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당상식27 二疊字(이첩자) 같은 글자가 합하여 만들어진 쌍둥이 한자를 첩자(疊字)라 하고, 같은 글자가 두 개 합하여 만들어진 한자를 이첩자(二疊字 duplication)라 한다. 이첩자(二疊字)는 좌우상하첩자(左右上下疊字), 상하첩자(上下疊字), 좌우첩자(左右疊字), 좌우대칭첩자(左右對稱疊字)로 구분된다. ① 左右上下疊字 ▮ 䲆𩺰 䲆 물고기 두 마리 어 𩺰 물고기 두 마리 어 ▮ 吅吕 吅 부르짖을 훤, 엄할 엄 吕 성씨 려 ▮ 昍昌 昍 밝을 훤 昌 창성할 창 ▮ 炏炎 炏 불꽃 개 炎 불꽃 염 ▮ 从仌 从 쫓을 종 仌 얼음 빙 ▮ 厸㕕 厸 이웃 린 㕕 헛보일 환 ▮ 双㕛 双 두 쌍 㕛 벗 우 ▮ 奻㚣 奻 송사 난 㚣 아리따울 교 ▮ 騳𩥋 騳 말 달릴 독 𩥋 가지런히 달리지 못할 우, 어지러이 달릴 우 ▮ 棘棗 棘 가시나무 극 棗 .. 2023. 1. 24. 중국에서 획이 가장 많은 한자 o 穴月幺言幺長馬長刂心辶으로 구성된다. o 국수요리 뱡 [biáng] (총 57획) belt noodle o 중국 산시성(陝西省 섬서성)에 가면 유명한 국수요리로 뱡뱡면(biángbiáng面)이 있다(면발의 넓이가 2-5cm 정도로 넓다). o 글자가 생긴 유래가 재미있다. 어느 날 한 도사가 중국 산시성에 있는 조그마한 식당에 들어와 국수를 시킨다. 국수를 다 먹은 도사가 주인에게 국수요리의 이름이 무엇이냐고 묻는다. 주인은 특별한 이름이 없다고 대답한다. 도사는 잠깐 생각하더니 종이 위에 복잡한 글자를 써서 주인에게 주면서 국수값이 없으니 글자로 갈음하자고 한다. 도사가 주인에게 써준 글자가 바로 국수요리 뱡이라는 글자라 하며, 이후 그 국수요리를 뱡뱡면이라 부르게 된다. o 중국에서는 재미삼아 국수.. 2023. 1. 23. 한자부수의 종류 한자부수는 글자의 어느 위치에 놓이는가에 따라서 그 명칭이 다르다. 「변」, 「방」, 「머리」, 「발」, 「받침」, 「엄」 혹은 「엄호」, 「몸」 혹은 「에운담」, 「제부수」의 여덟 가지로 분류된다. ① 변(邊) left radical 부수가 글자의 왼쪽에 있는 경우를 변이라 한다. 왼쪽이 부수이다. 인변 亻(人) 仁 어질 인 仙 신선 선 任 맡길 임 두인변 彳 役 부릴 역 往 갈 왕 待 기다릴 대 심방변 忄(心) 忙 바쁠 망 快 쾌할 쾌 怖 두려워할 포 재방변 扌(手) 扶 도울 부 指 손가락 지 持 가질 지 삼수변 氵(水) 江 강 강 河 강 이름 하 海 바다 해 옷의변 衤(衣) 衫 적삼 삼 袖 소매 수 被 이불 피 좌부변 ⻏ (阜) 防 막을 방 阿 언덕 아 陸 뭍 륙(육) 隣 이웃 린 참고로 阜 언덕 .. 2023. 1. 19. 서예법서 □ 전서(篆書) 석고문(周), 태산각석(秦 이사), 낭아대각석(秦 이사), 회계각석(秦 이사), 역산각석(秦 이사), 백씨초당기(청 등석여), 반야심경(청 오창석) □ 예서(隸書) 조전비(후한), 예기비(후한), 사신비(후한), 을영비(후한), 장천비, 서협송, 석문송, 광개토대왕비 □ 해서(楷書) 구성궁예천명(당 구양순), 안근례비(당 안진경), 안씨가묘비(당 안진경), 다보탑비(당 안진경), 용문 20품(용문석굴), 장맹룡비(북위) □ 행서(行書) 집자성교서, 흥복사단비, 난정서(晉 왕희지) 왕희지(王羲之) 왕희지(303-361)는 서성(書聖)으로 칭송을 받는 동진(东晋)의 서예가이다. 총 324글자의 행서로 쓴 《兰亭序》(난정서)는 천하제일행서(天下第一行书)라고 한다. 대표작으로는 행서에서는 난정서.. 2023. 1. 11. 이전 1 2 3 4 5 6 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