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第十二

439. 耳 귀 이

by kimlaw 2021. 9. 25.

《說文》 主聽也。象形。
o 청각을 주관하는 기관이다.

o 상형문자이고, 사람의 귀를 상형한다.

商-殷墟甲骨文
설문해자

o 금문에서는 귀의 내부를 더 자세하게 묘사한 글자도 있다.

商代
周中

o 부수명칭은 「귀이」라고 한다.
o 부수명칭을 일본에서는 みみ(耳), みみへん(耳偏)이라 하고, 영어로는 radical ear라 한다.

[耳部]
𦔮 늘어진 귀 의 《說文》 耳垂也。从耳下垂。象形。《春秋傳》曰 「秦公子輒」者,其耳下垂,故以為名。
𦕒 조금 늘어진 귀 점 《說文》 小垂耳也。从耳占聲。
耽 즐길 탐, 즐길 담 《說文》 耳大垂也。从耳冘聲。《詩》曰 : 士之耽兮。
o 귀가 아래로 길게 늘어지다.
o 耳 귀 이를 따르고, 冘 망설일 유는 성부이다.

설문해자

o 형성문자이다.
o 《시경》에서 이르기를 사지탐혜(士之耽兮)라 한다.
《詩經》 士之耽兮, 猶可說也。女之耽兮, 不可說也。
《시경》 사지탐혜, 유가설야。여지탐혜, 불가설야。
사내는 놀아나도 할 말이 있으나, 여자는 놀아나면 할 말이 없다.
耼 귓바퀴 없을 담 《說文》 耳曼也。从耳冉聲。

o 귀가 축 늘어지고 크다(耳如引之而大也)..

o 귓바퀴가 없다(ears without rim).

o 耳 귀 이를 따르고, 冉 나아갈 염은 성부이다.

설문해자

o 형성문자이다.

o 聃 귓바퀴 없을 담은 같은 글자이다.

聸 귀 처질 담 《說文》 垂耳也。从耳詹聲。南方聸耳之國。

o 귀가 처지다.

o 耳 귀 이를 따르고, 詹 넉넉할 담은 성부이다.

설문해자

o 형성문자이다.

o 남방에 담이(聸耳)라고 하는 나라가 있다.

耿 빛날 경, 빛 경 《說文》 耳箸頰也。从耳,烓省聲。杜林說 : 耿,光也。从光,聖省。凡字皆左形右聲。杜林非也。

o 귀가 뺨에 가까이 붙어있다(ears kept close to the cheek).

o 귀 이를 따르고, 화덕 계의 생략형은 성부이다.

설문해자

o 형성문자이다.

o 두림(杜林)빛 경으로도 쓰고, 빛 광도 같은 글자라고 본다.

o 빛 광, 성스러울 성의 생략형을 따른다.

周晩
周晩

o 火 불 화를 따른다고 보기도 한다.

o 두림은 한자는 모두 좌측에 형부()가 있고, 우측이 성부(聲部)라고 설명하나, 옳지 않다.

《說文解字注》徐鍇曰 : 凡字多右形左聲,此說或後人所加,或傳寫之誤。

《설문해자주》서개왈 : 범자다우형좌성,차설혹후인소가,혹전사지오。

o 빛날 경(bright)으로도 쓰고, 빛날 형과 같은 글자이다.

o 耿는 耳火, 즉 耳 귀 이와 火 불 화로 구성된다.

聯 잇닿을 련(연), 연이을 련(연) 《說文》 連也。从耳,耳連於頰也;从絲,絲連不絕也。
o 잇닿다.
o 耳 귀 이를 따르고, 귀가 볼(빰)에 이어져 있다는 의미이다.
o 絲 실 사를 따르고, 絲 실 사는 끓어지지 않고 이어져 있다는 의미이다.

설문해자

o 회의문자이다.
o 갑골문이나 금문을 보면 귀(耳)에 장식을 가리키는 糸 가는 실 멱이 달린 모양을 나타낸다.

상-은허갑골문
周中

o 䏈 연이을 련 聨 연이을 련 聮 연이을 련은 같은 글자이다.
o 聫 잇닿을 련은 같은 글자이다.
o 联는 간체자이다.
聊 애오라지 료(요) 《說文》 耳鳴也。从耳卯聲。마음에 부족하나마 겨우(애오라지) only
聖 성스러울 성, 성인 성 《說文》 通也。从耳呈聲。
o 두루 알다(proficient), 즉 사물의 이치에 깊이 통하다.
o 耳 귀 이를 따르고, 呈 드릴 정은 성부이다.

설문해자

o 형성문자이다.
o 갑골문이나 금문에서는 人 사람 인 위에 큰 귀(耳)가 있고, 그 아래에 口 입 구가 있다.

