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t1.daumcdn.net/tistory_admin/static/images/no-image-v1.png)
□ 전서(篆書)
석고문(周), 태산각석(秦 이사), 낭아대각석(秦 이사), 회계각석(秦 이사), 역산각석(秦 이사), 백씨초당기(청 등석여), 반야심경(청 오창석)
![](http://t1.daumcdn.net/tistory_admin/static/images/no-image-v1.png)
![](http://t1.daumcdn.net/tistory_admin/static/images/no-image-v1.png)
![](http://t1.daumcdn.net/tistory_admin/static/images/no-image-v1.png)
![](http://t1.daumcdn.net/tistory_admin/static/images/no-image-v1.png)
□ 예서(隸書)
조전비(후한), 예기비(후한), 사신비(후한), 을영비(후한), 장천비, 서협송, 석문송, 광개토대왕비
![](http://t1.daumcdn.net/tistory_admin/static/images/no-image-v1.png)
![](http://t1.daumcdn.net/tistory_admin/static/images/no-image-v1.png)
□ 해서(楷書)
구성궁예천명(당 구양순), 안근례비(당 안진경), 안씨가묘비(당 안진경), 다보탑비(당 안진경), 용문 20품(용문석굴), 장맹룡비(북위)
![](https://blog.kakaocdn.net/dn/bc8bay/btrVZ6XoW9L/3PiE1tG5Ickh86rLXmsHN0/img.jpg)
![](https://blog.kakaocdn.net/dn/bYwhqr/btrVUxpdifD/H2HCUXuvF8K08ItOGFZlj0/img.jpg)
□ 행서(行書)
집자성교서, 흥복사단비, 난정서(晉 왕희지)
![](https://blog.kakaocdn.net/dn/bv0sHX/btrVU9O8tXs/PbH74yWU9OzNXSGaujF8vk/img.jpg)
왕희지(王羲之)
왕희지(303-361)는 서성(書聖)으로 칭송을 받는 동진(东晋)의 서예가이다. 총 324글자의 행서로 쓴 《兰亭序》(난정서)는 천하제일행서(天下第一行书)라고 한다. 대표작으로는 행서에서는 난정서
hanzischool.tistory.com
□ 초서(草書)
서보(당 손과정), 십칠첩(晉 왕희지)
![](https://blog.kakaocdn.net/dn/dwDUru/btrVZH4Wv2d/6l2KyMzrB8XNo7kXmOcFK0/img.jpg)
한자의 서체
五體(오체) 한자의 서체(書體)에는 오체가 있다. 전서, 예서, 해서, 행서, 초서가 바로 오체이다. 물론 진(秦)나라를 전후로 쓰여진 전서 이전에도 주로 은나라에서 쓰여진 갑골문(甲骨文)이나 주(
hanzischool.tistory.com
'서당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중국에서 획이 가장 많은 한자 (2) | 2023.01.23 |
---|---|
한자부수의 종류 (3) | 2023.01.19 |
파자(破字)하여 사람의 나이를 가리키는 한자 (1) | 2022.12.30 |
중국의 왕조 (0) | 2022.12.29 |
한자부수의 이해 (1) | 2022.12.2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