덮으려고 할수록 더욱 드러난다.
진상을 감추려고 하다가 오히려 마각이 밝혀지다.
《춘추좌전》(春秋左傳)에 나오는 혹구명이부득, 혹욕개이명장, 징불의야(或求名而不得, 或慾蓋而名章, 懲不義也)에서 유래한다.
숨기려고 하다가 사태가 악화되다.
변명은 오히려 자기 자신에 대한 고발과 같다.
The more one tries to hide, the more one is exposed.
trying to hide it makes it more conspicuous
He who excuses himself accuses himself.
A cover up only makes matters worse.
Je mehr man etwas zu vertuschen sucht, desto mehr verrät man sich.
《左傳 昭公三十一年》 冬,邾黑肱以濫來奔,賤而書名,重地故也。君子曰,名之不可不慎也如是夫,有所有名,而不如其已。以地叛,雖賤必書,地以名其人,終為不義,弗可滅已。是故君子動則思禮,行則思義,不為利回,不為義疚。或求名而不得,或欲蓋而名章,懲不義也。
《좌전 소공삼십일년》 동,주흑굉이남래분,천이서명,중지고야。군자왈,명지불가불신야여시부,유소유명,이불여기이。이지반,수천필서,지이명기인,종위불의,불가멸이。시고군자동칙사례,행칙사의。불위이회,불위의구。혹구명이부득,혹욕개이명장,징불의야。
노(盧)나라 소공(昭公) 31년(BC 511) 겨울에 주(周)나라의 대부 흑굉(黑肱)이 주나라를 배반하고 자기가 다스리던 남(濫)이라는 지역의 토지를 가지고 노나라에 투항한다. 흑굉의 투항으로 남(濫)은 노나라로 편입된다. 흑굉은 군주나 제후와 같이 신분이 높은 사람은 아니므로, 굳이 기록에 남겨 그 이름을 밝힐 필요는 없지만, 영토는 나라에서 매우 중요하므로 흑굉이 영토의 일부를 노나라에 넘기며 투항한 사실은 기록에 남겨야 마땅하다. 군자는 이르기를 이름이 드러나 있으면서도 그 이름이 드러나지 않은 경우만도 못할 수 있다고 한다. 흑굉이 토지를 가지고 노나라에 투항하며 군주를 배반한 사건은 그가 비록 지위가 낮을지라도 반드시 그가 가지고 투항한 토지가 어디에 있고, 그 사람이 누구인지를 밝혀야 한다. 토지를 가지고 적국에 투항한 사람의 이름과 그 토지를 밝혀야만 불의(不義)가 없어지고, 제대로 밝히지 아니하면 불의가 사라지지 아니한다. 그러므로 군자는 움직일 때에는 예(禮)를 생각하고, 행할 때에는 의(義)을 생각하며, 이익만을 좇아 돌아서지 아니하며, 양심에 가책을 느끼는 행동을 하지 않아야 한다. 어떤 사람은 이름이 드러나기를 바라지만 명성을 얻지 못하고, 어떤 사람은 이름을 감추려고 하지만 그 이름이 더욱 드러나게 되며, 감추려는 이름이 드러나는 원리가 불의에 대한 징벌이다.
《左传 襄公二十五年》 齐崔杼弑其君庄公。太史书曰 : 崔杼弑其君。崔子杀之。其弟嗣书,而死者二人。其弟又书,乃舍之。南史氏闻太史尽死, 执简以往,闻既书矣,乃还。
《좌전 양공이십오년》 제최저시기군장공。태사서왈 : 최저시기군。최자살지。기제사서,이사자이인。기제우서,내사지。남사씨문태사진사, 집간이왕, 문기서의,내환。
《在齐太史简》 崔杼,齐国大夫,因齐庄公与其妻东棠姜私通谋杀了齐庄公,齐国太史公如实记载了这件事,崔杼大怒杀了太史。太史的两个弟弟太史仲和太史叔也如实记载,都被崔杼杀了。太史的第三个弟弟太史季还是不为崔杼的威胁所动,仍然只记「崔杼弑君」的事实。崔杼无奈,只好就此作罢。崔杼一连杀了三个史官,他的弑君之罪不但隐瞒不了,反而愈闹愈大,罪行愈显著了。
《재제태사간》 최저,제국대부,인제장공여기처동당강사통모살료제장공,제국태사공여실기재료저건사,최저대노살료태사。태사적량개제제태사중화태사숙야여실기재,도피최저살료。태사적제삼개제제태사계환시불위최저적위협소동,잉연지기「최저시군」적사실。최저무내,지호취차작파。최저일련살료삼개사관,타적시군지죄부단은만불료,반이유료유대,죄행유현저료。
춘추시대에 제(齊)나라의 대부 최저(崔杼)가 임금을 죽이고 군정의 대권을 장악한다. 최저의 권세가 두려워 어느 누구도 감히 입을 열지 못한다. 다만 태사(太史 고대중국에서 역사를 기록하던 사관)가 최저를 두려워하지 않고, 최저가 임금을 죽인 사실을 사서(史書)에 그대로 기록한다. 화가 난 최저는 태사를 죽인다. 죽은 태사의 동생도 태사가 되어 역시 최저가 임금을 죽인 사실을 그대로 기록한다. 최저는 동생 태사도 죽인다. 태사의 막내동생도 태사가 되어 최저를 두려워하지 않고, 최저가 임금을 죽인 사실(崔杼弑君)을 역시 그대로 기록한다. 최저가 자신의 죄상(罪狀)과 치부를 감추려고 사관을 죽이지만, 최저가 임금을 죽인 죄상은 은폐되지 아니하고, 사관을 죽이면 죽일수록 임금을 죽이고 왕위를 빼앗은 죄행(罪行)은 오히려 세상에 더 널리 알려지게 된다.
'고사성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守株待兎(수주대토) (0) | 2022.12.14 |
---|---|
累卵之危(누란지위) (0) | 2022.12.12 |
過而不改(과이불개) (0) | 2022.12.12 |
猫鼠同處(묘서동처) (0) | 2022.12.11 |
吳越同舟(오월동주) (0) | 2022.12.1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