상-은허갑골문
周晩

o 귀로 다른 사람이 하는 말(口)을 잘 들어야 하고, 귀가 입보다 위에 있거나 훨씬 크므로 “귀는 크게 열고 입은 작게 열어야 한다”는 속담과 같이 귀는 크게 열어 다른 사람의 의견을 경청하여야 하지만 말은 될 수 있는 한 삼가하여야 한다는 의미이다.
o 垩 성인 성 琞 성인 성은 같은 글자이다.
o 圣는 간체자이다.
聰 귀 밝을 총 《說文》 察也。从耳怱聲。
o 살펴서 알다.
o 耳 귀 이를 따르고, 怱 바쁠 총은 성부이다.

설문해자

o 형성문자이다.
o 聡 귀 밝을 총 聦 귀 밝을 총은 같은 글자이다.
o 聪은 간체자이다.
聽 들을 청, 허락할 청 《說文》 聆也。从耳、㥁,壬聲。
o 듣다(listen, hear).
o 耳 귀 이, 㥁 클 덕을 따르고, 壬 북방 임은 성부이다.

설문해자

o 형성문자이다.
o 갑골문을 보면 耳 귀 이와 口 입 구로 구성되고, 입으로 하는 말을 귀로 듣고 있다는 의미이다.

상-은허갑골문
상-은허갑골문

o 금문도 역시 耳 귀 이와 口 입 구로 구성되고 말하는 입(口)이 귀(耳)에 더 가까이 있으므로, 말을 귀기울려 주의깊게 듣고 있다는 의미이다.

商代

o 聴 들을 청 聼 들을 청은 같은 글자이다.
o 听은 간체자이다.
聆 들을 령(영) 《說文》 聽也。从耳令聲。
職 벼슬 직, 직분 직 《說文》 記微也。从耳戠聲。
o 자세하고 꼼꼼하게 기록하다.
o 耳 귀 이를 따르고, 戠 모일 직은 성부이다.

戰國
설문해자

o 형성문자이다.
o 聀 직분 직 軄 직분 직은 같은 글자이다.
o 职는 간체자이다.
聒 떠들썩할 괄 《說文》 驩語也。从耳𠯑聲。
聥 소리 듣고 놀랄 구 《說文》 張耳有所聞也。从耳禹聲。
聲 소리 성 《說文》 音也。从耳殸聲。殸,籒文磬。
o 소리(sound, voice)를 가리킨다.
o 耳 귀 이를 따르고, 殸 소리 성은 성부이다.

설문해자

o 형성문자이다.
o 殸 소리 성은 주문(籒文)으로 磬 경쇠 경과 같은 글자이다.
o 갑골문에서는 위에 넓적한 옥돌을 매달아 놓고, 망치로 치는 편경(編磬)이라는 악기를 나타내고, 그 아래에는 편경에서 울리는 소리를 듣는 귀가 있는 모양을 나타낸다.

상-은허갑골문
편경

o 갑골문을 보면 좌측에 매달려 있는 경석(磬石)이 있고, 우측에는 편경에 매달린 경석을 치는 망치를 손에 들고 있는 모양(殳)을 나타내며, 아래에는 耳 귀 이와 口 입 구가 있으므로, 손에 망치를 들고 가락에 맞추어 편경을 두드려 울리는 소리(口)를 귀(耳)로 듣다는 의미가 된다.

상-은허갑골문

o 声은 간체자이다.
聞 들을 문, 들릴 문 《說文》 知聞也。从耳門聲。
o 들어 알다.
o 耳 귀 이를 따르고, 門 문 문은 성부이다.

설문해자

o 형성문자이다.
o 갑골문이나 금문을 보면 다리를 굽혀 쪼그리고 앉은 사람이 귀를 쫑긋 세우고 있는 모습을 나타낸다.

상-은허갑골문
商代

o 䎹 들을 문 䎽 들을 문은 같은 글자이다.
o 闻는 간체자이다.
聘 부를 빙, 찾아갈 빙 《說文》 訪也。从耳甹聲。
o 찾아가다.
o 耳 귀 이를 따르고, 甹 말 잴 병은 성부이다.

설문해자

o 형성문자이다.
聾 귀머거리 롱(농), 귀먹을 롱(농) 《說文》 無聞也。从耳龍聲。
o 들을 수 없다(deaf).
o 耳 귀 이를 따르고, 龍 용 룡은 성부이다.

설문해자

o 형성문자이다.
o 갑골문이나 금문에서도 龍 용 룡과 耳 귀 이로 구성되고, 본래 龍 용 룡은 춘분이 되면 풍우가 몰아칠 때에 하늘에서 땅으로 내려오는 전설상의 동물이라고 하며, 춘분시기에 들리는 뇌성(雷聲)은 용이 하늘로부터 땅으로 내려오면서 울부짖는 울음소리라고 알려져 있으므로, 본래는 청각의 장애로 인하여 들을 수 없으나, 용이 하늘에서 내려오면서 울부짖는 울음소리는 귀를 크게 하면 들 수 있다는 의미이다.

