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第五63

157. 亏 어조사 우, 입김 나올 우 《說文》 於也。象气之舒亏。从丂从一。一者,其气平之也。今變隸作于。 o 어조사이다. o 입김이 나와서 고르게 펴지는 모양을 본뜬 글자이다. o 亏는 一丂, 즉 一 한 일을 따르고, 丂 공교할 교를 따른다. o 一은 입김이 고르게 펴진다는 의미이다. o 亏는 二㇉, 즉 二 두 이와 ㇉ 미상으로 구성된다고 볼 수도 있다. o 于 어조사 우의 고자(古字)라고도 보며, 지금은 예서에서 만든 于 어조사 우를 쓴다. o 虧 이지러질 휴의 간체자이다. o 강희자전에서는 부수가 아니고, 亏의 부수는 二(두이)이다. [亏部] 虧 이지러질 휴 《說文》 气損也。从亏雐聲。 o 기운이 이지러지다(damage of vital energy). o 亏 입김 나올 우(exhale)를 따르고, 雐 새 이름 호는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 2021. 7. 7.
156. 号 부르짖을 호 《說文》 痛聲也。从口在丂上。 o 아파서 부르짖는 소리를 가리킨다. o 丂 공교할 교 위에 口 입 구가 있는 모양을 따른다. o 회의문자이다. o 號 부르짖을 호 譹 부르짖을 호 嚎 울부짖을 호는 같은 글자이다. o 號 부르짖을 호의 고자(古字)이고, 현재는 간체자로 쓴다. o 강희자전에서는 부수가 아니고, 号의 부수는 口(입구)이다. [号部] 號 부를 호, 부르짖을 호, 이름 호 《說文》 呼也。从号从虎。 o 부르짖다(howl, yell). o 号 부를 호를 따르고, 虎 범 호를 따른다. o 회의문자이다. o 호랑이가 크게 울부짖고 있다는 의미이다. o 号 부르짖을 호 嚎 울부짖을 호 虠 범 우는 소리 교 諕 부르짖을 호 譹 부르짖을 호는 같은 글자이다. o 号는 간체자이고, 일본에서 사용하는 신자체(약자.. 2021. 7. 6.
155. 兮 어조사 혜 《說文》 語所稽也。从丂,八象气越亏也。 o 말이 멈출 때에 쓰는 어조사이다. o 丂 공교할 교(fork in a tree)을 따르고, 八 여덟 팔은 기운이 넘어 가는 모양을 상형한다. o 바람(八)이 나무의 가지(丂) 위로 불어 소리(sound)를 낸다는 의미이다. o 본래는 乎 어조사 호와 같은 글자이다. o 강희자전에서는 부수가 아니고, 兮의 부수는 八(여덟팔)이다. [兮部] 𠣬 깜짝 놀라게 하는 말 순 《說文》 驚辭也。从兮旬聲。 羲 숨 희, 북희씨 희 《說文》 气也。从兮義聲。 o 내쉬는 숨(breath, vapor)을 가리킨다. o 고대중국에서 전설상의 제왕(ancient emperor) 복희씨(伏犧氏)를 지칭하고, 여와(女娲), 신농(神农)과 함께 삼황(三皇)에 해당한다. o 兮 어조사 혜를 따르고.. 2021. 7. 6.
154. 可 옳을 가 《說文》 肎也。从口丂,丂亦聲。 o 긍정하다. 《廣韻》 許可也。 《광운》 허가야。 o 否 아닐 부에 상대되는 글자이다. 《韻會》 否之對。 《운회》 부지대。 0 口 입 구, 丂 공교할 교를 따른다. o 丂 공교할 교는 또한 성부이다. o 회의문자이고, 형성문자이다. o 可는 丁口, 즉 丁 고무래 정과 口 입 구로 구성된다. o 강희자전에서는 부수가 아니고, 可의 부수는 口(입구)이다. [可部] 奇 기이할 기, 홀수 기, 기특할 기, 의지할 의 《說文》 異也。一曰不耦。从大从可。 o 기이하다(strange). o 일설은 짝이 아니고, 홑(odd)이라고 본다. o 大 큰 대를 따르고, 可 옳을 가를 따른다. o 회의문자이다. o 竒 기특할 기, 의지할 의는 같은 글자이다. 哿 좋을 가, 옳을 가 《說文》 可也。从.. 2021. 7.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