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說文》 眾口也。从四口。
o 많은 입을 가리킨다.
o 네 개의 口 입 구를 따른다.
o 네 개나 되는 많은 입(口)은 시끄럽게 떠들거나 크게 소리친다는 의미이다.
o 㗊은 吅吅, 즉 두 개의 吅 부르짖을 훤으로 구성된다고 볼 수도 있다.
o 㗊은 吕吕, 즉 두 개의 吕 음률 려로 구성된다고 볼 수도 있다.
o 중국에서 㗊은 포르핀(porphine)의 화학구조와 그 모양이 비슷하므로, 포르핀을 의미하는 글자로 쓰이기도 하나, 현재 포르핀을 가리키는 단어는 卟吩(계분 bǔfēn)이다.
o 설문해자에서는 嚚 어리석을 은, 嘂 크게 부르짖을 규와 같이 㗊이 들어가는 글자가 있으므로, 부수로 삼는다.
o 강희자전에서는 부수가 아니고, 㗊의 부수는 口(입구)이다.
[㗊部]
嚚 [yín] 어리석을 은 《說文》 語聲也。从㗊臣聲。
o 말소리이다.
o 㗊 뭇입 집을 따르고, 臣 신하 신은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o 신하에게 입이 네 개 혹은 다섯 개가 있으므로, 말이 많다(argumentative, talkative)는 의미이다.
o 말만 많고, 수다스럽기만 하므로, 말에 진실성이 없고 거짓이 많다는 의미이다.
囂 떠들썩할 효, 들렐 효 《說文》 聲也。气出頭上。从㗊从頁。頁,首也。
o 소리이다.
o 기운이 머리 위로부터 나온다.
o 㗊 뭇입 집을 따르고, 頁 머리 혈은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o 㗊 뭇입 집은 입이 여러 개이므로, 떠들썩하다(noisy, loud) 혹은 들레다(야단스럽게 떠들다)는 의미이다.
o 頁 머리 혈은 사람의 머리이다.
o 嚻 떠들썩할 효는 같은 글자이다.
o 嚣는 간체자이다.
嘂 크게 부르짖을 규 《說文》 高聲也。一曰大呼也。从㗊丩聲。《春秋公羊傳》曰 :魯昭公叫然而哭。
o 큰 소리이다.
o 일설은 크게 부르짖는 소리(cry loudly, yell, scream)라고 본다.
o 㗊 뭇입 집을 따르고, 丩 얽힐 구는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o 《春秋公羊傳》(春秋公羊傳)에서 이르기를 노소공규연이곡(魯昭公叫然而哭)이라 한다.
o 고대중국에서 사용한 대훈(大塤), 즉 질나발이라는 악기를 의미하기도 한다.
o 叫 부르짖을 규는 같은 글자이다.
嚾 부를 환 《說文》 呼也。从㗊萈聲。讀若讙。
o 부르다.
o 㗊 뭇입 집을 따르고, 萈 뿔이 가는 산양 환은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o 讙 시끄러울 환과 같게 발음한다.
器 그릇 기 《說文》 皿也。象器之口,犬所以守之。
o 그릇(皿 device, tool, utensil, ware)을 가리킨다.
o 그릇의 주둥이(口)를 나타내고, 개가 그릇을 지키고 있다.
o 器는 네 개의 口 입 구와 犬 개 견(dog)으로 구성된다.
o 器는 吅犬吅, 즉 吅 부르짖을 훤과 犬 개 견, 吅 부르짖을 훤으로 구성된다고 볼 수도 있다.
o 器는 哭吅, 즉 哭 울곡과 吅 부르짖을 훤으로 구성된다고 볼 수도 있다.
o 옹기장이(大 man)가 지게로 옹기(ㅂ earthenware)를 지고 가는 모양을 상형한다고 볼 수 있다.
o 器 그릇 기는 일본에서 사용되는 신자체이며, 중앙에 犬 개 견이 들어가지 않고 大 큰 대가 들어간다.
o 噐 그릇 기도 동음동의이다.
[English] jí
Many mouths
clamors
(obsolete) porphine
[참고] 다섯 개의 口 입 구가 들어간 글자
o 口口口口口, 즉 다섯 개의 口 입 구로 구성된다.
o 고문에서 要 [yào] 요긴할 요와 같은 글자라 한다.
o 嚚 [yín] 어리석을 은과 동자(同字)이다.
o 《字彙補》 古文要字。
o 囗口口口口, 즉 囗 에워쌀 위와 네 개의 口 입 구로 구성된다.
o 玉 [yù] 구슬 옥과 같게 발음한다.
o 見 볼 견과 같은 의미라고 한다.
o 《類篇》 音玉。《字彙補 口部》 見。
'第三' 카테고리의 다른 글
50. 㕯 말 더듬을 눌 (0) | 2021.06.15 |
---|---|
49. 只 다만 지 (0) | 2021.06.15 |
48. 谷 계곡 곡 (0) | 2021.06.15 |
47. 干 방패 간 (0) | 2021.06.15 |
46. 舌 혀 설 (0) | 2021.06.1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