두 공자 중이(重耳)와 이오(夷吾)를 위하여 포와 굴에 성을 쌓게 한다. 사위는 성을 튼튼하게 쌓지 아니하고, 돌이 아닌 섶(땔나무)을 섞어 성을 쌓는다. 공자 이오가 헌공에게 하소연한다. 헌공이 사람을 보내어 사위를 꾸짖는다. 사위가 머리를 조아리며 대답하여 이른다: "상(喪)이 없는 때에 슬퍼하면 근심이 반드시 생기고, 전쟁이 없는 때에 성을 쌓으면 원수가 반드시 그 성을 차지한다고 합니다. 적이나 원수가 차지하는 성을 어찌 튼튼하게 쌓아야 할까요? 직무를 지키고 명을 어기면 불경이고 원수가 차지하는 성을 견고히 쌓으면 불충이 되니 충경(忠敬)을 모두 잃는다면 어찌 군주를 섬길 수 있을까요? 시경에서는 이르기를 '군주가 두루 사랑하며 편당을 짓지 아니하면 나라가 편안하고, 종자(宗子 맏아들)는 나라를 지키는 성이 된다'고 하므로, 군주께서 덕을 쌓고 종자의 지위를 견고히 하시면 어떤 성이 그보다 튼튼할 수 있을까요? 3년 뒤에나 군대에 쓸 예정이라면 어찌 튼튼하게 성을 쌓을 수 있을까요?" 사위는 물러나 한탄하며 시를 읊는다: "여우가죽으로 만든 갖옷(대부가 입는 의복이므로 대부를 가리킨다)이 흐트러지고, 한 나라에 세 군주가 있다. 소인은 과연 누구를 따라야 하는가?"
[故事典故]
春秋初,晋国吞并了附近的一些小国,成为一个大国。有一年,晋献公在战争中夺得美女骊姬,带回去立为夫人。不久,骊姬生了个儿子,取名奚齐。
骊姬是个很有心计的女人。她既年轻美貌,又善于献媚,晋献公对她宠爱无比,竞想废去太子申生,改立奚齐为太子。这本是骊姬的心愿,但她顾忌群臣不服。又故作姿态,劝献公不要再行废立。这样,献公更宠爱她了。
骊姬还有一个顾忌。那就是太子申生与他两个异母兄长重耳、夷吾关系亲密。于是,她暗中和献公的宠臣梁王、东关王等密谋,离间这三位公子,最后再让自己的儿子奚齐继承王位。经过多次商议,他们决定先设法使三公子离开献公身边,疏远他们父子间的感情。梁王和东关王向献公进言说,让太子去坐镇先君宗庙所在地的曲沃,而让重耳、夷吾两位公子分别去坐镇边疆要地蒲和屈。这样,国君居中指挥,三公子分守重镇,国上万元一失。
经不起两人如簧之舌的巧辩,献公终于同意这样做。由于蒲地和屈地一片荒野,使命士芬(w负责营造蒲、屈两城。士芬揣测到,这必定是骊姬为了使奚齐被立为太子而施出的一条计谋,所以故意胡乱营造,草草完工。公子夷吾对此不理解,向献公告了一状,说他办事不力。献公把士芬召来,问他为什么修得马马虎虎,士芬回答说: "我听说没有悲哀的原因而悲哀,悲哀必定会到来;没有战争而筑城,城必定会被敌人利用。现在我奉命为两位公子修城,若是不修筑得坚固,要承担对公子不敬的罪名;而若是修筑得坚固,则为敌人提供了阵地,要承担对君主不忠的罪名。如果我失去了忠和敬,还怎么能为大王作事呢?" 说到这里,士芬又引了《诗经》中的一首诗: "怀德惟宁,宗子惟城。" 意思是用贤德来安定国家,子孙后代才会像城那样坚固。最后他说: "我以为三年之后,那里将打仗呢。" 回到家里,士芬又作了一首诗。诗的意思是这样的: "穿狐皮衣服的贵人多得像龙的茸毛一样,一个国家有三个君主,我应该听从谁的呢?"
