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說文》 祝也。女能事無形,以舞降神者也。象人兩褎舞形。與工同意。古者巫咸初作巫。
o 여자무당을 가리킨다.
o 무녀는 형체가 없는 무형을 섬겨서 춤으로써 신을 내리게 하는 사람을 말한다.
o 사람이 소매를 펄럭이며 춤을 추는 모습을 상형한다.
o 상형문자이다.
o 巫 무당 무에서 위에 있는 횡선(一)은 하늘(天), 아래의 횡선(一)은 땅(地)을 가리키고, 중앙의 종선(丨)은 하늘로부터 땅으로 신령이 강림한다는 의미이며, 좌우의 사람(人人)은 소매를 펄럭이며 춤을 추면서 신을 부르는 무당을 나타낸다.
o 工 장인 공과 글자의 구성원리가 같고, 工 장인 공과 같은 의미이다.
o 갑골문이나 금문을 보면 두 개의 工 장인 공을 교차시킨 모양이며, 무녀가 굿을 할 때에 사용한 도구를 상형한다.
o 옛날 처음 무당이 된 사람은 무함(巫咸)이다.
o 무당은 통상 여성을 가리키고 무(巫), 무인(巫人), 무녀(巫女), 단골, 심방 등으로 불린다. 남자무당을 가리킬 때에는 격(覡), 박수, 화랭이, 양중 등으로 칭한다.
o 무고(巫蠱)는 무술로써 남을 저주하거나 해코지하는 흑주술(black magic)을 가리킨다.
o 무녀(巫女)는 귀신을 섬기면서 길흉화복을 점치고 질병을 다스리거나 재난을 방지하기 위하여 굿과 같은 의례를 행하는 여성(female shaman)을 가리킨다.
o 무속(巫俗 shamanism)은 무당을 중심으로 하여 민간에 전승되고 있는 풍속이다.
o 巫는 工从, 즉 工 장인 공과 从 좇을 종으로 구성된다.
o 강희자전에서는 부수가 아니고, 巫의 부수는 工(장인공)이다.
[巫部]
覡 박수 격 《說文》 能齋肅事神明也。在男曰覡,在女曰巫。从巫从見。
o 점복과 예언을 통하여 앞날을 예측할 수 있다.
o 남자무당(male shaman, wizard)은 覡 박수 격이라 하고, 여자무당은 巫 무당 무라 한다.
o 巫 무당 무를 따르고, 見 볼 견을 따른다.
o 회의문자이다.
o 觋는 간체자이다.
o 무격(巫覡 male and female sorcerers and shamans)은 무당과 박수를 아울러 이르는 표현이다.
[巫(무당 무)가 자부로 들어간 글자]
誣(诬) 속일 무
覡(觋) 박수 격 鵐(鹀) 참새 무
莁 흰 비름 무 筮 점 서
毉 의원 의 靈 신령 령(영)
[English] wū
wizard or witch
witchcraft
sorcery
'第五' 카테고리의 다른 글
151. 曰 가로 왈 (0) | 2021.07.06 |
---|---|
150. 甘 달 감 (0) | 2021.07.06 |
148. 㠭 정교할 전, 펼 전 (0) | 2021.07.06 |
147. 工 장인 공 (0) | 2021.07.06 |
146. 左 왼 좌 (0) | 2021.07.0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