상-은허갑골문
周中

o 䏊 귀 먹을 롱은 같은 글자이다.
o 聋은 간체자이다.
𢕈 태어나 귀 먹을 송 《說文》 生而聾曰聳。从耳,從省聲。
䏁 가는 귀 먹을재 《說文》 益梁之州謂聾為䏁,秦晉聽而不聞,聞而不達謂之䏁。从耳宰聲。
o 익량(益梁)의 고을에서는 聾 귀먹을 롱을 䏁 가는 귀 먹을 재라고 한다.
o 진(秦)나라와 진(晉)나라에서는 듣고도 소리가 들리지 않거나, 소리가 들리기는 하지만 헤아리지 못하는 경우(unable to hear distinctly or clearly)를 가리켜 䏁 가는 귀 먹을 재라고 한다.
o 耳 귀 이를 따르고, 宰 벼슬아치 재는 성부이다.

설문해자

o 형성문자이다.
聵 배냇귀머거리 외, 귀머거리 회 《說文》 聾也。从耳貴聲。
o 태어날 때부터 선천성 귀머거리(生而聾 deaf)를 가리킨다.
o 耳 귀 이를 따르고, 貴 귀할 귀는 성부이다.

설문해자

o 형성문자이다.
o 䠿 귀머거리 외는 같은 글자이다.
o 聩는 간체자이다.
聉 무지할 왈, 듣지 못할 달 《說文》 無知意也。从耳出聲。讀若孽。
o 의미를 알지 못하다.
o 耳 귀 이를 따르고, 出 날 출은 성부이다.

설문해자

o 형성문자이다.
o 孽 서자 얼과 같게 발음한다.
𦘍 귀머거리 얼 《說文》 吳楚之外,凡無耳者謂之𦘍。言若斷耳為盟。从耳闋聲。
聅 귀 꿰매는 형벌 철 《說文》 軍法以矢貫耳也。从耳从矢。《司馬法》曰 : 小罪聅,中罪刖,大罪剄。
o 군법에 의하여 귀를 화살로 궤매는 형벌을 가리킨다.
o 耳 귀 이를 따르고, 矢 화살 시를 따른다.

설문해자

o 회의문자이다.
o 금문을 보면 화살이 귀를 관통하여 꿰뚫은 모양을 나타낸다.

周早

o 《사마법》(司馬法)에서 이르기를 경죄에 대한 형벌은 聅 귀 꿰매는 형벌 철이라 하고, 중죄는 刖 벨 월이라 하며, 대죄는 剄 목 벨 경이라 한다.
聝 귀 벨 괵 《說文》 軍戰斷耳也。《春秋傳》曰 : 以為俘聝。 从耳或聲。
o 군대가 싸우는 전투에서 귀를 베다.
o 《춘추전》에서 이르기를 이위부괵(以為俘聝)이라 한다.
o 耳 귀 이를 따르고, 或 혹 혹은 성부이다.

설문해자

o 형성문자이다.
o 䤋 귀 벨 괵은 같은 글자이다.
䎳 귓볼이 떨어질 월 《說文》 𡐦耳也。从耳月聲。
𦗕 말의 귀치장 미 《說文》 乘輿金馬耳也。从耳麻聲。讀若渳水。一曰若《月令》靡草之靡。
耹 소리 금 《說文》 《國語》曰 : 回禄信於耹遂。闕。
聑 편안할 접 《說文》 安也。从二耳。
o 아무 탈 없이 평안히 지내다.
o 두 개의 耳 귀 이를 따른다.

설문해자

o 갑골문이나 금문을 보면 상형문자이고, 좌우 양쪽에 귀가 있는 모양을 상형한다.

상-은허갑골문
商代
商代
商代

聶 소곤거릴 섭 《說文》 附耳私小語也。从三耳。
o 귀에 가까이 대고 작은 소리로 소곤거리다(whisper).
o 세 개의 耳 귀 이를 따른다.

설문해자

o 囁 소곤거릴 섭은 같은 글자이다.
o 聂는 간체자이다.
聱 말을 듣지 아니할 오 《說文》 不聽也。从耳敖聲。
o 말을 듣지 아니하다.
o 耳 귀 이를 따르고, 敖 거만할 오는 성부이다.

설문해자

o 형성문자이다.

[耳(귀이)가 부수로 들어간 글자]
聘 찾아갈 빙 聖 성스러울 성 聞 들을 문 聲 소리 성 職 직분 직 聽 들을 청

[English] ěr
ears
(a phrase-final particle) only / merely

[疊字] 耳聑聶
耳 귀 이
聑 [zhé] 편안할 접
聶(聂) [niè] 소곤거릴 섭

'第十二' 카테고리의 다른 글

441. 手 손 수  (0) 2021.09.25
440. 𦣝 턱 이, 턱 애  (0) 2021.09.25
438. 門 문 문  (0) 2021.09.25
437. 戶 지게 호  (0) 2021.09.24
436. 鹽 소금 염  (0) 2021.09.23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