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第七57

235. 冥 어두울 명 《說文》 幽也。从日从六,冖聲。日數十。十六日而月始虧幽也。 o 깊고 어둡다. o 日 날 일, 六 여섯 육과 冖 덮을 멱(부수명칭은 민갓머리 혹은 덮을멱머리)을 따르고, 冖는 성부이다. o 설문해자는 형성문자(形聲文字)라고 본다. o 본래는 회의문자(會意文字)이고, 冖 덮을 멱(cloth cover)과 日 날 일(sun), 廾 두 손으로 받들 공(two hands)를 따르고, 후에 廾 두 손으로 받들 공이 六 여섯 육으로 변하여 현재와 같은 모양으로 된 글자이다. o 日 날 일은 숫자 10을 가리킨다. o 16일(十六夜 음력으로 매달 열엿샛 날 밤)이 되면 달이 이지러져 어두워진다. o 㝠 어두울 명, 어두울 면 㫥 어두울 명 䆩 어두울 명, 어두울 면 暝 저물 명 溟 어두울 명 瞑 어두울 명은 같은 글자이다.. 2021. 7. 31.
234. 㫃 깃발 나부낄 언 《說文》 旌旗之游,㫃蹇之皃。从屮,曲而下,垂㫃相出入也。 o 깃발이 바람에 나부껴 펄럭이는 모양(flags flying)이다. o 屮 싹날 철을 따르고, 구부러지고 아래로 들리워져 깃발이 펄럭이는 모양을 나타낸다. o 偃 나부낄 언의 고문(ancient form)이다. o 㫃은 方人, 즉 方 모 방과 人 사람 인으로 구성된다. o 㫃 깃발 나부낄 언은 사전에는 실려 있지만 실제로는 전혀 사용되지 않는 생피한자(生僻漢字)이며, 다만 다른 글자와 합쳐져 깃발과 관련된 의미를 갖는 한자를 만들 수 있다. 예컨대 旗 기 기、旌 기 정、旄 깃대 장식 모、旆 기 패는 㫃 깃발 나부낄 언이 들어간 형성문자이며, 其、生、毛、巿는 각각 성부이다. 그리고 族 겨레 족、旋 돌 선、旅 군사 려는 㫃 깃발 나부낄 언을 의부(意符).. 2021. 7. 31.
233. 倝 햇빛이 빛나는 모양 간 《說文》 日始出,光倝倝也。从旦㫃聲。 o 해가 나오기 시작하여 햇살이 빛난다는 뜻이다. o 旦 아침 단(sunrise)을 따르고, 㫃 깃발 나부낄 언은 성부(phonetic)이다. o 형성문자(形聲文字)이다. o 아침에 지평선 위로 올라오는 햇살이 나부끼는 깃발처럼 빛난다는 의미이다. o 倝는 𠦝人, 즉 𠦝 미상과 人 사람 인으로 구성된다. o 강희자전에서는 부수가 아니고, 倝의 부수는 人(사람인)이다. [倝部] 倝 햇빛이 빛나는 모양 간 《說文》 闕。 o 해가 뜰 때에 햇빛이 빛나는 모양을 가리킨다. o 주문(籀文)이다. 朝 아침 조 《說文》 旦也。从倝舟聲。 o 아침을 가리킨다. o 倝 햇빛이 빛나는 모양 간을 따르고, 舟 배 주는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o 朝 아침 조의 고문이다. o 朝秦暮楚(조.. 2021. 7. 31.
232. 旦 아침 단 《說文》 明也。从日見一上。一,地也。 o 밝다. o 설문해자는 一 한 일의 위로 보이는 日 해 일을 따른다고 본다. o 一 한 일은 땅을 의미한다. o 회의문자(會意文字)이다. o 지평선(一 horizon) 위로 해(日 sun or day)가 떠오르는 모양을 본뜬 글자이다. o 旦는 日一, 즉 日 날 일과 一 한 일로 구성된다. o 아침에 해가 뜰 무렵은 旦 아침 단이고, 아침식사를 할 때는 朝 아침 조이다. o 강희자전에서는 부수가 아니고, 旦의 부수는 日(날일)에 속한다. [旦部] 暨 미칠 기 《說文》 日頗見也。从旦旣聲。 o 해가 막 떠올라 조금이나마 볼 수 있다(part sun). o 旦 아침 단을 따르고, 旣 이미 기는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o 曁 미칠 기는 동음동의이다. [旦(아침 단)이 .. 2021. 7. 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