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4. 可 옳을 가
《說文》 肎也。从口丂,丂亦聲。 o 긍정하다. 《廣韻》 許可也。 《광운》 허가야。 o 否 아닐 부에 상대되는 글자이다. 《韻會》 否之對。 《운회》 부지대。 0 口 입 구, 丂 공교할 교를 따른다. o 丂 공교할 교는 또한 성부이다. o 회의문자이고, 형성문자이다. o 可는 丁口, 즉 丁 고무래 정과 口 입 구로 구성된다. o 강희자전에서는 부수가 아니고, 可의 부수는 口(입구)이다. [可部] 奇 기이할 기, 홀수 기, 기특할 기, 의지할 의 《說文》 異也。一曰不耦。从大从可。 o 기이하다(strange). o 일설은 짝이 아니고, 홑(odd)이라고 본다. o 大 큰 대를 따르고, 可 옳을 가를 따른다. o 회의문자이다. o 竒 기특할 기, 의지할 의는 같은 글자이다. 哿 좋을 가, 옳을 가 《說文》 可也。从..
2021. 7.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