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第三

75. 鬥 싸울 투, 싸울 두

by kimlaw 2021. 6. 23.

《說文》 兩士相對,兵杖在後,象鬥之形。
o 설문해자에서는 두 병사(士)가 서로 상대방을 노려보며 뒤에는 병기로 쓰는 막대가 있다고 본다.

설문해자

o 갑골문에서는 상형문자이고, 두 사람이 얼굴을 맞대고 맨손으로 싸우고 있는 모습을 상형한다.

商-殷墟甲骨文

o 머리카락을 곤두세우고 싸우는 모습도 있다.

商-殷墟甲骨文

o 鬥 싸울 투는 丮 잡을 극과 反“丮” 잡을 곡이 서로 마주보는 모양으로 구성된다.
o 鬭 싸울 투는 본자(本字 original character)이다.
o 싸울 투 싸울 투 싸울 투 싸울 투 싸울 투는 모두 이체자(alternative form)이다.
o 斗는 간체자(simplified form)이다.
o 한국에서는 戰鬪(전투)와 같이 주로 鬪 싸울 투가 사용된다.
o 일본에서는 鬪 싸울 투가 정자(正字)이나, 신자체에서는 門 문 문으로 변형시켜 闘 싸울 투를 사용한다.

鬪鷄(투계)

o 부수명칭은 「싸울투」이다.
o 부수명칭을 일본에서는 たたかいがまえ(闘構え), とうがまえ라 하고, 영어로는 radical fight라 한다.

[鬥部]
鬭 싸울 투 《說文》 遇也。从鬥斲聲。
o 맞닥뜨려 승패를 겨루다.

전투

o 鬥 싸울 투을 따르고, 斲 깎을 착은 성부이다.

설문해자

o 형성문자이다.
o 鬥 싸울 투, 싸울 두, 싸울 각의 본자이다.

o 싸울 두, 싸울 투 싸울 투 싸울 투 싸울 투는 같은 글자이다.
o 중국에서는 1935년부터 鬭 싸울 투의 간체자로 鬥를 사용하다가 현재는 斗가 간체자로 사용되고 있다.

鬨 싸울 홍 《說文》 鬭也。从鬥共聲。《孟子》曰 : 鄒與魯鬨。

o 싸우다.

o 싸울 투를 따르고, 한가지 공은 성부이다.

설문해자

o 형성문자이다.

o 맹자에서 이르기를 추여노홍(鄒與魯鬨), 추나라가 노나라와 싸우다고 한다.

o 싸울 홍 싸울 홍은 같은 글자이다.

䰘 목 졸라 죽일 류, 목 졸라 죽일 력 《說文》 經繆殺也。从鬥翏聲。

o 목을 졸라 죽이다(kill by hanging).

o 싸울 투를 따르고, 높이 날 류는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鬮 제비 구 《說文》 鬭取也。从鬥龜聲。讀若三合繩糾。

o 싸워 쟁취하다.

o 제비뽑다(draw lots).

o 싸울 투를 따르고, 땅 이름 구는 성부이다.

설문해자

o 형성문자이다.

o 삼합승규(三合繩糾)와 같게 발음한다.

o 제비 구 제비 구는 같은 글자이다.

o 는 간체자이다.

𩰞 편협할 녜(예), 편협할 미 《說文》 智少力劣也。从鬥爾聲。
𩰟 어지러운 모양 분, 뒤얽힐 분 《說文》 鬭連結𩰝紛相牽也。从鬥燹聲。
𩰗 어지러운 모양 빈, 싸울 빈 《說文》 鬭也。从鬥,賓省聲。讀若賓。
鬩 다툴 혁 《說文》 恆訟也。《詩》云 :兄弟鬩于牆。从鬥从兒。兒,善訟者也。

o 줄기차게 다투다.

o 시경에서 이르기를 형제혁우장(兄弟鬩于牆)이라 한다.

o 싸울 투를 따르고, 아이 아를 따른다.

설문해자

o 회의문자이다.

o 아이 아는 순하게 다투는 사람을 가리킨다.

o 다툴 혁, 다툴 혈은 같은 글자이다.

o 는 간체자이다.

𩰎 힘을 재는 추 현, 추 영 《說文》 試力士錘也。从鬥从戈。或从戰省。讀若縣。
鬧 시끄러울 뇨, 시끄러울 료 《說文》 不静也。从市、鬥。

o 시끄럽다(quarrel, dispute hotly).

o 저자 시, 싸울 투를 따른다.

설문해자

o 회의문자이다.

o 시쓰러울 뇨는 같은 글자이다.

o 는 간체자이다.


[鬥(싸울투)가 부수로 사용된 한자]
鬧 시끄러울 료(뇨, 요) 鬨 싸울 홍 鬩 다툴 혁 鬫 범 우는 소리 함 鬮 제비 구 鬪 싸움 투

[English] dòu
struggle / fight
compete / contend
conflict
vie
quarrelsomeness

'第三' 카테고리의 다른 글

77. 𠂇 왼손 좌  (0) 2021.06.23
76. 又 오른손 우  (0) 2021.06.23
74. 丮 잡을 극  (0) 2021.06.22
73. 爪 손톱 조  (0) 2021.06.22
72. 䰜 다리 굽은 솥 력  (0) 2021.06.22

댓글