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第五63

149. 巫 무당 무 《說文》 祝也。女能事無形,以舞降神者也。象人兩褎舞形。與工同意。古者巫咸初作巫。 o 여자무당을 가리킨다. o 무녀는 형체가 없는 무형을 섬겨서 춤으로써 신을 내리게 하는 사람을 말한다. o 사람이 소매를 펄럭이며 춤을 추는 모습을 상형한다. o 상형문자이다. o 巫 무당 무에서 위에 있는 횡선(一)은 하늘(天), 아래의 횡선(一)은 땅(地)을 가리키고, 중앙의 종선(丨)은 하늘로부터 땅으로 신령이 강림한다는 의미이며, 좌우의 사람(人人)은 소매를 펄럭이며 춤을 추면서 신을 부르는 무당을 나타낸다. o 工 장인 공과 글자의 구성원리가 같고, 工 장인 공과 같은 의미이다. o 갑골문이나 금문을 보면 두 개의 工 장인 공을 교차시킨 모양이며, 무녀가 굿을 할 때에 사용한 도구를 상형한다. o 옛날 처음 무당이 된 .. 2021. 7. 6.
148. 㠭 정교할 전, 펼 전 《說文》 極巧視之也。从四工。 o 아주 정교하게 보다. o 네 개의 工 장인 공을 따른다. o 展 펼 전은 같은 글자이다. 《玉篇 㠭部》 㠭,今作展。 《옥편 전부》 전,금작전。 《玉篇》 古文展字。 《옥편》 고문전자。 《六書正譌》 四工有㞡布義,會意。隷作㞡,中从㠭,俗作展。 《육서정와》 사공유전포의,회의。예작전,중종전,속작전。 o 강희자전에서는 부수가 아니고, 㠭의 부수는 工(장인공)이다. [㠭部] 宀㠭廾 막힐 슥 《說文》 窒也。从㠭从廾,窒宀中。㠭猶齊也。 [English] zhǎn watch extremely carefully 2021. 7. 6.
147. 工 장인 공 《說文》 巧飾也。象人有規榘也。與巫同意。 o 정교한 장식을 가리킨다. o 사람이 원과 네모 등을 그릴 때 쓰는 규구(規榘 일종의 자 carpenter's square)를 가지고 있는 모양을 본뜬 글자이다. o 나무나 쇠로 만든 ‘T’와 같은 모양으로 굽은 자, 즉 곱자(曲尺)를 상형한다고 보는 견해도 있다. o 巫 무당 무와 같은 의미이다. o ⼯은 一丄, 즉 一 한 일과 丄 위 상으로 구성된다. o ⼯은 丅一, 즉 丅 아래 하와 一 한 일로 구성된다고 볼 수도 있다. o 㠪 장인 공, 㣉 장인 공은 같은 글자이다. o 부수명칭은 「장인공」이다. o 부수명칭을 일본에서는 こう(工), たくみ(工), たくみへん(工偏)이라 하고, 영어로는 radical work라 한다. [工部] 式 법 식, 악할 특 《說文》 .. 2021. 7. 6.
146. 左 왼 좌 《說文》 手相左助也。从𠂇、工。 o 일을 할 때에 왼손이 일을 도와주다. o 𠂇 왼손 좌(left hand), 工 장인 공(work)을 따른다. o 회의문자이다. o 본래 갑골문(oracle bone script)에서는 𠂇 왼손 좌로만 쓰고, 又 오른손 우(right hand)에 상대된다. o 금문(후기)에서부터 工 장인 공(work)이 밑에 추가된다. o 돕는 사람이 왼쪽에 있다(be on one's left side)는 의미이고, 후에 생긴 佐 도울 좌(assist)의 본자(original form)에 해당한다. o 㔫 왼쪽 좌는 같은 글자이다. o 좌우는 위치이고, 좌는 우에 반대되는 위치이며, 사람이 가는 길은 우측이고 우측은 존중을 의미한다. 《增韻》 左右定位。左,右之對,人道尚右,以右爲尊。 《증운.. 2021. 7.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