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說文》 厚也。从反亯。
o 두텁다.
o 亯 누릴 향이 거꾸로 된 모양이다.
o 㫗는 日子, 즉 日 날 일과 子 아들 자로 구성된다.
o 厚 두터울 후와 동음동의이다.
o 강희자전에서는 부수가 아니고, 㫗의 부수는 日(날일)이다.
[㫗部]
覃 미칠 담 《說文》 長味也。从㫗,鹹省聲。《詩》曰 : 實覃實吁。
o 깊고 오래가는 맛을 뜻한다.
o 㫗 두터울 후를 따르고, 鹹 짤 함의 생략형은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o 금문에서는 단지(㫗 jug) 위에 소금(鹵)이 놓여 있는 모양이고, 본래는 부패하기 쉬운 음식 따위를 소금에 절여 단지 안에 담아둔다는 의미이다.
o 소전(小篆)에서는 鹵 소금 로와 㫗 두터울 후를 따른다.
o 鹵 소금 로와 早 이를 조를 따르기도 한다.
o 《시경》(詩經)에서 이르기를 실담실우(實覃實吁)라고 한다.
o 담은(覃恩)은 널리 은혜를 베푼다(widely bestow)는 의미이다.
厚 두터울 후 《說文》 山陵之厚也。从㫗从厂。
o 산과 언덕이 굳고 깊다.
o 㫗 두터울 후를 따르고, 厂 기슭 엄을 따른다.
o 회의문자이다.
o 厚는 厂日子, 즉 厂 기슭 엄과 日 해 일, 子 아들 자로 구성된다.
o 厂 기슭 엄을 따르므로, 산이나 언덕과 관계가 있고, 땅의 두께가 두껍다(地壳厚 thick of the earth’s crust)는 의미이다.
o 薄 엷을 박은 상대되는 글자이다.
o 垕 두터울 후는 고자(古字)이다.
[English] hòu
thick (same as 厚)
thickness
deep friendship
treat kindly
generous
substantial
kind
considerate
virtuous
[참고한자] 厂广疒
厂 기슭 엄, 굴바위 엄 [민엄호] 《說文》 山石之厓巖,人可居。象形。
厚 두터울 후 原 근원 원 厓 언덕 애, 낭떠러지 애 厭 싫을 염
广 집 엄 [엄호] 《說文》 因广爲屋,象對剌高屋之形。
廣 넓을 광 庵 암자 암
疒 병들어 기댈 녁(역), 병들어 기댈 상 [병질엄] 《說文》 倚也。人有疾病,象倚箸之形
病 병 병 疾 병 질 痛 아플 통 疫 전염병 역
'第五' 카테고리의 다른 글
194. 㐭 곳집 름 (0) | 2021.07.10 |
---|---|
193. 畐 가득할 복 (0) | 2021.07.10 |
191. 亯 드릴 향 (0) | 2021.07.10 |
190. 京 서울 경 (0) | 2021.07.10 |
189. 郭 성곽 곽, 외성 곽 (0) | 2021.07.1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