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당상식27 파자(破字)하여 사람의 나이를 가리키는 한자 ▮ 瓜年(과년), 破瓜之年(파과지년) o 瓜 오이 과의 자획을 풀어서 나누면 八八이 된다. o 八 여덟 팔이 두 개이므로 더하여(八+八) 16세를 가리키며, 16세이면 혼기에 이른 처녀라고 하여 과년(瓜年) 혹은 파과지년(破瓜之年)이라 한다. ▮ 桑年(상년) o 桒 뽕나무 상은 桑 뽕나무 상의 속자(俗字)이며, 桒 뽕나무 상은 위에 𠦄 서른 삽이 있고 아래에 木 나무 목이 있다. o 다시 𠦄 서른 삽은 자획을 풀어서 나누면 十이 세 개(十十十), 木 나무 목은 파자하면 十八이 되어 모두 十十十十八, 즉 48이 되므로 48세를 상년(桑年)이라 부른다. ▮ 華甲(화갑) o 華 꽃 화를 파자하면 十 열 십이 여섯 개이고, 一 한 일이 되어 총 61이 된다. o 61세를 화갑(華甲)이라 한다. ▮ 破瓜(파과) .. 2022. 12. 30. 중국의 왕조 중국역사에서 흥망성쇠를 거듭한 왕조는 이루 헤아릴 수 없이 많다. 삼황오제와 같이 중국고대신화에 나오는 전설상의 황제나 임금이 지배한 국가도 있다. Dynasties in Chinese history ▮ 하(夏 Xia) 2070 – 1600 B.C.E. ▮ 상(商 Shang), 은(殷 Yin) 1600 – 1046 B.C.E. ▮ 주(周 Zhou) 1046 – 256 B.C.E. ▯ 서주(西周 Western Zhou) ▯ 동주(東周 Eastern Zhou) ▮ 춘추전국(春秋戰國 Spring and Autumn period and Warring States period) 770 – 221 B.C.E. ▯ 춘추(春秋 Spring and Autumn period) 770 – 476 B.C.E. 주요국가 - 제.. 2022. 12. 29. 한자부수의 이해 한자의 부수를 결정하는 기준이 뚜렷하지는 않다. 어떤 한자를 어느 부수에 배치하는지는 각 자전마다 차이가 있고, 항상 일치하지는 아니한다. 각 자전이 각 부수에 해당하는 한자를 배치한 이유나 근거가 확실히 밝혀져 있지도 않다. 다만 원칙적으로는 어떤 한자가 형성문자인지, 회의문자인지, 상형문자인지, 지사문자인지에 따라서 부수를 결정하는 기준이 달라진다고 볼 수 있다. 六書(육서) 육서(六書 six types of Han characters)란 한자가 만들어진 원리를 설명하는 여섯 가지 방법을 가리킨다. 후한(後漢)의 허신(許愼)이 설문해자(說文解字)에서 정리한 내용에 의하면 모양(形), 소리(音), hanzischool.tistory.com ▯ 형성문자 형성문자는 한자의 90% 이상을 차지하며, 의미를 .. 2022. 12. 25. 한자의 부수 한자에는 부수(部首 radical in Chinese characters)가 있다. 부수는 한자를 정리하고 배열하기 위한 방법으로 사용된다. 보통 각 한자로부터 그 구성요소를 분리하고, 뜻을 나타내는 부분이 같은 글자를 모아 그 뜻을 나타내는 부분을 부수로 삼는다. 한자부수의 이해 한자의 부수를 결정하는 기준이 뚜렷하지는 않다. 어떤 한자를 어느 부수에 배치하는지는 각 자전마다 차이가 있고, 항상 일치하지는 아니한다. 각 자전이 각 부수에 해당하는 한자를 배치한 이 hanzischool.tistory.com 한자부수의 종류 한자부수는 글자의 어느 위치에 놓이는가에 따라서 그 명칭이 다르다. 「변」, 「방」, 「머리」, 「발」, 「받침」, 「엄」 혹은 「엄호」, 「몸」 혹은 「에운담」, 「제 부수」의 여덟.. 2022. 12. 25. 이전 1 2 3 4 5 6 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