[고사전고]
춘추초,진국탄병료부근적일사소국,성위일개대국。유일년,진헌공재전쟁중탈득미녀여희,대회거립위부인。불구,여희생료개인자,취명해제。
여희시개흔유심계적여인。저기년경미모,우선우헌미,진헌공대저총애무비,경상폐거태자신생,개립해제위태자。저본시여희적심원,단저고기군신불복。우고작자태,권헌공불요재행폐립。저양,헌공경총애저료。
여희환유일개고기。나취시태자신생여타양개이모형장중이、이오관계친밀。우시,저암중화헌공적총신양왕、동관왕등밀모,이간저삼위공자,최후재양자기적인자해제계승왕위。경과다차상의,타문결정선설법사삼공자리개헌공신변,소원타문부자간적감정。양왕화동관왕향헌공진언설,양태자거좌진선군종묘소재지적곡옥,이양중이、이오양위공자분별거좌진변강요지포화굴。저양,국군거중지휘,삼공자분수중진,국상만원일실。
경불기양인여황지설적교변,헌공종우동의저양주。유우포지화굴지일편황야,사명사분부책영조포、굴량성。사분췌측도,저필정시여희위료사해제피립위태자이시출적일조계모,소이고의호란영조,초초완공。공자이오대차불리해,향헌공고료일상,설타판사불력。헌공파사분소래,문타위십요수득마마호호,사분회답설: "아은설몰유비애적원인이비애,비애필정회도래;몰유전쟁이축성,성필정회피적인리용。현재아봉명위량위공자수성,약시불수축득견고,요승단대공자불경적죄명;이약시수축득견고,칙위적인제공료진지,요승단대군주불충적죄명。여과아실거료충화경,환즘요능위대왕작사니?" 설도저리,사분우인료《시경》중적일수시: "부덕유저,종자유성。" 의사시용현덕래안정국가,자손후대재회상성나양견고。최후타설: "아이위삼년지후,나리장타장니。" 회도가리,사분우작료일수시。시적의사시저양적: "천호피의복적귀인다득상룡적용모일양,일개국가유삼개군주,아응해은종수적니?"
춘추시대 진(晋)나라의 군주 헌공(獻公)은 공자(公子) 중이(重耳)와 이오(夷吾)를 위하여 대부(大夫)인 사위(士蔿)를 시켜서 포(蒲)와 굴(屈)이라는 지방에 성을 쌓게 한다. 사위는 성을 쌓으면서 왠일인지 성을 튼튼하게 쌓지 않고, 흙 속에 불때는 나무를 섞어서 대충 쌓는다. 사위의 축성에 대하여 불만을 품은 공자 이오가 헌공에게 고자질을 한다. 헌공은 크게 노하여 사위를 책망한다. 사위가 헌공의 책망에 대하여 머리를 땅에 조아리고 대답한다: "상(喪)을 당하지 않고도 슬퍼하면 근심이나 걱정이 반드시 닥쳐오고, 전쟁이 없는 때에 성을 쌓으면 적군이 반드시 이용한다고 합니다. 만약 소인이 성을 견고하게 쌓아 훗날 적군의 진지로 이용당한다면 곧 불충(不忠)이 되고, 만약 성을 부실하게 쌓는다면 임금에 대한 불경(不敬)를 범하게 됩니다. 소인이 이미 불충과 불경을 범하고 있다고 하면 어찌 군주를 제대로 섬길 수가 있을까요? 시경(詩經)에서 이르기를 "덕으로 다스려야 나라가 안녕하고, 적장자(嫡長子)는 나라를 지키는 성이 된다"고 합니다. 군왕께서 덕을 닦으시고, 적장자의 지위를 단단히 하신다면 어떤 성이 이보다 단단할 수 있을까요?" 사위는 헌공의 앞을 물러나와 자신의 심정을 시(詩)로 읊는다: "여우가죽으로 만든 의복(갖옷)을 입고서 난폭하고 방자하게 구는 귀인(대부)이 마치 용의 솜털처럼 많고, 한 나라에 세 군주가 있다. 소인은 과연 누구를 따라야 하는가?"
'고사성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種瓜得瓜, 種豆得豆(종과득과, 종두득두) (0) | 2023.06.20 |
---|---|
說曹操, 曹操到(설조조, 조조도) (0) | 2023.06.19 |
魯魚亥豕(노어해시) (0) | 2023.06.17 |
城門失火, 殃及池魚(성문실화, 앙급지어) (2) | 2023.06.16 |
人不為己, 天誅地滅(인불위기, 천주지멸) (0) | 2023.06.1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