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第五

190. 京 서울 경

by kimlaw 2021. 7. 10.

《說文》 人所爲絕高丘也。从高省,丨象高形。
o 사람이 인공적으로 쌓은 매우 높은 언덕(artificial tall mound)을 가리킨다.

서울

o 高 높을 고의 생략형을 따르고, 丨뚫을 곤은 높은 모양을 나타낸다.

설문해자

o 갑골문이나 금문을 보면 높은 구릉 위에 건물이 있는 모양을 나타낸다.

周中
春秋
周晩
상-은허갑골문

o 설문해자는 高 높을 고에서 밑에 있는 口 입 구가 丨 뚫을 곤으로 생략된 글자라고 본다( the lower 口 is reduced to 丨).
o 京은 亠口小, 즉 亠 돼지해머리 두와 口 입구, 小 작을 소로 구성된다.
o 亰 서울 경은 같은 글자이다.
o 강희자전에서는 부수가 아니고, 京의 부수는 亠(돼지해머리)이다.

[京部]
就 이룰 취, 나아갈 취, 관대할 여 《說文》 就,高也。从京从尤。尤,異於凡也。
o 높다(Shuowen defines it as meaning "high").
o 앞으로 나아가다(move towards).
o 京 서울 경을 따르고, 尤 더욱 우를 따른다.

설문해자

o 회의문자이다.
o 尤 더욱 우는 특별하며 평범과는 다르다는 의미이다.
o 금문을 보면 홍수의 범람을 피하여 특별히 높은 구릉에 도착하여(reach, arrive at, move to highland) 거기에 주거를 정하고 산다는 의미로 볼 수 있다.

商代
周中
周晩

o 강희자전에서 부수는 尢(절름발이왕)이다.

[京(서울 경)이 자부로 들어간 글자]
倞 셀 경, 밝을 량(양) 凉 서늘할 량(양) 惊 슬플 량(양), 놀랄 경 掠 노략질할 략(약) 弶 창애 강, 창애 양 涼 서늘할 량(양) 猄 짐승 이름 경 婛 여자의 자 경 𠶛 미상 𡌿 미상 𡹡 미상 琼 구슬 경 晾 쪼일 량(양) 椋 푸조나무 양(량) 㹁 얼룩소 량(양) 稤 창고 수, 숙궁 숙, 노략질할 략(약), 저울 칭 䁁 눈병 날 량(양) 䃄 미상 綡 수건 량(양) 翞 까치 걷는 모양 강 諒(谅) 살펴 알 량(양), 믿을 량(양) 輬(辌) 와거 량(양) 䝶 구실 량(양) 䣼 음료 량(양) 𨂙 미상 鍄 땅 이름 경 鯨(鲸) 고래 경 黥 자자할 경
剠 자자할 경, 노략질할 략(약), 취할 량(양) 勍 셀 경 就 나아갈 취, 관대할 여 日就月將(일취월장) 鶁 새 이름 경
𡹞 미상 景 볕 경, 그림자 영
麖 큰 사슴 경

[English] jīng
the capital ( of a country )
metropolis
great, greatness
whale 鯨魚 鲸鱼

고래

Jing 京 – 북경 혹은 남경의 약칭

베이징(北京)
南京夫子廟(남경부자묘)

'第五' 카테고리의 다른 글

192. 㫗 두터울 후  (0) 2021.07.10
191. 亯 드릴 향  (0) 2021.07.10
189. 郭 성곽 곽, 외성 곽  (0) 2021.07.10
188. 冂 멀 경  (0) 2021.07.10
187. 高 높을 고  (0) 2021.07.10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