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說文》 崇也。象臺觀高之形。从冂、口。與倉、舍同意。
o 높다.
o 사람(人)이 크고 높게 지은 정자나 누각(冂)에 올라 멀리 바라보는 모양을 본뜬 글자이다.
o 높이 솟은 누각(樓閣)을 본뜬 글자로도 볼 수 있다.
o 冂 멀 경, 口 입 구를 따른다.
o 회의문자이다.
o 설문해자는 倉 곳집 창、舍 집 사와 같은 의미라고 한다.
o 髙 높을 고도 같은 글자이다.
o 일본에서는 髙 높을 고는 はしご髙(사다리고)라 부르고, 高 높을 고는 くち高(입고)라 부른다.
o 高는 亠口冋, 즉 亠 돼지해머리 두와 口 입 구, 冋 들 경으로 구성된다.
o 부수명칭은 「높을고」이다.
0 부수명칭을 일본에서는 たかい라 하며, 영어로는 radical tall이라 한다.
[高部]
䯧 원두막 경 《說文》 小堂也。从高省,冋聲。
o 작은 집을 가리킨다.
o 高 높을 고의 생략형을 따르고, 冋 들 경은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o 䯧는 亠口冖冋, 즉 亠 돼지해머리 두와 口 입 구, 冖 덮을 멱, 冋 들 경으로 구성된다.
o 廎 원두막 경도 같은 의미이다.
亭 정자 정 《說文》 民所安定也。亭有樓,从高省,丁聲。
o 백성이 편안하게 머무르는 장소를 가리킨다.
o 정자에는 다락이 있다.
o 高 높을 고의 생략형을 따르고, 丁 고무래 정은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o 亭은 亠口冖丁, 즉 亠 돼지해머리 두와 口 입 구, 冖 덮을 멱, 丁 고무래 정으로 구성된다.
o 𠅘 정자 정도 같은 글자이다.
亳 [bó] 땅 이름 박 《說文》 京兆杜陵亭也。从高省,乇聲。
o 경조(京兆 한나라의 수도인 장안) 두릉(杜陵)에 있는 정자를 가리킨다.
o 高 높을 고의 생략형을 따르고, 乇 부탁할 탁은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o 고대중국에서 도읍의 이름(Bocapital)이다.
[高(높을고)가 부수로 들어간 글자]
稿 볏집 고 槁 마를 고 暠 휠 고 搞 옆으로 칠 고 熇 마를 고, 뜨거울 훅, 불꽂 성할 학 槀 마를 고 嚆 물릴 효 歊 김이 오를 효 鎬 호경 호 縞 명주 호 蒿 쑥 호 滈 장마 호 皜 휠 호 鰝 왕새우 호
[高(높을 고)가 자부로 들어간 글자]
傐 땅 이름 호 嗃 엄할 학, 큰소리로 외칠 효 嗃矢(효시) 塙 자갈땅 고, 자갈땅 교, 단단할 각, 굳을 확 嵪 산 험할 고 搞 칠 고 滈 장마 호, 솟는 모양 학 䧚 읍 이름 호 𢲤 미상 𣉞 흴 고 槁 마를 고 槁木(고목) 熇 뜨거운 모양 효, 뜨거울 혹, 불꽃 일 학, 불 쬘 고 犒 호궤할 호 禞 빌 고 䐧 호궤할 호, 호궤할 고, 고깃국 학 皜 흴 호 皜皜白髮(호호백발) 碻 굳을 확, 고르지 않은 모양 교 稿 볏짚 고, 원고 고 縞(缟) 명주 호 謞 간특할 학, 부르짖을 효 鎬(镐) 땅 이름 호 䮦 말 교 髇 우는 살 효 鰝 왕새우 호
𠞟 미상 鄗 땅 이름 호, 땅 이름 학, 산 이름 교 敲 두드릴 고, 두드릴 교 敲氷求火(고빙구화) 鳥宿池邊樹, 僧敲月下門(조숙지변수, 승고월하문) 㪣 후려칠 고, 오를 효 歊 오를 효, 오를 혹 毃 두드릴 각, 두드릴 고 鶮 학 학, 땅 이름 혹
㙜 대 대 槀 마를 고, 위로할 호 稾 볏짚 고 膏 기름 고
嵩 높은 산 숭 蒿 쑥 호, 짚 고 暠 흴 고, 흴 호 篙 상앗대 고 翯 함치르르할 학, 흰 깃 혹
㾸 옴 고
䬘 바람 부는 모양 효
[English] gāo
high
tall
of a high level or degree
above the average
lofty
elevated
high moral standing, noble person
a Korean family name
'第五' 카테고리의 다른 글
189. 郭 성곽 곽, 외성 곽 (0) | 2021.07.10 |
---|---|
188. 冂 멀 경 (0) | 2021.07.10 |
186. 矢 화살 시 (0) | 2021.07.10 |
185. 缶 장군 부 (0) | 2021.07.09 |
184. 入 들 입 (0) | 2021.07.0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